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릿은 군사 ,산업,기술,대학,과학,정치,금융 분야에서 여성을 남성의 독점 행위에 골복시키는 제도가 보편화되었다고 강조한다. 밀릿에 의하면 이런 구조를 지속시키는 데 필요한 (공격적이거나 가학적인) 남성적 특성과 (수동적이거나 피학적인) 여성적 특성을 만들어내는 제도가 있으니, 바로 가족이다. 사랑 가족이 해부학적 성과 구분되는 심리학적 젠더 역할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203
결혼 전 성을 지키지 못한 힐러리 이야기, 열한 살 음악 신동이었던 니나 시몬이 백인 가족에게 1열 좌석을 양보한 자신의 부모가 본래 자리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연주하지 않겠다고 한 일. 그러나 폭력적인 남편을 참아 냈던 일. 페미니즘의 역사 속에 등장한 수많은 여성들의 사례들은 자신의 길을 가는 것, 신념을 지키는 것이 쉽지 않음을 몸소 증명하는 것 같다. 나라면 어땠을까? 이건 아마...저건 아마...책을 내려놓고 오래도록 생각했다. 하지만 실비아 플라스가 그랬듯 그들이 남긴 불꽃은 오늘날까지도 살아남았다.
정치인 한 사람에게 투영하는 개개인의 욕망은 '좋은 자리'. '부의 축적'등 개인마다 모두 달랐다. 정치인의 보상 심리와 주변 사람들의 다양한 탐욕은 한데 묶여 '대통령'이라는 단어 안에 응축됐다. 집결된 사람들의 욕망 아래 파편화된 개인의 인권은 '작은 일'로 치부되었다. 214
이 책은 대한민국에서 정치가 변질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정확히 포착하고 있다. 좀 더 나은 사회를 위해 포부를 갖고 시작했음에도 불의와 타협하면서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걸어간 정치인 안희정. 내실을 다지기 보다 외면에 치중한 그를 보며 우상화에 빠진 팬덤, 사익을 추구하는 자들과 얽혔고 몰락은 가속화했다. 남성 권력의 정점이라는 정치세계에서 여성들이 얼마만큼 취약한지 알 수 있었다. 10년의 정치경력이 물거품이 되었음에도 피해자와 연대한 그는 인세 수익 전액을 한국 성폭력 상담소에 기부하기로 했다.
정말 프랑스인답게 실증주의적이고 데카르트적으로 사고하시는군요....... 하긴 당신이 며칠 뒤 '처음으로' 이곳에 올 거라고 내가 말하긴 했죠. 하지만 그뒤로는 자주 이곳에 나타날 겁니다. 심지어 당신은 이 집에서 당신 부인과 자식들을 데리고 거주하게 될 거예요. 그렇지 않다면, 왜 당신 사진이 그 벽에 걸려 있겠어요? 102
이 소설을 읽으면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영화 '패러독스', '인사이드 르윈'이 떠올랐다. 반복적인 꿈은 그 자체로 그로테스크한 면이 있다. 좋은 일도 반복되면 기이하게 여겨질 것이다. 보통은 어떤 문제, 풀지 못한 원한, 말할 수 없는 슬픔, 고통스러운 기억, 후회로 인한 집착 등이 되풀이되며 해결해 달라고 아우성을 친다. 나는 비행기 타고 여행가는 꿈을 자주 꾸었다. 그때마다 여권이나 티켓이 잘 있는지 불안해 한다. 요즘 조르주 페렉의 '어렴풋한 부티크'를 조금씩 읽고 있는데 그래서 남의 꿈을 엿보듯 수수께기, 아이러니의 연속인 이 소설을 어렵지 않게 읽어낸 것 같다. 페렉의 도움이 없었다면 보다 난해하게 느꼈을 것. 알랭 로브그리예는 실험적이고 독특한 세계를 창조했다.
나는 이제 몸무게가 안정적이고, 이 일은 대체로 과거가 되었다. 하지만 주변을 둘러보면, 아직 대처법을 찾지 못한 여자들이 무수히 있다. 나는 여름 해변에서 꼬챙이 같은 다리를 가진 그들을 본다. 찰스강에서 죄수처럼 수척하고 음침한 얼굴로 강둑을 달리는 그들을 본다. 173
이 책을 읽으며 여성들이 외모 때문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심지어 페미니스트를 공격할 때에도 외모 비하는 빠지지 않는다. 예쁘고 날씬하면 들어줄건가? 거식증처럼 성형 중독도 여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와 무관하지 않다. 있는 그대로 자신을 받아들이기 보다 사회적 이상에 맞추려 하는 집착은 종착역이 없으니까. 병원에서 일할 때의 기억이 마구 떠올랐다. 한번은 연예인처럼 예쁜 여성이 남자친구와 함께 상담을 온 일이 있었다. '고칠데가 없는데...' 환한 얼굴로 엉덩이에 실리콘 보형물을 넣고 싶다고 말했다. 남자친구의 선물이라고. 캐럴라인 냅은 술과 사람들과의 관계, 가족에 관한 이야기들까지 공감할 만한 글을 잔뜩 풀어놓았다. 덩달아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아지는 글이었다.
절반쯤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