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암시 - 자기암시는 어떻게 우리의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을까
에밀 쿠에 지음, 김동기 옮김 / 하늘아래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자기암시』 

시험공부할 때 제일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나는 할 수 있다.'

'시험부분을 다 외울 것이다.'

'내가 원하는 점수(대학)에 갈 것이다.'

열심히 외쳐보았지만 결과는 노력한 것에 비례(?)로 나오곤 하였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자기암시'에 관련된 책을 읽게 된 적이 있었습니다.

그 책의 내용으론 매일 아침, 내가 제일 많이 머무는 곳에 이루고자 하는 것을 종이에 써 붙이고 계속해서 자기암시를 하면 언젠간 이루어진다고 하였습니다.

사실 읽으면서 의심쩍었지만......

세월이 흘러 이번에 만나게 된 이 책, 『자기암시』.

이 책의 앞표지에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Day by day, in Everyway, I am getting better and better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자기암시'는 어떤 것인지, 어떤 힘을 가졌는지 궁금하였습니다.


<들어가는 말>에서 저자인 '에밀 쿠에'의 이론을 한 마디로 요약하였습니다.

"상상하라. 그러면 이루어질 것이다." - page 9

그는 의식적인 노력이나 의지를 통해서 생각을 바꾸려 하지 말고 아예 무의식을 길들여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은 즉, 자기암시로 무의식에 각인되어 뇌에 명령을 내리게 되고 뇌는 그 명령에 따라 삶을 움직인다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자기 자신 속에 숨겨진 힘을 믿으라는 것이었습니다.

숨겨진 능력, 그것은 바로 우리의 마음 속에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책 속에는 자기암시에 관한 질문들, 자기암시를 돕는 수행법등이 실려 있었습니다.

특히나 <자녀들을 위한 최고의 교육법, 자기암시>엔 이런 문장이 있습니다.

아이가 잠자리에 들면 엄마나 아빠 중에 한 사람이 조용히 아이 곁으로 가서, 아이가 깨지 않도록 나직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공부, 건강, 집중력 등 아이에게 바라는 습관이나 덕목 등을 15회 내지 20회 반복한다.

(중략)

아이가 잠이 들면 아이의 몸과 의식적 자아는 휴식 상태에 들어간다. 하지만 무의식적 자아는 잠들지 않고 깨어 있다. 따라서 잠이 든 아이에게 말을 걸면 자연스럽게 아이의 무의식이 듣게 된다. 무의식적 자아는 무엇이든 그대로 믿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부모가 말한 모든 것들을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인다. - page 99

아이를 키우고 있기에 이 부분에서 알려준 자기암시법을 한 번 실행해 보려고 합니다.

보다 좋은 덕목과 좋은 장점만 가득한 사랑스러운 아이로 자라나라고 조용히 속삭이려 합니다.


자기암시를 돕는 몇 가지 수행법 중 <마르크 오렐의 의식적 자기암시 수행법>이 있었습니다.

1.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목표를 정하라

2.긴장을 풀라

3.상상하라

4.집중하라

5.매일 긍정적인 암시를 반복하라

6.늘 유지하라

이 간단한 방법이 우리의 무의식 전체에 긍정의 힘을 선사하고 우리의 삶을 행복하고 아름답게 바뀌게해 준다는 점에서 매력있게 다가왔습니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자기암시'는 결국 자신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자신은 누구보다 더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기에, 더 능력이 있기에 보다 자신에게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면 이 역시도 내 안의 무의식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여 훗날엔 자신이 원하는 기적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요즘은 제 스스로에게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 보다 행복해지기 위해 '감사일기'를 쓰곤 합니다.

조금씩의 변화가 불러일으킨 소소한 행복에 감사함을 느끼며 이번엔 '긍정적 자기암시'를 더하여 보다 하루하루가 행복으로 풍성해지길 빌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