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서 이기는 영단어 - 영화 미드 소설 독해와 번역 영작의 기본을 잡아주는
한일 지음 / 로그인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최근 출판계에 흥미로운 논쟁이 있었다. 바로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의 번역 논쟁. 우리가 읽은 <이방인>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라는 다소 자극적인 문구로 표지를 장식하고 있는 이 책은 기존 이방인의 번역을 오류투성이라 주장했다. 이미 인기 있는 고전은 많은 출판사에서 각기 다른 작가를 통해 번역되어 출간되고 있다. 번역한 작가의 역량에 따라 작게는 읽을 때 부드럽지 못할 것이고 크게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번역된 책을 선택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가끔 이왕이면 원서를 읽어볼까? 하는 충동이 들 때가 있어서 <원서 이기는 영단어>라는 책을 처음 봤을 때 꽤 흥미로웠다.

나는 중 · 고등학교 시절에는 우선순위로 영어단어를 달달 외워왔고, 성인이 되어 각종 시험을 준비하면서는 분절과 조합, 접두어, 어근, 접미어를 확인하며 단어의 뜻을 유추하는 어휘 공부를 해왔다. 이 방법으로 공부하면 모르는 단어가 나와도 대략 뜻을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식으로 출제되는 시험에서 꽤 효과적이었다. 그래서 영어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학습 방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방법도 언어의 기본이 되는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속뜻의 뉘앙스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 책은 어떤 상황에 쓰이는 비슷한 단어를 3~5개씩 묶어서 그 뉘앙스와 쓰임새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고 있다. 책에 나오는 한 꼭지를 예를 들어보자. 우리가 일반적으로 '위험' 이라고 쓰는 단어도 그 위험의 정도에 따라 쓰임새가 다르다. 다치거나 손해를 입을 확률과 아무 일 없이 넘어갈 확률이 반반인 경우에는 dangerous를, 다치거나 손해 볼 확률이 70~80% 정도로 높을 경우 risky를, 어딘가에 빠질 수 있는 위험에는 hazardous를 쓴다고 한다. 일반적인 영어 학습법에 길든 나에게 뉘앙스 영엉단어 학습법을 다룬 <원서 이기는 영단어>는 매우 신선했다. 게다가 일러스트를 활용한 다양한 예문과 해설 때문인지 어렵지 않게 느껴졌고 기억에도 오래 남았다. 단어의 세기(?)를 비교하고 있어서 원서를 읽을 때 말하고자 하는 속뜻을 정확히 집어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이 책을 일주일 정도 정독 하다 보니 이미 알고 있는 단어가 등장할 때가 종종 있다. 아니 내 경우에는 대부분 이미 알고 있는 단어였다. 하지만 단순하게 뜻만 암기하고 있던 영어단어의 정확한 쓰임새와 차이를 확실하게 배울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이미 알고 있던 단어를 업그레이드했다는 느낌?! 오 이 책 정말 괜찮은데? 소리가 절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