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희망 수업 - 그럼에도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꿈꿔야 하는 이유
최재천 지음 / 샘터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사회생물학자로서 책과 강연, 칼럼 등을 통해 환경·생태 문제뿐 아니라 사회적 현안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화두를 끊임없이 제시해 온 '최재천' 교수.

개인적으로도 그의 책을 찾아 읽곤 합니다.

최근에 『최재천의 서재』를 읽으면서 다양한 분야의 책에 관심이 생겨 장바구니에 담아두곤 하였는데...

그러다 이 책을 보자마자 여느 책보다 그의 이야기가 더 눈길이 갈 수밖에 없었고!

마침 읽게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희망'을 선사해 주실 최재천 교수님!

저도 지금부터 그 희망을 찾아보려 합니다.

그럼에도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꿈꿔야 하는

이유

최재천의 희망 수업



책은 총 1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통섭, 공부, 독서, 글쓰기, 소통, 진로, 생태적 삶 등 다양한 삶의 주제 대한 새로운 시각과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해보기 전에는 알 수 없다"

(You never know until you try.)

지레짐작하여 포기하지 말라고

절실하게 꿈을 찾아 방황하고 부딪쳐 보라고

우리에게 한 발짝씩이라도 앞으로 나아가면 '희망'을 찾을 수 있음을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모든 주제마다 지금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해 주었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생각하게 해 주었습니다.

덕분에 바쁘게만 돌아가는 현실 속에 책을 읽으면서 잠시 숨을 돌렸고 지금의 내 위치를 확인하게 되었고 문제를 인식하며 어떻게 방향을 잡고 나아가야 하는지 어렴풋이 알게 되었습니다.

새해를 맞이하면서 개인적으로도 '공부'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막상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그러다 마주하게 된 3장.



그가 『최재천의 공부』에서

공부는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단순한 과정이 아닌,

내가 누구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들여다보며 바닥난 자존감을 일으켜 세우는 일이라는 것을.

인간 사회 자연을 알아가려는 기꺼운 노력이며 서로 이해하고 사랑하며 살기 위한 분투이기에

알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우리에게 일러주었었는데 이번엔 우리에게

백세 시대가 되었잖아요. 30대도 대학 가야 하고, 40대도 대학 가야 하고, 70대도 대학 또 가야 합니다. 죽으려면 몇십 년 남았는데, 일찌감치 뒷방 늙은이가 될 수는 없잖아요. 또 배워서 새로운 직장을 얻어야 합니다. 그런 세상이 왔으니까 교육도 그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저는 이런 상상도 해 봅니다. 북한식 용어로 '전 국민의 강군화'라는 말이 있는데, '전 국민의 박사화'는 어떨까요? 전 국민이 다 박사가 되면 얼마나 좋겠어요? 저는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에 여러 번 들어갈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하다고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마지막 남은 여러분의 옵션은 책을 읽는 겁니다. - page 99 ~ 100

그리하여 자연스레 다음 장에서는 '책 읽기'에 대해 이야기하였습니다.

그럼 책 읽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독서는 일이어야만 합니다. 책 읽는 게 취미라면 전혀 도움이 안 됩니다. 잘 모르는 분야의 책을 붙들고 씨름하는 게 훨씬 가치 있는 독서라고 생각해요. 물론 모르는 분야의 책을 붙들었는데 술술 읽힐 리 없겠지요. 우여곡절 끝에 책 한 권을 뗐는데 도대체 뭘 읽었는지 하나도 기억에 안 남는 경우도 있을지 몰라요.

하지만 기왕에 읽기 시작한 그 분야의 책을 두 권 읽고 세 권째 읽을 무렵이면 신기하게도 책장을 넘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겁니다. 그렇게 새로운 분야의 두툼한 책을 끼고 몇 번 씨름하고 나면, 그다음부터는 잘 모르는 또 다른 분야의 책을 붙들어도 읽힙니다. - page 117



아...

올해엔 모르는 분야의 책과 씨름한 번 해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와닿았던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