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도 잠시 <신학정치론>을 펼친 적이 있었는데, 중점적으로 할애한 유대종교나 구약에 관한 비평에 거리감이 느껴져, 혼자서 보기는 힘들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대표작인 <에티카>도 '신에 대하여'가 첫장을 이루며 시작한다.

마침 구약에 관한 개론서 존 콜린스 <히브리 성서개론>가 생겨서 들여다보며, 스피노자의 성서 이해와 현대 성서 연구 간, 일종의 서로 자기 자리를 확보하는 방식에 대한 정당성 같은 것을 적당한 거리와 견제를 두면서 볼 수 있을 거 같다. 비록 스피노자에게는 불공평하겠지만.

<에티카> 읽기에 대한 책도 있는 거 같고, 스티븐 내들러 <에티카를 읽는다 >는 과학이나 수학 논문 같은 에타카의 형식에 대한 얘기로 시작하는데, 조금 조심스럽게 글을 써내려가, 읽는 재미가 심심했다. 오히려 penguin판 <ethics>의 소개글에 스피노자의 심신에 관한 관점을 뚜렷이 가리켜, 그의 글을 그 관점에 맞춰 봤을 때 훨씬 구체적인 이해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그의 정치학은, 홉스의 <리바이어던>을 볼 때 느꼈던, 바라는 정치적 위치를 위하여, 고안한 듯한 참신한 개념과 논리가 연상되었고, 마치 정교한 공학같은 느낌이 든 적도 꽤 있었다.

 

 

 

 

 

 

 

 

 

 

 

 

 

 

 

 

 

 

 

 

 

 

 

 

 

 

 

 

구약을 신봉하는 청중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의 자유를 확보하려는 노력의 과정이라고 생각이 든다. 좀 더 큰 그림 속에서 오늘날 용어와 개념으로 그가 한 작업이 실제로 어떤 일을 한 것일까 하는, 누군가의 말대로, representation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러니까 헤겔의 <(소)논리학>을 보면서 느꼈던 점인데, 경험론이나 합리론이 딱딱한 형식의 사유방식이 아니고, 어떤 의식과정에 대한 생생한 증거로도 읽힐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물론, 아직 그쪽 책들을 접하지 못해서 그렇기도 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선통신에서 초고주파 영역을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 요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무래도, 상용성 같은 이유로, 우리 실생활에서 가까이 접하기는 어렵겠지만, 엄연히 그런 영역이 있을거 같다.

 

 

 

 

 

 

 

 

 

 

 

 

 

 

그 영역에 해당할 책들은, 내 책 중 이 정도인 거 같다. 광학이 어느 정도 개입한다는 것이 흥미로웠고, prerequisites로 통신쪽 물리쪽이 같이 언급되는게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흔히 quantum dot, quantum line 등으로 표현되는 저차원 물리계는, 당연히 양자역학의 장이다.

그렇지만, 양자역학을 처음 접할 때와 비슷하게, 저차원 물리계를 음미하는 것은 거의 완전한 새로움-학부 양자역학은 아주 조금밖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게 함정-이다.

양자역학을 접할 때면, 이것만 익숙해지면 미시세계는 쉽겠구나하고 예측하지만, 미시세계는 예측밖이다. 거꾸로 말하면, 학부 양자역학의 관점은 미시세계에 중심에 뒀다기보다, 거시세계에서 미시세계로 들어가는 법을 배우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미시세계입구와 안은 또 다른 얘기다.

저차원물리계에대한 접근도 과학분야와 공학분야가 또 다른 것 같다. 수중에 들어온 책은 이렇다.

 

 

 

 

 

 

 

 

 

 

 

 

 

 

오른쪽 책이 공학응용에 관련된 책이고, 왼쪽 책은 엄청 신선하면서 충분한 설명과 수식(derivation)이 갖춰져서 흥미롭게 보는 중이다. 아마 영미쪽 분이 아니고, 유럽쪽 분이라 그런지 서술 방식이 좀 달랐지만(notation같은 것이 아니고 설명하는 방식같은 것이), 충실한 지식전달임에는 분명했다. 그러니까 학부 때 본격적인 전공수업에 들어가기 전에 배우는 일명 '현대물리'처럼 이 분야에 처음 발을 들인 이들을 위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저자가, 아주 깊이있게는 아니지만 체계적으로 일반물리에 나오지 않는 내용을, 중요한 수식은 꼭 소개하면서 적당히 설명해주는 그런 느낌이 있다. 그런 느낌에다가 본격적일 때에는 나름 철저하게 접근한다. CQED(Cavity Quantum Electrodynamics) 실제 구현에 필요한 분야가 다양하고 깊이도 다양한 지라, 이런 방식으로, 소개했다가 깊이 팠다가를 반복한다. 그러다 보니 연습문제가 없는 것 같다.

 

아는 국내서적은 교과서적인 접근이기보다는 덜 형식적인 논문 같은 접근이라, 배경지식이 모자랄 때는 대하기가 쉽지 않지만, 일단 익숙해지면 한글이라서 의미파악이 편하다.

 

 

 

 

 

 

 

 

 

 

 

 

 

 

그래도 왼쪽 책은, 배경지식이 없어서 어렵다.

교과서 같은 접근을 한 책이 있는데, 예전에 도서관에서 잠깐 만나고, 그뒤로는 절판이 되고, 중고로도 나오지 않아서 볼 수가 없었다. 내용도 알차고 학생들이 접근하기에 편하도록 잘 짜여있었던 인상이었는데, 아깝다.

 

 

 

 

 

 

 

 

 

 

 

 

 

 

그리고 cqed 에 관한 챕터를 포함한 책도 생각났다. 마지막 장에 담겨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신과 머신러닝, 패턴인식 분야에서는 Matlab을 통해 구현해본 경우가 빈번했다. 씨나 자바처럼 좀 손 코딩을 좀 할까 했었는데, 매트랩 소개를 하는 블러그 같은 것을 보면 성능좋은 계산기라고 자주 표현했고, 머리나 손으로는 그리기가 쉽지 않은 것들을 그때그때 확인해 볼 수 있는 게 크다는 생각이 들어 바로 해볼 생각이 들었다. 매트랩 깔 궁리를 하다가, 30일 평가판을 우선 깔아 보기로 했다.

까는 과정은 그냥 깔렸고, 매트랩으로 만져볼 책들이 나한테 뭐가 있나 살펴 보았다.

 

 

 

 

 

 

 

 

 

 

 

 

 

 

 

 

 

 

 

 

 

 

 

 

 

 

이 정도가 있다. 한 며칠 코드보고 치면서 시작하다가, 교과서 문제나 그림들 만들어 보면 될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신 관련 강의를 벌써 반년 넘게 듣고 있는데, 좀 설렁설렁 줄거리만 훑고 지나간 부분이 많긴 하지만, 학부 커리큘럼의 향기들은 다 맡아 본 것 같다. 너무 좁은 영역에서 비슷한 내용을 반복한다는 첫 감상에서 시작해서, 지금은 공학의 즐거운 일면을 목격한 것 같아서 기분이 꽤 난다. 지금으로서는 대학원 과정 중 관심가는 두셋 과목을 잘 들으면서 마무리 짓고 싶은데, 재밌는 책들이 적지 않아서, 책 욕심이 급증하는 것이 문제다.

디지털 통신 분야에에 멋진 책들이 많았는데, 최근 득템한 책은 Digital Communication Receivers by H. Meyr, M. Moeneclaey, S.A. Fechtel 공저다.

 

 

 

 

 

 

 

 

 

 

 

 

 

 

 

책 앞부분만 보고 너무 좋았다. 마치 Sklar 의 책처럼 디지털 통신에 나오는 모든 내용이 알차고, 나름 유기적으로 담겨 있다. 거기다 이 책에 비하면, Sklar 책은, ideal model에 충실하면서, 그래서 가중치를 적절히 두지 않고 일정하게 골고루 관심을 주면서 책을 집필한 느낌이 든다. 물론,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다들 추천하는 책임에는 틀림없다.

이 책은 모든 내용을 Receivers 입장에서 재해석한다. 이런 관점의 변화가 매우 신선하다. 그리고, 실제 신호는 채널 전후에 가장 많이 변화하기 때문에, receivers입장을 중심으로 놓으면, 통신 과정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에 다름없다.

그래서, 대학원 과정에 나오는 심화 내용도 많이 담겨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