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인간심리 속 문장의 기억 Shakespeare, Memory of Sentences (양장) - 한 권으로 보는 셰익스피어 심리학 Memory of Sentences Series 3
윌리엄 셰익스피어 원작, 박예진 편역 / 센텐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국 최고의 시인이자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오셀로》, 《리어왕》, 《맥베스》 4대 비극과

《말괄량이 길들이기》, 《베니스의 상인》, 《십이야》, 《한여름밤의 꿈》, 《뜻대로 하세요》 5대 희극

으로 친숙하다고 할까...?!

하지만 그는 희곡뿐만 아니라 언어로 구성된 모든 것에 통달하였다고 하는데

100편이 넘는 시에 우리가 자주 쓰는 영단어가 셰익스피어가 만든 영단어...

그의 능력은 어디까지인가!

아무튼 오늘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작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엄선하여 스토리와 그 속의 명문장에 해석을 덧붙여 한 권으로 엮었다고 하니 어떤 작품 속에서 어떤 문장이 우리에게 울림을 선사할지 기대되었습니다.

With love's light wings did I o'erperch these walls, for stony limits cannot hold love out.

사랑의 가벼운 날개로 나는 이 벽을 넘었어

돌담을 사랑을 막을 수 없거든.

세상은 하나의 무대, 그 위의 남녀는 모두 배우일 뿐

한 권으로 보는 셰익스피어 심리학

셰익스피어, 인간심리 속 문장의 기억



책은 셰익스피어가 집필한 작품 중 사랑, 질투, 야망 등 모든 인간 감정을 아우르는 주요 14개의 작품을 스토리와 명문장에 심리해석을 덧붙여 5개의 파트

Part.1 마법 같은 사랑과 운명 속으로

Part.2 로맨스 코미디의 서사

Part.3 각자의 정의에 대한 딜레마

Part.4 인간의 욕망과 권력에 대하여

소네트

로 나누어 우리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사랑이란 무엇인가?

복수와 용서의 경계는 어디에 있는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를 되돌아보며 인간 본성과 삶의 복잡한 문제를 탐구하게 해 주었습니다.

셰익스피어의 복수와 화해를 다룬 마지막 희곡 《템페스트》.

저는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습니다.

형제인 안토니오의 배신으로 공작자리를 빼앗기고 딸과 함께 바다에 던져지게 된 '프로스페로'.

마법의 지식이 있었던 그는 마법을 통해 섬을 지배하며 복수를 꿈꾸지만 결국 용서를 택하게 되는데...



이 작품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복수보다는 용서와 화해가 더 큰 힘을 발휘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서로의 복잡한 감정을 이해하고, 일상에서 미움보다 관용을 실천하는 것...

잘 알지만 실천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그리고 스코틀랜드 국왕 막 베하드의 일생을 다룬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인 《맥베스》.

요행을 바라고 욕심이 많지만 남을 해칠 수 있는 악한 사람은 아니었던 맥베스.

그는 평범한 인간이 가질 법한 욕심을 가졌을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마녀의 예언을 들은 후

맥베스 부인은 남편에게 살인을 종용했고,

맥베스는 왕위에 오르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며 점점 편집증에 시달리게 됩니다.

죄책감으로 환각까지 경험하고 결국 그들은 순간의 욕심으로 스스로를 끔찍한 지옥 속으로 몰아넣는데...



이 책이 유독 눈에 띄었던 건...

이는 현대 사회에서 성공에 대한 강한 욕망으로 인해 사람들이 윤리적인 기준을 무시하고, 법적 혹은 도덕적 규칙을 어기게 되는 상황에 빗대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성공이 주는 보상이 크다고 믿을수록 개인이 더 큰 위험을 감수하고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게 되는 인지 부조화와 연결됩니다.

맥베스는 자신의 죄책감을 억누르려 하지만, 끝내 그 죄책감에 의해 무너지고 맙니다. 이는 현대인이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덕적 기준을 무시하고 목표를 달성한 후에도 불안, 스트레스, 심리적 고통을 겪는 과정을 반영합니다. - page 202 ~ 203

권력을 향한 욕망...

그 끝은 비극임을...

하아......

마지막 장에 있었던 우리나라의 시조와 비슷한 위치라 할 수 있는 셰익스피어의 시 '소네트'.

그중에 이 소네트는 그를 의미하고 있었습니다.

So long as men can breathe or eyes can see,

So long lives this, and this gives life to thee.

사람들이 숨 쉬고 눈으로 볼 수 있는 한,

이 시는 영원히 살아 그대에게 생명을 주리.

이 책을 읽고 나니 그의 작품을 다시금 읽어보고 싶었습니다.

문장에 담긴 깊은 울림은 우리의 삶을 되짚어보게 하였고...

언젠간 보다 나은 우리가 될 수 있을까...

작지만 확실한 희망도 가져봅니다.

200문장들.

이제 하루에 한 문장 새기며 보다 나은 나를 완성해 보려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