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시대 ㅣ 생각의 시대 1
김용규 지음 / 김영사 / 2020년 6월
평점 :
인류 문명을 만든 5가지 생각의 도구를 만나는 여행을 떠났다. 생각을 안하고 사는 순간이 없는 인간에게 생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조차 의미없어 보일 수 있겠다. 인류는 언제부터 생각을 해왔을까? 생각에 대한 다채로운 이야기를 설명하고 있는 이 책은 2014년 출간된 [생각의 시대]를 수정하고 보완한 개정판이다. 그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았던 책이었기에 개정판으로 다시 선보일 수 있었다는 생각이다.
인류 문명이라는 거대한 수레바퀴 아래 세상은 인간이 생각하는 만큼 진화했다. 그리고 그 생각은 발전을 이뤘고 인류의 삶을 많이 변화시켰다. 4차 산업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맥락과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세상은 점점 지식이 많은 사람보다 생각이 많은 사람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지식은 이미 스마트폰에서 얼마든지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지식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 생각의 시대다'
책에서는 그리스 천재들의 5가지 생각의 도구를 설명해주고 있다. 생각의 도구란 은유, 원리, 문장, 수, 수사가 해당되는데 각각의 설명을 통해 어떻게 생각하고 활용해야 하는지 그 길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생각을 만드는 생각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은유는 자연을 이해하고 사람들을 설득하는 데 사용되며, 은유는 우리의 사고와 언어, 학문과 예술을 구성하는 가장 원초적이고 근본적인 도구라고 설명하고 있다. '은유는 생각이지만 다른 모든 생각들을 만드는 생각이다'란 표현이 참 적절하다.
이 책은 생각이라는 개념을 역사와 고전, 과학과 심리학,언어학 등 여러 영역에서 이론과 실제를 설명해주고 있어 감탄이 절로 나왔다. 다소 생소하게 들릴 수 있는 메타포라, 아르케, 로고스, 아리스모스, 레토리케란 말들이 책을 읽어가며 내 것으로 만들어 진다. 생각의 도구들은 창의력과 상상력,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을 제공해주며 인류 문명에 이바지했다. 독서를 통해 레토리케(수사)에 대해 편협적으로 알았던 무지가 많이 깨우쳐 지는 계기가 되었다. 레토리케는 단지 미사여구가 아닌 논증적 의미를 지닌 원활한 의사소통의 도구이자 설득의 방법이었다는 것! 그래서 나만의 레토리케를 가져야 함의 중요성을 깨닫는 시간이 되었다.
책은 방대하고 폭넓은 쉽지 않은 내용들로 생각의 시대의 중요성을 묵직하게 조언해주고 있다. 뒤이어 나올 [이성의 시대]와 [융합의 시대]의 연작물이 기다려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