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 행복은 타인으로부터 온다!
세실 앤드류스 지음, 강정임 옮김 / 한빛비즈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은 노란 책의 표지와 제목부터가 인상적이며 재미가 있다. 손으로 레터링을 직접 한 느낌이 반갑니다. 그나저나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라니…. 입에 착착 감기기는 한데 처음에는 확실한 의미를 몰랐다. 긍정적인 의미의 '혁명'이라는 단어와 부정적인 '작당'이라는 단어의 조합은 뭔가 조화가 되지 않는다. 이 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부제인 '행복은 타인으로부터 온다!' 라는 글귀를 보고서야 알 수 있었다. 행복하기 위한 방법을 말하고 있는 책이구나 하고 말이다.

 

 

 

 

 

저자는 행복을 부르는 4대 요소를 관계, 소명, 유희, 통제라고 말하고 있다. 즉, 이 4가지 요소가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진정한 행복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내 나름대로 정리를 해보자면, 행복이란 타인과 민주적인 사회적 유대 관계를 하면서 즐거움과 기쁨을 느낄 수 있고 의미와 목적을 가질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민주적인 사회적 유대를 두고 공동체를 뜻하리라. 우리는 사람이란 혼자서는 살 수 없는 동물이라고 학창시절부터 배워왔다. 사람을 나타내는 人(인)을 보자. 획은 2번이고, 두 개의 선이 맞닿아 있는 형태이다. 누구나 한번 보면 쉽게 잊지 않을 정도로 쉬운 글자이다. 이 두 개의 선은 2명의 사람을 나타내고 있다. 한 사람이 길을 가다 돌에 걸려 쓰러지려 하고 있을 때 옆에 있던 사람이 넘어지는 사람에게 손을 내밀어 잡아주거나 기대고 있는 형상. 옛사람들은 이미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던 것처럼 사람은 본능에 따라 사회적 유대를 가지며 대화와 소통을 하며 삶을 살아간다. 전반적으로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소통을 위한 대화이다. 그래서 저자는 '타인으로부터 기쁨이 온다.'라고 말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최근 작은 모임과 같은 공동체 활동이 많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물론 심지어 옆집에 누가 살고 있는지조차 모르고 살고 있다. 아파트에 사는 나 역시 위, 아래, 옆집에 누가 사는지 확실하게 모를뿐더러 알려고 노력도 하지 않았다. 그러니 자연스레 대화도 해본 적이 없고 스스로 행복하고 외롭지 않은 사람이라고 착각하고 살아왔다. 하지만 나도 알고 있었다. 예전 아파트 주민끼리 같이 모여 웃고 떠들고 즐기던 때가 훨씬 행복했다고…. 책에서는 사회적 유대가 줄어든 결과, 많은 사람이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행복을 위함이 아닌가. 우리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소통이라는 작은 변화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대화 중심의 작은 모임을 결성하고 협력하면 그곳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말이다. 저자가 말하는 유쾌한 혁명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 바로 이런 작은 모임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인상적인 표지로 처음 만난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은 내가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고 의미가 있던 책이었다.

 

 

 

 

유쾌한 혁명 강령

 

하나, 타인의 고통에 눈감은 채 행복을 논하지 말 것!
둘, 이기는 대화가 아니라 '타인을 만나는' 대화를 할 것!
셋, 세상을 바꾸고 싶으면 일단 모여서 웃고 떠들고 마시며 잡담할 것!
넷, 무미건조한 삶과 작별하고, 공동체 축제에 참여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