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이방원
이도형 지음 / 북레시피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곧 있으면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있습니다.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이 여기저기 얼굴을 비추고 인사를 하며 자신들의 공략을 외치는...

하지만 마냥 좋게만 보이지 않습니다.

어차피 한 때일테니...

공략은 무슨...

서로 치고받고 싸우는 모습을 보이는 그들...

그럼에도 이번엔 좀 나으려나 기대를 하는데...

어?!

태종 이방원이?!!

발상이 너무 신선하였습니다.

아니, 시기가 시기였기에 더 반가웠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과연 그는 우리에게 어떤 정치를 보여줄지 기대하며 읽어보았습니다.

"왕이 우리에게 온 것은 천행이었다!"

육백 년 전 태종 이방원, 대한민국 국회의원 몸에 빙의하다!

반목과 불신, 권력지향과 탐욕의 정치판을 뒤엎다!

국회의원 이방원



"의원님, 다음 일정 가시려면 준비해야 해요." - page 9

여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인 '이동진'.

권력의 무서움을 미처 몰랐었습니다.

집권 2년 차, 다가온 지방선거에서 야당은 정권 실세 양종훈 문화부 장관 재산에 문제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싸움에 가담하지 않으려 했던 동진.

동료 의원 하나 없는 초선 비례대표 의원의 외침은 치기 어린 소장파 정치인의 객기로 해석되었고 결국 끈 떨어진 젊은 정치인을 찾을 어떤 관료도, 언론인도, 정치인도 없었습니다.

2년 뒤.

자신의 운명이 '낙선'으로 결정됐음을 알았고 '악플'을 넘어 '무플' 신세가 된 동진.

"종묘를 꼭 가야 해?"

"장 보좌관이 말한 거잖아요. 반드시는 아니지만 지금은 어떻게든 얼굴 한 번이라도 비춰야 한다고. 종묘잖아요. 지역구로 가야죠. 빨리 씻고 준비하세요." 다혜가 말했다. - page 13

보좌관 회의에서 선호는 죽으려면 제대로 죽어야 한다고 그래서 종로 출마를 제안했습니다.

동진은 뻔히 죽으러 가는 그 수가 마뜩잖았지만, 방법이 없다는 사실도 알기에 종묘로 발걸음을 옮깁니다.

장중한 음악이 들립니다.

종묘제례악.

노란색 보자기, 정확히는 위패를 감싼 보자기를 든 사람이 동진을 향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발을 헛디디는 것 같은...

부딪힌 동진이 바로 일어나긴 했는데...

"바로 일어나시긴 했는데, 그 뒤로 이상해요."

"왜?"

"의원님 같지 않으세요."

"뭔 소리야? 영혼이라도 바뀌었어?" - page 19

가지런한 눈썹, 적당하게 솟은 코, 아담한 눈망울, 그리고 열망을 감추려 애쓰는 얼굴.

분명 동진이 맞는데...

"과인이 연화방에서 눈 감은 지 어제와 같거늘, 영락 오뉴월의 비는 어디로 가고 지금 과인은 어디에 있는 건가. 자네들은 누구인가!" - page 20 ~ 21

자신이 '태종 이방원'이라 합니다.

이 무슨 말도 안 되는 상황 속 장선호는 현대에 부활한 이방원의 정체를 숨기고 보좌관직을 계속 이어나가기로 마음먹습니다.

한편 놀라운 현대 문물을 접하며 문명을 즐기려던 이방원은 특유의 권력욕으로 실세들의 다툼에서 정치적 책략을 내놓으며 장선호를 비롯한 이동진 측 보좌진들을 돕기 시작하고 이로써 이동진의 정치적 위상은 점차 올라가는데...

이들의 반대편에서 오직 권력과 야망으로 국회를 뒤흔드는 거물급 정치 인사들.

고성과 설전이 난무하는 현대의 국회에서 600여 년 전 이방원의 정치적 책략을 이용해 과연 이동진은 대선 승리를 이룰 수 있을까...!

"이 시대에 온 뒤로 많은 사람들이 과인을 평가하는 것을 보았지. 학살자라는 표현부터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 자식에 관대했던 군주, 아버지와 대립한 패륜아 등등. 누군가는 '킬방원'이라고 하더군. '킬'이라. 과인의 이름 앞에 '죽음'이 있다니 생경한 느낌이었네. 과인은 모든 말에 부정하지 않아. 왜인 줄 아나? 나는 내 아이가 붙인 '태종' 이방원이기 때문이지. 결국 과인은 조선을 반석 위에 올렸어. 내 아이가 그래서 나에게 '태종'이라는 묘호를 붙인 게지. 과인이 역사에 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뭔지 아나? '힘'과 '뜻'을 일치시켰기 때문이지. 자네가 말해준 이 나라를 이끌겠다는 포부, 좋네. 마음에 들어. 하지만 뜻을 관철하려면 반드시 '힘'이 필요하네. 지금까지 과인의 조언으로 힘을 얻기 직전까지 간 건 맞지만, 앞으로는 더 험난한 세월이 기다리고 있을 걸세. 자네는 그걸 잘 헤쳐 나갈 수 있겠는가?" - page 315

이방원은 종종 이런 말을 건네었습니다.

"내 육십갑자도 열 번이 지나 현세에 깨어났지만 요새 보니 사람 사는 세상 어디나 다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자네도 그렇게 생각하나 보군? "

600년 전에도 한반도는 정치는 혼란스러웠고 불안했으며 그때는 권력이 국민이 아닌 한 개인, '왕'에게 응축되어 있었기에

"권력이란 말일세. 다른 자들을 의식하면 제대로 쓸 수 없네. 나라를 제대로 이끌기 위해서는 자네가 똑바로 진두지위해야 한다는 걸 몇 번이나 말했나?"

동진이 방원에게 말했다.

"말씀해주신 걸...... 이해는 합니다만...... 지난번 토론 전에, 그 전에 말씀드리지 않았습니까. 이 대한민국을 이끌고 가려면 증오와 반대만으로는 안 된다고요. 국왕께서도 그건 동의하지 않으셨습니까." - page 313

정치의 핵심은 '사람'을 이해하는 것임을.

정치의 해법은 하늘에서 내려온 위인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땅 위의 사람들 간 믿음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을.

육백 년 전 태종 이방원, 대한민국 국회의원 이동진으로부터 배웠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그래도 덕분에 짜릿했고 통쾌했으며 정치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상 곳곳에서 '타인에 대한 믿음'에 대한 덕목의 필요함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번 선거...

우리 역시도 보다 현명한 선택을 하여 나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도록 많은 관심이 필요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