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가 여전히 위대한 것은 이 작품이 던지는 질문의 그 끈질긴 깊이 때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잘 알려진 대로 그 질문은 ‘무죄한 인간의 고통‘에 관한 것이다

‘왜 죄없는 사람이 고통받는가? 그러므로 신은 없거나, 있어도 무능하다.‘ 예나 지금이나 이와 같은 의문과 울분 속에서 자주 무너져내리는 것이 인간의 삶이다. 왜 죄 없는 학생들이 바닷속으로 가라앉아야 하고, 왜 갓 태어난 아이들이 살균제를 들이마시며 죽어가야 하는가. 욥이 유사한 질문을 던진 것은 지금으로부터 3천년 전이다

욥은 자신에게 닥친 불행 때문에 고통스럽기도 하지만, 그 불행의 이유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고통스럽다. 인간은 자신의 불행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을 견디느니 차라리 어떻게든 의미를 찾으려 헤매는 길을 택하기도 한다. 내 아이가 어처구니없는 확률(우연)의 결과로 죽었다는 사실이 초래하는 숨막히는 허무를 감당하기보다는, 차라리 이 모든 일에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거대한 섭리가 존재한다고 믿는 편이 살아 있는 자를 겨우 숨쉬게 할 수 있다면?

신은 그때 비로소 탄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력히 입증하는 증거 앞에서 오히려 신이 발명되고야 마는 역설. 가장 끔직한 고통을 겪은 인간이 오히려 신 앞에 무릎을 꿇기를 선택하는 아이러니. 그럴 수밖에 없었던 마음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나는 이유도 모른 채 아이를 잃은 부모가 갑자기 독실한 신앙인이 된다 해도 놀라지 않을 것 같다. 고통의 무의미를 견딜 수 없어 신을 발명한 이들을 누가 감히 ‘패배한‘ 사람들이라 말할 수 있을것인가. 그들이 신을 발명하기 전에 먼저 인간이 인간을 구원할 생각이 없다면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2-10-28 08: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글 읽으며 든 생각은 ’무죄‘한 이들이 고통받는다는 모순을 없애기 위해서 ’원죄‘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나와같다면 2022-10-28 12:00   좋아요 1 | URL
신형철님은 신학자가 아니어서 신학적 정답을 알지 못하며 다만 침묵할 때의 욥의 마음을 겨우 짐작해볼 따름이라고 하셨네요..

그런데 또 기독교를 이해하려면 이 ‘원죄‘ 라는 개념을 받아들여야 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