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과 결정은 타이밍이다
최훈 지음 / 밀리언서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택과 결정은 타이밍이다

1%의 미련도 남지 않게 최선의 선택과 결정을 하는 법

 

나이를 먹으면 선택과 결정을 일도양단처럼 딱 부러지게 내릴 수 없게 된다. 우유부단이나 선택 결정 장애라 해도 좋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 이 말도 옳고 저 말도 옳은 경우가 우리 생활 속에서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이 그리고 자주 일어난다. 또, 짬뽕을 먹을 것인가, 짜장을 먹을 것인가 하는 단순한 선택과 결정에도 주저하는 이들도 의외로 많다.그저 우리가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을뿐이다. 이 작은 선택과 결정을 주저하면 자신 생각이 없는 사람으로 오해받기 쉽상이다. 실제로 그런 사람도 있을 수 있겠지만 말이다. 

 

지은이는 이 책을 펴낸 목적을 자신의 경험 속에서 선택과 결정이 타이밍임을 절감, 나름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이들이 최선의 선택과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라고 했다.

 

결정을 두려워하는 사람으로 살지 않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선택과 결정의 주체가 내 자신임을 자각하는 단계에서 출발한다. 내 삶의 주체는 ‘나’라는 인식, 내 기호, 습관, 가치관과 아울러 내 안에 있는 또 다른 나와의 소통, 직면하기다.

 

누구나 선택과 결정, 선택 불가능 증후군은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만, 누구에게나 있고, 정도의 차이는 개인차에 기인한다. 선택과 결정에서 “답변 유보, 시간벌기 등”으로 생각할 여유를 확보하고, 그동안 검토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챙겨보고 점검해보라는 것이다.

 

최고의 선택과 결정을 위한 5가지 키워드와 필요한 큐레이션

 

우선 첫째로 내 모든 결정을 <긍정>하라, 두 번째 <심플> 즉, 단순하게 생각하라. 셋째 너 자신을 알라<확신>, 넷째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라. 그리고 마지막 <경험>이다. 최고의 선택은 경험에서 나온다.

 

복잡한 생각을 정리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머릿속 원숭이 죽이기(90쪽)를, 머릿속에 서 들리는 많은 이야기 곰곰이 따져보면, 주위의 시선과 관심, 다른 사람의 기대감 등 지금까지 내면화된 모든 것들을 떨쳐내는 것이다. 또 결정 저울 파악하기는 100% 완벽한 선택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최선이 무엇인지, 어떻게 50:50을 이룰 수 있는지를 고민해보라는 것이다. 팔랑귀 예방법은 남의 이야기에 휘둘리지 말라, 잠시 멈춰서 생각하고 천천히 결정을, 그다음으로 프로결정러의 말하기는 적확한 표현, ‘나’ 화법, 솔직하게 표현하기가 중심이다. 프로 결정러의 체크리스트(내가 지금 이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요소별로 따져본다)

 

이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상황분석도, 내 안의 존재하는 또 다른 나와의 소통하는 것도, 모두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이를 “생각할 여유 갖기 혹은 시간벌기”라는 아주 중요한 수단을 들고 있다. 선택과 결정이 어려운 상황, 여러 가지 상황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황에서 뭘 선택과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지, “정답”은 없다. 다만, 여러 가지 요소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지은이는 다행스럽게도 태생적으로 소심한 성격과 신중한 성격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다. 선택과 결정의 시간차는 개인차일 수도 있고, 사고방식, 즉 생각하기, 가치관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도 존재한다. 즉 멀티, 입체적이며 복잡하다는 점, 그리고 이 선택과 결정으로 누군가가 손해를 보거나 불이익을 당할 수 있느냐의 여부 등도 함께 생각하기 등이 기본이 돼야 할 것이다.

 

지은이의 주장에 크게 동의한다. 설득력 있는 자료들을 끌어들여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는 점도 이 책의 장점이다. 무엇보다도 당위론이 아닌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결정장애를 고치려 노력하는 가운데서 깨우친 것들을 공유하려 힘쓰고 있다는 점이 독창적이라 할 수 있겠다.

 

상황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선택을 했을지라도, 긴장감을 놓지 않고 단기, 중기, 장기에 걸친 상황 전개를 머릿속으로 그려가면서 변화에 따른 대응안을 마련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 확보가 훌륭한 선택과 결정을 내올 수 있는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또 하나는 <하인리히의 법칙> 한 건의 사고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29번의 같은 류의 사고가, 300번의 사고가 일어날 뻔한 상황이 1:29:300…. 이 또한 선택과 결정에 참조할 만한 이야기다.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날 수 없다-

 

<북코스모스 도서평가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