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목민심서』 : 다산의 <목민심서>는 <흠흠신서>, <경세유표>와 더불어 ‘일표이서(一表二書)’라 불리는 정약용의 대표작으로 다산이 학문적으로 가장 원숙해 가던 때에 이루어진 저술이다. 목민관, 즉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저작으로 조선 후기 사회경제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닥치고 정치』 :  <나는 가수다> 평론과 <나는 꼼수다>를 통해 세대를 아우르는 대중적 인지도와 정치적 영향력을 얻은 김어준의 명랑시민 정치교본. 보수와 진보를 사바나 시절 인간의 본능적 습성으로부터 구분 짓기 시작해 현 정권, 삼성, BBK 등 구체적인 주체와 사건을 통해서 우리나라 보수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또 한편으로 그 반대편에 서 있다고 말하기도 민망한 진보 정당의 한계 또한 확실하게 꼬집는다.  

『6월 항쟁』 :  6월 항쟁 25주년이 되는 2012년을 앞두고, 6월 항쟁의 전 과정을 생생히 복원하고 그 역사적 의미와 유산을 현재적 시점에서 평가하려는 책이다. 저자는 역사학자 서중석 교수. 서중석 교수는 6월 항쟁을 1945년 8.15해방, 1960년 4.19혁명에 이어 한국인이 맞은 세 번째 '해방'이라고 강조한다. 『맑스사전』 :  120여명의 맑스 연구자들에 의해 맑스 사상의 기본개념들과 맑스 연구에서의 핵심사항들을 다루는 740여개의 항목들로 이루어지는데, 철학적ㆍ경제학적으로 중요한 개념들과 연구사의 중요 쟁점들의 경우에는 거의 하나의 논문 분량으로 해설하고 있기도 하다. 나아가 이 <맑스사전>에는 맑스의 생애에 관한 간략한 연표, 전집과 유고집들의 편집 역사, 맑스ㆍ엥겔스 전집(신MEGA)의 간행 상황, 맑스와 관련된 자료를 보존하고 있는 기관들, 맑스의 체류지 그리고 맑스 가와 베스트팔렌 가의 가계도 등 맑스 연구에 있어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들도 덧붙여져 있다.  

『맑스 사전』 : '현대철학사전' 세 번째 저서. 120여명의 맑스 연구자들에 의해 맑스 사상의 기본개념들과 맑스 연구에서의 핵심사항들을 다루는 740여개의 항목들로 이루어지는데, 철학적ㆍ경제학적으로 중요한 개념들과 연구사의 중요 쟁점들의 경우에는 거의 하나의 논문 분량으로 해설하고 있기도 하다. 

『라디오 체조의 탄생』 : 1920년대에 시작되어 일본에서 독특한 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은 라디오 체조. 라디오 체조의 탄생을 둘러싼 일본 근대의 얼굴을 살펴본다. 미디어 전문가인 저자는 이 책에서 미시사적.문화사적 접근을 통해 라디오 체조의 기원과 전개 과정, 그리고 그것이 일본 사회에 미친 영향 등을 상세히 밝히고 있다. 방대한 자료와 면밀한 고증을 바탕으로 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신간평가단 2011-11-09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크완료했습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