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로 시작하는 근대의 사상은 중세와는 결별한 듯한 인상을 준다. 중세와의 결별은 유럽을 관통한 어떤 정신적 통일을 받치는 토대가 허물어진 과정을 가르키고, 일반적으로 구교에 의한 일체감 같은 것이 그런 것이다. 근대는 그 시작이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지만, 그중 중요한 하나는 당연히 구교전통에 대항하는 개신교 운동을 말한다.

근대는 이렇게 허물어진 토양에서 싹튼 시대고, 그 토양 중 중요한 부분은 기독교기때문에 역사같은 거시적 흐름에도 꼭 기독교세계를 살펴야하고, 그 못지않게 개개인의 내면을 바라볼 때에도 기독교의 창으로 볼 필요가 있다. 철학과 사상도 그렇다.

따로 기독교 흐름만을 살펴보는 일은 지루하고 동기부여하기 힘들지만, 이렇게 개인의 내면이나 사상사 형성에 기여한 점을 보고 들여다보면 훨씬 도움이 된다. 경제변화보다 훨씬 더 사상이해에는 기독교 사상사를 충분히 헤아리는 것이 나은 거 같다.

 

 

 

 

 

 

 

 

 

 

 

 

 

오늘날 유럽은 게르만족과 노르만족, 슬라브족 유입을 떼어놓고 설명할 수 없으므로, 영국, 프랑스, 독일 에서 로마제국멸망 후 점차 어떻게 자리잡아 발전해왔는지 흐름을 잡으면 유럽과의 거리가 훨씬 가깝게 느껴진다. 아무리 그리스로마문명이 유럽근본이라고는 해도 이들은 말그대로 고대문명이므로, 유럽탄생은 로마제국멸망부터 시작이다.

 

 

 

 

 

 

 

 

 

 

 

 

 

 

이렇게 잡은 방향이, 데카르트나 칸트 책을 읽는데 훨씬 생동감있고 재밌게 다가갈 수 있을거라고 기대하는 중이다. 보고 싶은 책들은 요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대는 시작을 중세끝부터 잡을 수 있다. 중세를 막 벗어낫 사람들의 불안한 자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 셰익스피어의 '햄릿'이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영국인의 자부심이다.

하지만 현대영어와 거리를 생각해보면, 원문을 감상하기가 만만치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Oxford출판사에서 나온 <햄릿>을 보면 대번에 알 수 있다. 줄마다 처음보는 단어에 현대영어로 주가 달렸다.

 

 

 

 

 

 

 

 

 

 

 

 

 

 

 

이럴 때는 번역의 도움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마침 영국역사를 배경으로 펼쳐진 셰익스피어의 역사극 작품들의 번역이 나왔다.

 

 

 

 

 

 

 

 

 

 

 

그리고 요근래에 나온 역사극 연구서도 있다.

 

 

 

 

 

 

 

 

 

 

 

 

 

 

점차 후대로 오면서 오늘날 어휘로 읽을만한 책들이 많아진다. 어느 시대부터 오늘날 어휘로도 부담없이 읽을만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대 개인의 내면 형성의 궤적을 쫓는데는 세속인으로서 기독교인으로서 나눠서 내면 형성을 살펴보는 것이 유리하다. 대륙 합리주의와 영국 경험주의의 대비같은 철학사상으로 다루는 것보다 기독교인과 세속인으로서 각각 시대흐름을 잡으면서 다루는 것이 개인의 내면 형성을 지켜보는데 도움이 될 듯하다. 물론 과학과 비학을 함께 연구한 뉴튼같이, 두 실타래가 여기저기 얽혀 있긴 하지만, 각각 흐름만 잘 잡으면 훨씬 유용할 것이다.  

기독교인으로서 시대흐름을 잡기에는 후스트 곤잘레스의 책이 카톨릭이나 개신교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무리없이 기술한다.

 

 

 

 

 

 

 

 

 

 

 

 

 

 

세속인으로서 시대흐름 잡기는 굵직한 역사책들로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종교인과 세속인으로서 근대인을 살펴본 후에는 무신론자의 탄생을 흥미롭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 근대인과 깊게 관련맺은 글쓰기 중 하나는 자서전이다. 여기 구할 수 있는 리스트를 모아 본다.

 

 

 

 

 

 

 

 

 

 

 

 

 

 

그 중 유명한 몇몇 이들이 있다. 루소 <고백록>이 있고, 괴테의 자서전도 있다.

 

 

 

 

 

 

 

 

 

 

 

 

 

 

 

근대 유럽인이 어떻게 자신의 내면을 스스로 만들어왔는지 기대된다. 자서전은 아니지만 근대개인의 심리를 묘사한 <안톤 라이저>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융이 연금술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Princeton 출판사에서 내놓은 그의 전집중에서 연금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집을 간추린 선집만 출판되어 있고, 안타깝게도 연금술은 선집에서 많지 않은 분량만 채택되었다.

 

 

 

 

 

 

 

 

 

 

 

 

 

 

 

그중 왼쪽 책은 무척 흥미로운 책이다. '신비로운 결합'으로 번역될텐데, 심리적인 내용이 2극이나 4극으로 대립된 상태에서 결합을 도모하는 연금술의 여러가지 방식과 이를 표현하는 여러가지 상징을 모아서 심리적인 의미를 정리해놓은 책이다. 

가운데 책은 연금술 문헌과 연금술 상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민담, 환상경험을 소개하면서 주석을 가한다. 소개된 민담은 무척 낯익은 내용으로, 도끼로 나무를 자르던 젊은이가 병에 갇힌 정령을 풀어주었다가 한바탕 고생하고 다시 병속으로 가두는 이야기다.

오른쪽 책은 예수와 관련한 심리적 내용과 상징이야기를 풀어 놓았다.

다만 융이 연금술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는 방식은 연금술사가 남긴 문헌을 토대로 연금술에 담긴 심리적 내용을 밝혀 내는데 주안점을 둔다. 이러다보면 연금술사들이 실제 연금술과정과 연금술사들은 어떤 사람들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이들은 아더왕에 나오는 멀리같은 마법사인가, 도교의 연단술을 연마한 도사같은 이들인가, 단순히 기술자들인가, 연금술사들의 바램은 무엇인가? 생명연장은 아닌 거 같고, 신비로운 진리추구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