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강
장강명 외 지음 / 북다 / 2025년 10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증정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대한민국, 특히 서울의 상징은 '한강'이다. 한강을 기준으로 강남과 강북이 나뉘며 부의 기준이 달라진다. 한강은 서울의 모든 관광의 근간이기도 하며 생활공간이다. 한강이 없는 서울은 생각할 수 없을만큼 한강이 주는 의의는 크다.
소설집 《한강》은 일곱 명의 작가들이 '한강'을 소재로 한 단편 소설집이다. 일곱 명의 작가들은 사실주의 작가이자 르포 작가이기 한 장강명 작가를 필두로 하며 K-스릴러 작가로 유명한 정해인 작가 그리고 조영주 작가와 정명섭 작가 및 번역가이자 소설가, 에세이스트로 폭을 넓히고 있는 박산호 작가 등등 개성 강한 작가들이 함께 했다.

'한강'을 소재로 한 만큼 일곱 명의 작가들이 한강의 어떤 점에 주목하여 글을 써내려갔는가. 그 부분이 이 앤솔러지 소설집을 읽는 재미이다. 가장 인상 깊은 작가들 위주로 소개해보고자 한다.
먼저 가장 친숙한 이름 장강명 작가의 단편 소설 <한강의 인어와 청어들>을 보면 초반부터 장강명 작가의 특기가 나온다.
바로 소설은 소설인데 '사실'인 것처럼 르포처럼, 실화처럼 착각하게 만드는 특기이다.
가령 예를 들어보자. 장강명 작가는 작년 은행나무에서 출간한 '한국'을 소재로 한 단편소설 <소설, 한국을 말하다>에서도 참여했었다. 그의 작품집 [소설 2034] 에서는 기자의 이력을
살려서 K문학의 실체를 사실스럽게 쓴다. 자신의 작품에 '장강명 작가'라는 자신의 이름을 기록하며 마치 사실인 것처럼 이야기를 이어간다.
<한강의 인어와 청어들>역시 마찬가지다. 한강의 인어들 이야기, 무엇보다 동화나 판타지스러운 소재이다. 그런데 작가는 소설 초반 이 이야기의 책의 출판사와 원고가 사실인 것처럼 이야기를 한다.
그중 몇 편은 다행히 좋은 출판사를 만나 '시간의 언덕, 현수동'이라는 제목으로 책이 나올 예정이다. 그 책의 픽션 성분은 15퍼센트쯤 되는 것 같다. 그 책 원고를 기다리는 동안 북다에서 앤솔러지 '한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그래서 여기에는 이현수와 한강의 인어들을 처음 만났을 때 이야기를 적어본다.
이 글을 읽으면서 헷갈려진다. 이 이야기들이 작가의 후기에 나오는 부분인가 의심하게 된다. 하지만 분명 소설이다. 작가는 사실인 것처럼 독자를 사실과 창작의 경계를 허물어뜨린다.
'한강'에 떠오르는 보편적인 이미지라고 한다면 한강뷰가 보이는 아파트가 아닐까?
매일 폭등하는 서울 아파트값에서도 한강뷰 아파트는 어나더레벨 클래스의 부를 상징한다. 그 부의 이미지를 소설에 가장 크게 담은 작가는 K-스릴러의 작가 정해인 작가의 <한강이 보이는 집>이다.
금수저 집안, 대출 하나 끼지 않고 전액 현금으로 한강뷰가 보이는 아파트를 구매한 김양민의 집. 김양민은 기분이 좋다. 이런 집을 감히 누가 구할 수 있을까. 한참 플렉스를 외치며 돈놀이를 한다. 그런데 술에 취한 다음 날 깨어나보니 아내가 죽어 있다. 식칼에 배에 찔린 채로. 과연 김양민이 아내를 죽였을까?
범인을 추리해가면서 김양민의 부에 대한 면들이 이야기 곳곳에 드러난다.


한강뷰의 집이 가지는 부의 그늘진 면, 그리고 그 부에 드러나는 인간의 욕망을 그려낸다. 너무 사실적인 인간의 욕망, 노골적인 부의 그늘을 보여준다. 그래서 아내를 죽인 범인이 누구인가보다 그 부에 드러난 그림에 더 몰입해서 읽게 한다.
반면 임지형 작가의 <한강을 달리는 여자>와 박산호 작가의 <달려라, 강태풍>등은 달리기와 반려동물과의 산책하는 한강로를 떠올리게 한다. 자신을 위한 달리기에서 한 아이를 살리기 위한 달리기로 변신하는 <한강을 달리는 여자>, 그리고 반려동물의 의리를 나타내는 박산호 작가의 작품 그리고 귀신을 소재로 한 한강뷰가 보이는 차무진 작가의 <귀신은 사람들을 카페로 보낸다>는 진한 휴머니티를 선사하며 강한 감동을 남긴다.
앤솔러지 소설집 《한강》은 하나의 소재에 이토록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작가의 이야기들을 골라 읽는 재미가 있다.
많은 소설 중 베스트를 꼽는다면 정해인 작가의 <한강이 보이는 집>이 가장 공감이 가며 몰입도가 높았던 소설이었다. 한강은 많은 사람들에게 평화와 안식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서울에서 자살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공간이기도 하다.소설집 《한강》 을 읽으면서 생각해본다. 부디 안 좋은 추억보다 좋은 이야기들이 더 많이 쌓이는 한강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이다. 그 한강을 어떤 이야기로 만드는가. 어떤 공간으로 인식하게 하는가는 결국 우리 모두의 이야기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