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읽었던 이리가레의 주장(아래)과 오늘 ㄷㄹㅂ님의 글https://blog.aladin.co.kr/fallen77/13626156 ,읽고 있는 '짐을 끄는 짐승들'의 일부 내용들을 떠올리다가 이런 생각을 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행동양식에 종속되어 있는 듯하다. 다윈식의 모델과 파블로프식의 모델.


1.생명과 관계되는 한 우리는 한편으로는 외부 환경과,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생물체들과 항상 투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두 적보다 강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2.문화의 차원에서 우리는 반복학습으로 훈련받고, 사회 체제에 적응하도록 우리 자신의 결정적인 혁신이나 발견 없이 '이와 같이'되도록 (의식적이든 아니든) 길러진다.


과연 우리는 이 두 거대한 구조와 변수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까? 존재의 차원에서 볼 때 경쟁적인 이 투쟁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문화적 차원에서는 거의 치명적인 반복으로부터? p.39


육식은 위에 나온 두 행동양식을 모두 따르고 있다. 생존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육식을 하지 않아도 생존할 수 있다는 건 이미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위 두 양식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반복적으로 육식을 이어간다. 외부 환경과 싸워야 한다는 관념, 짐승들을 대량으로 도축하고 무수히 소비하면서 도축 과정으로부터 일반 대중을 멀리 떨어뜨려 도덕적 책임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 이런 집단적 기만의 반복은 과연 어떤 결과를 우리에게 주었고 계속해서 주고 있을까? 폭력은 행하는 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미디어는 폭력의 겉모습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서 피해자의 피해를 위주로 다룬다. 하지만 사실상 가해자도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으며 변화된다. 육식이라고 부르는, 동물에 대한 죄의식없는 착취를 우리는 반복적으로 행하고 있다. 아이들은 이것을 어떤 방식으로 받아들일까? 이 기만의 파장은 연구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알 수가 없다. 하지만 다양한 폭력과 공격적 성향의 원인이 여기서 기인할 수 있겠구나 생각해본다. 물론 모든 폭력의 원인을 육식의 탓으로 돌릴 수 없겠지만 매일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이 집단적 기만행위가 상징하는 것은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윤리 없이 정신적이고 천상적인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p.27



동물에 대한 착취를 배제하고 윤리와 정의를 논한다는것이 과연 무슨 의미일까?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2-05-26 11: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짐승에게 인간이 살기 위한 노동을 대신 시키는 것과 육식은 좀 다른 결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저도 정확히 언어화할 순 없는데, 그 언어를 찾는 일은 <짐을 끄는 짐승들>을 읽으면 가능해지지 않을까 싶어요.
미미님은 벌써 읽기 시작하셨군요. 저는 구매했으니 이번주 내로 받게될 겁니다. 이건 읽으면서 저도 차차 생각을 더 해볼게요.

미미 2022-05-26 12:20   좋아요 3 | URL
네! 생각의 결이 다른것도 전 참 좋더라구요. 서로 그런 부분 이야기나누면서 또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수 있고요. 다락방님의 글은 그런면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포용할 수 있는 부분도 많은 것같고 생각꺼리를 던져주는 강점을 동시에 가진것 같아요.*^^*

새파랑 2022-05-26 12: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동물에 대한 착취를 배제하고 윤리와 정의를 논한다는건 너무 인간중심이란 생각이 드네요 ㅜㅜ 그런데 전 왜 육식을 포기하지 못하는지 😅

미미 2022-05-26 12:25   좋아요 3 | URL
앗! 저도 그저 줄이려고 신경쓰고있는 수준이예요. 육식을 당장 다같이 끊어야된다는 주장도 아니고 그럴수 없을거라고 생각해요 우선 질문을 던져보고 싶었어요😄

독서괭 2022-05-26 14: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집단적 기만의 방법이라는 말씀이 와닿네요. 저도 육식을 결코 포기하지 못하는 사람으로서 ㅠㅠ 항상 도축문제는 마음의 불편한 짐으로 남아있습니다. 하는 거라고는 동물복지 달걀을 사고 개식용은 안 하는 정도밖에.. <고기로 태어나서>도 좋다는 말 많이 들었는데 읽기 힘들 것 같아요. 미미님처럼 포기하지 않고 이렇게 문제의식을 가지고 질문을 던지는 것이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미미 2022-05-26 14:44   좋아요 4 | URL
얼마전에 코로나 이전 즐겨가던 소바집에 오랜만에 갔는데요. 요즘 고기안먹는 날을 늘리던차에 간건데 주문한 음식을 받고서야 양념소스에 갈아넣은 고기가 있다는걸 인지했어요ㅠㅠ 제가 이런수준이라 채식하자고 주변에 잘 권하지를 못해요. 책읽고 글읽다가 스스로 질문을 던질수 있었고 생각이 이어지다 보니 여기 나누고 싶었어요 공감해주셔서 감사해요 괭님^^*

단발머리 2022-05-26 14:4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환경 오염을 피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하고 빠른 방법이 육식을 금지하는 것,이라고 들었어요. 축산업이 얼마나 큰 산업인지 우리가 짐작하기는 쉽지 않겠죠. 저희집은 소고기, 돼지고기는 거의 안 먹는다 싶을 정도인데(육식인 1인), 저도 아직 치킨과 순대와 만두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육식 문제는 항상 미뤄놓은 숙제같아요. 육식이 아니라 동물 살해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도 떠오르구요.
육식의 문제와 이리가레의 지적이 닿아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했는데 미미님 글에서 또 한 가지 배워갑니다. 감사해요, 미미님!

미미 2022-05-26 14:49   좋아요 3 | URL
저도 그런 글을 이곳저곳에서 읽었어요. 식량문제와도 얽혀있다고도 하고요. 축산업을 유지하기 위한 대가가 상대적으로 너무 크구나 또 그걸 일반인들이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싶어요. 저도 순대 넘 좋아하고 즐겨먹진 않지만 돼지껍데기도 좋아해요ㅠㅠ 육식이 대세인 상황에서 실천하기 어렵다는걸 자주 느낍니다. 단발머리님 그런 면에서 그런 노력들 대단하신거예요. 제가 더 감사드려요!^^*

페넬로페 2022-05-27 00:4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다윈식의 모델과 파블로프식의 모델에 저 자신마저도 완전히 점령당한 듯 한데요.
머리로는 아니라고 자꾸 부인하고 싶은데 이미 몸으로는, 또는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인 상태거든요.
미미님께서 써주시는 글로 항상 각성합니다. 감사해요.
저도 웬만큼은 주기적으로 육식을 먹는데 조금씩은 줄여봐야겠어요^^

미미 2022-05-27 08:51   좋아요 2 | URL
네 페넬로페님~♡ 저도 오래된 습관이라 완전한 채식은 참 어렵겠구나 느껴요^^;;
그래도 도축에 관한 내막을 찾아 조금씩 정보를 쌓다보니 예전보다 덜찾게되더라구요.
이리가레의 두 모델이론 참 신기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