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정보가 없어서 이와나미판으로 등록했지만 사실은 치쿠마쇼보판으로 읽었다.
올리버 트위스트는 디킨스 생전 몇 번의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이 일본어판은 희귀하게도 초판본을 저본으로 삼아서 번역했다.
읽으면서도 일전에 읽은 한국어판과 비교해 감정 표현이나 문체가 상당히 생생한 편이라 일본어 특유의 느낌인 줄 알았는데 그런 것만도 아닌 것 같다.
1970년에 나온 판본(1970년판은 고단샤에서 간행)이라 외국어 표기법도 현대 일본어와는 다르고 상당히 옛스러운 표헌이 많지만 번역 자체는 대단히 훌륭하다.
아이러니한 사실 하나.
한국어판을 읽고서 시간이 좀 지난 덕에 정리된 것도 있겠지만 외국어로 된 글을 읽을 때는 아무래도 문장 하나하나를 더 꼼꼼하게 읽게 되는 관계로 오히려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일본어판으로 읽으면서 가장 가슴 절절히 들어와 박히는 장면은 역시 낸시와 로즈의 만남.
낸시가 로즈를 만난 장면에서 쏟아내는 절절한 토로는 빈민의 문제가 결코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디킨스 그 자신의 분노의 일갈이기도 하다.
お嬢さん、神様にお礼を言わなくちゃいけませんよ。子供の時から養って育ててくれた人に恵まれていたのですからね。飢えや寒さ、喧嘩や酔っぱらい――それから――それよりもっとひどいことを、知らないで済んだんですからねえ――このあたしはゆり籠の時から、そんなものに囲まれていたんだから。ゆり籠なんて言ったけど、あたしにとっては路地や溝がゆり籠だったの。そしてきっと死の床にもなるんだわ」
아가씨는 하느님께 감사해야 돼요. 어려서부터 유복한 사람들이 먹여주고 키워줬으니까요. 굶주림과 추위, 싸움질과 주정뱅이 --그리고-- 그보다 더 끔찍한 꼴을 보지 않아도 됐으니까요 -- 저는 요람에 있을 때부터 그런 것들에 둘러싸여 있었으니까요. 요람이라고 하지만 저에게는 길바닥이나 시궁창이 요람이었어요. 그리고 분명 그게 죽어서 눕는 자리도 되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