-
-
탄수화물이 인류를 멸망시킨다 - 당질 제한에 대한 생명과학적 고찰
나쓰이 마코토 지음, 윤지나 옮김 / 청림Life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스트레스를 풀기위해서 나도 모르게 찾게되던 단음식들...못먹고 살던 때에 태어나지도 안했건만 배부르게 먹어야 먹은 것 같은 기분을 느꼈던
시간들, 이런 식습관을 가진 나에게 이 책은 식탐에 대한 생각을 바꾸게 하는 계기가 될런지 모르겠다.
3대 영양소로 알고 있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가진 칼로리 계산을 믿어야할까. 탄수화물이 빠진 영양소로 평생을 살 수 있을까.
당질대신 고기와 튀김을 먹어라? 지금껏 우리가 알고 있는 영양소에 대한 믿음이 깨지기 시작하는 책이다. 읽다보면 많은 가설들이 당질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는 걸 말해주고 있는데 한권의 논문을 읽는 기분이 들 정도다.
당질제한에서 제일 신경써야하는 건 혈당조절이다. 혈당이 높아지면 다양한 질병들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달콤한 과일에 숨은
고과당맛을 피할 수 있을지는 모르겟다. 다이어트를 생각한다면 당질제한만해도 살이 쭉쭉 빠질 수 있다는 저자의 경험담에 귀가 솔깃해진다. 실제로
글을 쓴 당사자는 당질제한만으로도 살이 빠졌고 주변에는 당질세이게니스트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그들의 경험담은 그동안 우리가 무심코 섭취했던
당질로 인해서 야기된 질병들의 원인이었음을 찾아가는 시간이 될 듯하다. 내가 지금껏 읽었던 체중조절에 관한 책들을 보면 '소식'에 많은 초점이
맞춰져있다면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당질제한에 대한 이야기로 덮여있다. 탄수화물이 필수영양소로 알고 있는 우리의 상식을 깨어 줄 가설들을
읽다보면 당질은 필수영양소가 아닌 선택영양소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당질식을 하면 배가 고파서 당질이 먹고 싶어지는 것이 아니라 혈당치를 높이기 위해 당질을 찾게 된다.
당질을 요구하는 것은 '몸'이 아니라 '마음'이라는 이야기다. p78 본문중에서-
먹는 즐거움을 빼앗기면서 평생 습관으로 살기가 그리 쉬울까하는 의구심은 없어지지 않지만 이 책을 읽었으니 한번쯤은 당질제한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식후에 항상 졸음이 온다던 남편의 지나가던 말도 예사로 들리지 않는 시간이 되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정말 당질제한이
아닌가, 당질중독에서 이제는 벗어나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