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 있는 세계사 365 - 역사책 좀 다시 보고 싶은 이들을 위한
요나스 구세나에르츠.벤저민 고이배르츠.로랑 포쉐 지음, 정신재 옮김 / 정민미디어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개인적으로 '1일 1페이지' 알아가는 재미를 좋아합니다.

부담 없이 읽다 보면 어느새 상식이 쌓이는!

그리고 꾸준함까지 얻을 수 있다는!

그래서 책장에도 눈에 띄는 곳에 '1일 1페이지' 교양서적들이 존재하곤 합니다.

이번에

인류의 역사에 아직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관심은 있는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재미있게 읽을 만한 책을 찾지 못한 사람을 위해

하루하루 벌어졌던 중대하고 가끔은 소소한 오늘의 세계사를 한 권으로 엮은 책

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과연

오늘은 무슨 일이 있었을까?

6000년 인류의 운명을 결정한 음모, 암살 그리고 역사적 발견

365일 놀라운 세계사의 순간들

하루에 하나씩 알아가는 세계사의 비밀

날마다 1분의 역사로 하루가 특별해진다

쓸모 있는 세계사 365



이 책이 신선한 건 역사 속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의미 있는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마오쩌둥을 대신해 망고가 숭배를 받았던 이야기,

안네 프랑크의 일기가 전 세계에 큰 감동을 주게 된 과정 등

들어보긴 했지만 잘 알지 못했던 사건들의 뒷이야기

만우절 농담처럼 유쾌한 역사부터 피임약 발명과 같은 혁신적 사건까지

다양한 주제와 스펙트럼으로 역사의 다채로운 면모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굵직한 사건들만을 기억하고 있었다면 이번을 계기로

다양한 역사적 순간들이 있었구나!

이런 일들이 쌓여 지금 이 순간이 이루어졌구나!

하는 놀라움과 이미 잘 알려진 역사를 드디어 알게 되는 스릴이,

언젠가 지금 이 순간도 어떻게 기록될까...

란 기대감으로 재미와 상식 두 마리를 한 번에 잡을 수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눈길이 가는 건 우리나라와 관련된 사건들이었습니다.

7월 27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의 산물로, 한반도를 무대로 강대국 간의 '뜨거운' 대리전으로 발생했던 '한국전쟁'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남한을 침공을 시작으로 250만 명 이상이 사망했던,

1953년 7월 27일 대한민국과 북한이 휴전 협정을 체결해 전쟁을 중단하고 오늘날까지 분단국가로 남아있는...

여전히 가슴 아픈 역사는 현재까지도 이어져 안타깝기만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의 한국전쟁(1950~1953) 당시 야전병원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일상을 코믹하게 표현한 작품이 있었으니

1983년 2월 28일,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TV 시리즈 <M.A.S.H>

CBS에서 1972년부터 1983년까지 방영된 TV 코미디물로 14개의 에미상을 비롯해 많은 상을 받았고 마지막 에피소드인 251화 <안녕, 작별 그리고 아멘>은 픽션물 중 여전히 가장 많이 본 에피소드로 남아 있다고 하니...

이 사실이 웃프게 다가왔습니다.

그리고 5월 18일

1980년 유난히 푸르렀던 광주를 뒤흔든 사건인 민주화 운동

신군부의 폭정과 독재에 대한 분노와 저항의 목소리.

이를 제압하기 위해 민간인에게 실탄을 발사한 군인들.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를 향한 시민들의 숭고한 희생...

또다시 울려 퍼지는 요즘...

가슴속 촛불이 뜨겁게 타오릅니다...

역사가 반복되는 게 아니라

인간이 반복하는 것이다.

-볼테르



우리가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

역사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닌, 현재에도 교훈과 통찰을 줄 수 있는 살아 있는 이야기이기에

특히나 같은 실수는 반복하지 않도록 경각심을 갖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야 했습니다.

읽고 나서 뒤따라온 묵직함...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나의 아이들이 더 나은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저도 또다시 역사에 눈을 돌려야 했습니다.

참고로

1월 13일 오늘은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오늘의 역사를 남기며 저도 오늘 열심히 살아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