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여행자들 오늘의 젊은 작가 3
윤고은 지음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여행사의 상품을 직접 골라 여행을 해 본 적이 없다. 이유는 간단하다. 여행이란 일상의 똑같은 생활에서 벗어나 자유를 만끽하고 여행지에서 있을 일들에 두근거림을 느끼고자 떠나는 것인데 여행사 상품은 틀에 구속된 느낌이기 때문이다. 처음 만나는 누군가가 시간과 코스를 통제하고 설명하는 것. 이 자체가 내겐 스트레스이기 때문이다. 그러다 이번에 윤고은 작가의 <밤의 여행자들>을 읽으면서 여행사에 대한 이야기를 처음 접하게 되고 다양한 여행사 상품들이 있다는 것에 꽤 호기심이 많이 갔다. 한 번쯤은 여행사를 통해 여행을 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주제를 담은 여행지는….
재난과 여행을 결합한 상품을 여행사 <정글>의 여행 수석 프로그래머 '고요나'는 10년 차가 되었지만, 점차 자기가 맡은 위치에서 밀려나는 것을 느끼고 긴장하고 있다. 소문으로만 들어왔던 옐로 카드 대상자에게 행해진다는 상사의 성추행을 자신의 상사 '김'에게 직접 당하고 그녀는 사표를 냈다. 하지만 '요나'는 상사 '김'으로 부터 한 달간 휴가를 줄 테니 검토 중인 상품 중 하나를 골라 다녀와서 보고서를 제출하라는 뜻밖에 제안받는다. 딱히 정말 관둘 각오로 사표를 던지려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흔쾌히 받아들인다. 그렇게 해서 고른 상품은 제주도 만한 섬나라 '무이'라는 곳의 5박 6일짜리 상품 '사막의 싱크홀' 여행을 떠난다.

 

 

 

 

 

재난여행을 떠남으로써 사람들은 '충격 → 동정과 연민 혹은 불편함 → 내 삶에 대한 감사 → 책임감과 교훈 혹은 나는 살아남았다는 우월감'의 순으로 느낀다고 한다. 누군가에게 아픔과 고통이 그들에게는 '나는 아니야' 라는 안도감과 함께 위로가 되는 것.
요나도 이번 재난 여행을 통해 안도감과 위로를 받았을까. 나만 아니면 돼. 갑자기 1박 2일 '복불복'이 재미있고 유쾌하던 이미지에서 씁쓸한 이미지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마지막 기회라고 떠난 이번 여행의 일정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공항으로 가기 위해 탄 열차에서 요나는 화장실을 다녀오던 중 뭔가가 달라진 느낌이 든다. 열차가 반 토막으로 잘려서 일행과 헤어지게 된 것이다. 여권과 지갑도 모두 잃어버리고 말도 안 통하는 곳에서 물어물어 여행 기간 중 머물렀던 리조트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하지만 돌아간 리조트는 요나가 알고 있는 곳이 아니었다. 며칠간 머물렀던 곳과 전혀 다른 표정을 갖고 있었다. 마치 방금 촬영이 끝난 화려했던 세트장을 보는 것처럼.
乙인 요나가 甲인 <정글>에서 퇴출 위기를 맞았던 것처럼, 乙인 무이도 최근 여행객이 줄어들어 甲인 <정글>에게 퇴출 위기를 맞고 있었다. 이에 무이는 스스로 한 가지 무서운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었고, 체류하고 있던 정글의 담당자 요나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제안을 받게 되는데…. 더 이상의 이야기는 언급하지 않는 것이 이 책을 읽을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

 

 

 

 

 

남의 불행을 자신의 이익으로 만들기 위해 여행 상품으로 만드는 인간들의 모습. 그리고 타인의 불행은 곧 나의 행복이라여기는 개개인의 마음조차 잘 표현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터는 정글 그 자체다. 그래서 작가는 여행사 이름을 <정글>이라고 했나 생각된다.
자기 자리를 지키기 위한 몸부림. 버티지 못하면 아주 미세하고 교묘하게 그리고 끝없이 추락한다. 남을 끌어내려야 내 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 현실에 다시 한 번 씁쓸한 마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