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담 싸부 - Chinese Restaurant From 1984
김자령 지음 / 시월이일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즈 시절이라는 신조어가 있다. 외모, 인기, 실력 따위가 절정에 올라 인생의 가장 큰 전성기때를 의미한다.많은 사람들이 리즈 시절을 붙잡고 싶어한다. 지나간 리즈 시절이 다시 돌아오기 원한다. 영원한 건 없다. 세월은 변화를 요구한다. 그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사람만이 인생의 리즈 시절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과거의 전성기를 쉽게 잊지 못하고 변화하기 두려워한다. 그래서 꼰대라는 말이 생기고 그 꼰대라는 말 뒤에는 시대의 비아냥만 남게 된다.


소설 《건담 싸부》의 요리사 두위광이 바로 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1980년대 명동에서 중식당 '건담'을 세우고 연희동으로 옮긴 현재까지 군부 독재 시절을 견디고 민주화 시대를 견디고 살아남은 두위광은 고희를 넘기고도 주방에서 직원들에게 넘사벽과 같은 존재이다. 비록 자신을 배신한 정비소 주방장이 마케팅의 힘으로 '곡비소'라는 중식당을 차려 손님을 빼앗기긴 했지만 그래도 그의 요리를 맛본 단골들은 두위광에게서만 맛 볼 수 있는 그의 음식을 잊지 못해서 '건담'을 찾는 명성 깊은 곳이다.

매일 새벽장을 보고 루틴의 시작으로 문사두부를 만들고 육수를 만들고 있으면 다른 직원들이 출근을 시작한다. 두위광만의 육수 비법이 궁금하지만 어느 누구도 물어볼 생각을 하지 못한다. 주방의 모든 소리를 듣고 온도를 느끼며 자신의 음식 철학을 위해 포장 배달을 일절 하지 않고 홀 음식만 고집하는 두위광을 향해 직원들은 '펑즈' 즉 미친 또라이라고 말한다.


《건담 싸부》는 초반 두위광의 명성과 완벽한 요리사의 모습을 보여주며 미슐랭 별까지 취득한 후 최고의 전성기를 보내는 그의 가게 건담을 서서히 보여주다 건강 상태 악화되며 추락하다 못해 몰락하는 두위광의 모습을 보여준다. 미각과 후각을 잃고 주문을 놓치는 그를 사람들은 더 이상 요리사라고 추켜세우지 않는다. 단지 미친 또라이 또는 치매기 있는 노인네라고 부른다. 리즈 시절은 끝났다. 과연 그는 다시 재기할 수 있을까?



소설은 두위광이 변화되는 계기를 그의 곁에 끝까지 함께 해 준 본경과 나희의 음식이였다.누군가를 위한 음식을 해 주기만 하다가 자신만을 위한 만찬에서 비로소 자신의 초심을 깨닫는다.먹이는 사람, 그 마음. 자신만의 철학도 좋지만 먹는 사람이 기쁘지 못하다면 결코 음식이 맛있을 수 없음을 알게 된다. 만드는 과정과 먹는 과정 모두가 기쁨이 되어야 함을 비로소 알고 서서히 배워나간다. 자신의 노화를 인정하고 혼자 하기 보다 우리를 지향하며 새로운 시작을 해 나간다.

 


 

이 소설은 두위광의 재개를 그린 소설이지만 읽다 보면 자기 계발서를 소설로 읽고 있는 듯 하다.

초반에는 두위광의 요리사의 루틴을 통해 기본기의 중요성을 배우게 되고 그가 변하기 위해 노력하는 부분에서는 이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우리 또한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야 함을 가르쳐준다. 꼰대, 펑즈에서 진정 싸부로 변화되는 그의 모습은 하나의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작가가 중국 음식을 공부한 사람이 아닐까 생각할 정도로 중국 음식에 관한 모든 지식을 상세히 설명해준다. 작가의 엄청난 사전 조사에 감탄하면서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방대한 설명은 가독성을 방해하기도 하는 점이 약간의 흠이랄까. 《건담 싸부》는 모두에게 보내는 응원가와 같은 책이다. 아직 늦지 않았다고 그러니 지금부터라도 시작할 수 있다고 말해준다. 그 의미에서 모두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은 책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리사를 말하는 거냐?"
"네. 먹이는 사람이요."
마호 주방장은 위광의 말뜻을 알았다.
"그래. 먹이는 사람, 그 마음이다."
- P307

그는 지나간 일은 지나간 일, 변화하면서 앞으로 나가야 한다고 했다. - P424

그것이 요리하는 재미고, 요리하는 자의 일이다. 새로운 요리가 별의 발견보다 인간을 더 행복하게 만든다는 누군가의 말처럼, 요리는 계속 진화하고 탄생해야 한다. - P4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행이라는 직장이 이 세상 조직의 일부로 존재하는 이상,
그런 부조리는 엄연히 존재하고 또 피할 수도 없다. - P155

은행이라는 직장에서 오래 일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고 ‘감정‘과 ‘현실‘의 갈등을 이겨내 항상 일에 적극적인 태도를 유지해야만한다. 하지만 그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다. - P173

패배자는 처음부터 패배자였던 게 아니라 스스로를 패배자로 인식하는 순간부터 패배자가 되는 것이다.
- P3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샤일록의 아이들
이케이도 준 지음, 민경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샤일록의 아이들』이라는 제목 앞에 고개를 갸웃거리게 된다. 샤일록? 샤일록이 누구지? 인터넷을 검색한다.

아.. 그 유명한 셰익스피어의 희극 <베니스의 상인>에 등장하는 유대인 고리대금업자라는 설명에 그제서야 제목이 이해가 간다. "돈만 아는 고리대금업자"의 대명사. 바로 현대판 합법적인 고리대금업자가 아니던가!

샤일록의 후예들 중 하나인 도쿄제일은행 나가하라 지점의 은행원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한자와 나오키>의 시리즈가 주로 주인공 한자와에 주목해서 펼쳐진 소설이라면 『샤일록의 아이들』은 은행원 모두의 시점에서 펼쳐진다. 부지점장 후루카와, 지점장 구조를 비롯해 융자과, 업무과 등 조직 내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각자의 배경에 따라 직위에 따라 처한 위치가 다른만큼 조직 내에서 갖고 있는 여러 갈등 들이 그려진다. 그리고 이 갈등이 펼쳐지게 된 이유는 단 하나. 바로 실적이다. 이 실적 앞에는 지점장도 부지점장도 자유롭지 못하다. 목표를 채우면 또 다른 목표가 요구되고 목표 미달성시 어김없는 질책이 떨어진다. 이 실적을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 나카하라 지점원들 간에 희비가 갈린다. 그리고 이 실적에 대처하는 방식 또한 판이하다.

 

실적이 요구되지 않는 조직은 없다. 굳이 이 소설 속 나가하라 지점 뿐만 아니라 모든 조직에서 실적은 중요하다. 조직에 속해있는 한 모든 조직원들은 실적 압박을 받는다. 이케이도 준은 이 무서운 실적 앞에서 대응하는 각 인물들의 태도를 더욱 부각시킨다. 특히 은행에서 무려 100만 엔이 분실되는 대형 사고 앞에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조직원들의 모습이 그려지며 소설 속 인물이 아닌 실제 우리의 모습은 어떠한지 되돌아보게 한다.

 

100만 엔을 훔친 범인에 대한 퍼즐이 맞추어가며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 그 놀라움도 놀라움이지만 이케이도 준은 왜 범인이 이런 행위를 할 수 밖에 없었는가에 주목한다.

 

패배자는 처음부터 패배자였던 게 아니라

스스로를 패배자로 인식하는 순간부터

패배자가 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 스트레스를 감당할 수 있는 건 결국 이 피할 수 없는 환경에서 자신의 태도가 올바른 사람만이 이 모든 걸 감당할 수 있다. 고졸 출신으로 피해의식을 가지고 있던 부지점장 후루카와의 경우 이미 패배자였다. 자신이 고졸 출신이라 출세가 느리다는 패배의식은 항상 그를 조급하게 했다. 고졸 출신이라서가 아닌 그의 피해의식이 패배자를 만들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작가의 말대로 조직에 있는 한 실적 압박은 피할 수 없고 부조리 또한 피할 수 없다. 이케이도 준은 도쿄제일은행 인사부 사카이 히로시를 통해 힌트를 안겨준다.

 

은행이라는 직장에서 오래 일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고 '감정'과 '현실'의 갈등을 이겨내

항상 일에 적극적인 태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하지만 그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다.


맞다. 실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그 어려운 일을 해내야만 하는 것이 조직에 속해있는 조직원들의 숙명이다.

 

소설 『샤일록의 아이들』은 현대판 고리대금업자인 은행원들의 모습을 비추지만 바로 우리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리고 나는 이 다양한 인물들 중에 누구에 속하는지 곰곰히 돌아보게 하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신은 얼마 안전가옥 쇼-트 13
하승민 지음 / 안전가옥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의 허황된 심리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