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ㅣ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설명되지 않고, 이해되지 않은 존재에 대해 우리가 느끼는 첫 감정은 두려움이다. 그러나 인류는 그것을 극복하고, 이해되지 않은 것들을 설명해 가면서 스스로의 존재를 확장시켜왔다. 이 책은 이해되지 않은 존재 중 하나인 '귀신'에 대해 문화사적 잣대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 책이다.
'귀신'의 존재여부에 대한 물음은 사실 중요하지 않다. 그것은 예수가 과연 정말로 부활했는가?라는 것과 같은 물음일지도 모른다. 문제는 '귀신'이라는 존재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이며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가에 있다.
귀신 이야기는 현실에서 배제되고 억압된 죽음의 세계가 현실에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원히 지속되는 정신을 강조하는 이성 중심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필멸하는 육체와 그러한 육체가 드러내는 욕망은 억압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억압은 성숙하지 못한 방어기제로, 완벽하게 모든 것을 잡아 가둘 수는 없다. 육체적 욕망과 죽음에 대한 공포는 인류 역사의 곳곳에서 다른 형태로 살아남아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곤 했다. 우리가 잊고 싶은 죽음에 세계에서 돌아온 귀신이야기는 억압에 실패한 욕망의 변주곡이다. 우리 이야기 속의 귀신은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고, 무섭도록 파괴적이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거침없이 말하고, 피를 흘린다. 비명을 지르고 무서워하면서도 여름이면 호러영화를 보러 극장에 가고, 귀신이야기에 기를 쓰고 귀를 기울이는 우리의 모습은 우리의 무의식에 잠재된 감정과 목소리, 육체적 욕망의 다른 표현일지도 모른다.
저자는 우리 사회에 유독 처녀귀신이 많음에 주목했다. 여기에는 또 다른 차원의 이야기가 존재한다.남자와 여자.
남자귀신은 죽어서도 가족을 돌보고 그들을 염려하며 때로는 가장으로서의 권위를 내세워 명령을 행한다. 가장의 이미지를 유지한 조상신이 되는 것이다.
남자귀신은 귀신 세계에서 벼슬도 하고, 간혹 후손들의 꿈에 나타나 현실세계에 긍정적으로 개입하곤 한다. 남자귀신은 두려움이나 공포를 불러 일으키지 않는다. 남성은 억압된 존재가 아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여성은?
한국 귀신의 전형이 처녀귀신이라는 것은 곧 '처녀'야말로 한국사회의 약자, 억압받은 존재였음을 의미한다. 동시에 처녀귀신 이야기를 만들고 즐겨온 전통은 그들에 관한 사회적 책임과 죄의식이 공통의 문화적 과제로 사유되어왔음을 뜻한다.
우리 역사의 또다른 억압의 대상, 여성의 이야기이다. 여성은 우리역사에서 약자로 분류되어 왔다. 늘 주체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주변인, 목소리 없는 타자였을 뿐이었고 육체만으로 평가되는 (이건 좀 심할 수 있겠지만) 도구적 인간이었다. 억압된 여성의 목소리, 여성의 욕망은 귀신이 되는 순간 자유롭게 표현된다. 화를 내고, 억울함을 호소하며, 자신의 권리를 요구한다. 그러나 이렇게 '목소리'를 가진 처녀귀신은 기득권을 가진 남성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그들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죄의식에 대해서는 개인적을 납득하기 어렵다. 이 책에서 인용되는 귀신 이야기의 대부분은 독자가 남성이다. 남성중심의 이야기 속에서 나는 사실 그들의 책임의식과 죄의식을 발견하지 못했다. 억울하게 죽은 처녀귀신에 대한 동정은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존중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그들의 감정에 대해 그저 대인배의 위치에서 포용해 준다는 우월의식만 느껴진다고 한다면 좀 과장일까?
이 책에서 인상깊에 읽었던 부분은 '그 모든 억울함과 불행의 근원이 가정'이라는 것이다. 모든 것을 감싸주고 인정해주어야 할 가족이 서로를 배척하고 무시하는 광경은 슬픈 일이다. 가정이라는 것이 세상의 모든 가치를 뛰어넘은 사랑의 공동체라고 믿는 것은 우리의 순진한 환상일까? 옛날 이야기 속의 가정과 오늘날의 가정이 다르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때는 가정의 규모가 달랐고 위계 질서가 강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그러나 과연 그럴까? 아직도 우리가 믿고 있는 그 달콤한 집에 위계와 억압이 살아있는 것은 아닐까? 지금 내 가족 중에 소외당하는 누군가는 정말로 없는걸까? 생각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