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절의 독서 - 김영란의 명작 읽기
김영란 지음 / 창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최초의 여성 대법관이자 '소수자의 대법관'인 '김영란'.

우리 사회의 정의 확립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키는 데 앞장서 왔으면서도 평생 유일하게 계속해온 것이 있다는데 그것이 바로!

'책읽기'

그녀의 삶을 구성했던 책들은 어떤 것일지, 작품으로부터 그녀의 삶엔 어떤 의미가 부여되었는지 궁금하였습니다.

"상처를 치유하고,

이겨내는 힘을

책에서 찾았다"

삶을 온전히 읽어내려는 독서가의

열렬한 책읽기

시절의 독서



이 책은 크게 3가지 파트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상처를 치유하고 이겨내는 힘을 책에서 찾다

: 루이자 메이 올컷, 브론테 자매, 버지니아 울프

'여성'이라는 변방에 존재했던 작가들에게 보내는 우정 어린 편지

: 도리스 레싱, 마거릿 애트우드

삶이라는 미로를 헤매는 현대인의 삶에 대한 사유

: 쿤데라와 카프카, 커트 보니것, 안데르센

이 시기의 여성작가들은 사회적 제약과 가족들로부터 고통과 상처를 받았지만 '소설'을 쓰면서 자신들이 원하는 세상을 만들며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는 모습을 통해 김영란 역시도 자신의 상처에 대한 치유를 얻고자 했다고 하였습니다.

『작은 아씨들』과 브론테 자매의 소설, 일과 가정에서의 의무를 동시에 요구받았던 여성의 입장에서 읽은 도리스 레싱,

직업적 법률가라는 정체성과 경험을 통해 해석한 카프카,

6월항쟁 직후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읽은 쿤데라 등

문학을 통해 삶에서 부딪힌 상처를 극복하고 다른 세상을 꿈꾸며 위로와 격렬한 현실 인식을 했다고 하였습니다.

독서 에세이이자 자기 성찰의 이야기였던 이 책.

뭉클하였습니다.

사춘기의 나는 『책읽기의 쓸모』에서 썼듯이 세상과 나를 분리했다. 나는 세상의 관찰자일 뿐 세상의 주인이 아니라고 생각했고 그 속에 직접 뛰어들지 않으면 상처를 입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직접 글을 쓰면서 상처를 이겨나가는 것은 어려워 보였지만 책을 읽으면서 간접적으로나마 상처를 이겨내는 경험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소설은 삶의 모순에 대한 이야기이고 그 모순을 나름대로 이해하고 이겨내는 각자의 방식에 대한 이야기이므로 읽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치유가 되기도 했다. - page 116

이 책을 읽으면서 '도리스 레싱'의 작품이 궁금하였습니다.

문학사에서 페미니즘의 전사처럼 여겨지지만 실은 어머니로부터 끝없이 도망치던 아이였다고 분석하면서 '모성'이라는 신화에 맞서 고군분투하는 도리스의 좌절과 안감힘을 만날 수 있는 『금색 공책』, 『생존자의 회고록』 등.

내가 도리스를 이해하고 연민을 가지게 된 것은 1980년대 우리 사회에서 전문직 여성으로서 살아남아야 했던 나 자신의 스토리가 포개어졌기 때문이다. 전업주부의 완벽한 뒷받침을 받는 이른바 엘리트 남성이 주류를 차지하는 집단에서, 여성이기에 그들보다 업무적으로 열등하다는 평가는 적어도 받지 않아야 한다는 목표하에 기를 쓰고 일해야 했다. 집으로 돌아오면 완벽한 집안의 천사로 살아가기를 요구받았던 시대였다. 간신히 집안의 천사와 싸워서 어느 정도 승리를 거둔다 해도 유령과 바위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인습과 편견들과의 싸움에서 이기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

버지니아는 해결할 수 없었던 일이라고 했지만 도리스는 이 문제에 정면으로 부딪쳤고 마지막까지도 이 문제에 몰두했다. 도리스가 마거릿 애트우드의 말처럼 20세기 작가들에 대한 러시모어산에 새겨질 인물로 꼽힐 수 있게 된 까닭은 이런 좌절의 경험을 진솔하게 써 내려가서 버지니아가 말한 두번째 문제의 뿌리까지 파고들어갔기 때문이다. 마지막까지 극복해내려고 애썼던 가족의 문제가 위대한 작가를 낳았다는 것은 모든 창작자들이 부딪히는 보편적인 아이러니의 한 모습일지도 모른다. - page 153 ~ 154

지금까지도 많은 여성들이 떠안고 있는 문제이기에.

저도 이 소설을 읽으면서 사색해 보고자 합니다.

저자로부터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배우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시대적 갈등과 개인적 고뇌를 함께 짊어진 채, 각양각색의 이유들로 자유롭지 않았다. 그런 시대에 자유를 꿈꾸는 자체가 불온이고 불행이었다. 그리고 그런 시대여서 누구도 행복하지 않았다. 행복하기 위해 살아간다는 명제가 낯선 시대였다. 그런 시대에 자유를 꿈꾸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생각하는 삶은 자유로운가, 그렇다면 행동하지 않고 생각만 하는 것은 괜찮을까, 더욱이 현실의 변혁에 눈감고 다른 세상을 꿈꾸는 일은 허용 가능한가. 이런 질문들은 마주하는 시대였으나 그 해답을 현실에서 찾기는 너무 어려웠다. - page 265 ~ 266

이 묵직함을 간직한 채 저 역시도 내 시절의 독서는 무엇이었을지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어떤 책들이 내 시절을 함께할지 기대해 보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