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드는 것 일로, 삼았습니다 - 여성 작가 15인의 창업 이야기
다가와 미유 지음, 김옥영 옮김 / 에디터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스스로 무언가를 만드는 일로 직업을 삼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만드는 것을 일로 삼은 사람들에 대한 책이 있다니 무척 반가웠다.

이 책은 15명의 일본인 여성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모두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삼은 사람들이다. 스테인드 글라스부터 은공예까지 직업이 모두 다양하다. 스테인드 글라스는 공장에서 만드는 것인 줄 알았는데 손으로 만들 수 있다니 참 놀라웠다. 액자도 공장에서 다 제작하는 것인줄만 알았는데 핸드메이드로 액자를 만드는 사람이 있다니 신기했다.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삼은 사람은 참 손재주가 좋은 것 같다.

 

어떻게 이 일을 직업으로 삼게 되었는지 이 일을 하면서 어려웠던 사항은 무엇이었는지 또 좋았던 것은 무엇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또, 프로필과 직업으로 삼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일러준다. 하지만 자세하지 않아서 아쉽다. 프리랜서라서 그렇겠지만 얼마나 벌 수 있는지 가게는 어떻게 차렸는지 비용은 얼마나 드는지 등을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20대에 가게를 시작했습니다>는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나와 있어서 좋았는데 이 책은 그런 점은 알 수가 없어 아쉬울 따름이다. 좀 더 자세히 소개되었더러면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더욱 힘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만드는 것을 일로 삼은 사람들이라 그런지 어디에서 배우기 보돠는 거의 창조한다고 보이는 사람들이 많다. 직업도 자기가 인맥을 통해서 개척해서 가진 사람들이 많다. 만드는 것이라 그때 그 때 달라지는 데다 작가의 취향,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책을 보면서 이 분야의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배운다고 해도 자신만의 개성이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에 창조적 욕구가 강한 분들에게 맞는 직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관심 있었던 직업은 스위트 파티셰이지만 그 밖에 뜨개질 인형, 핸드메이드 액자, 슈즈 디자이너와 같은 직업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 기쁘다. 이런 직업들에 대해 알고 싶은데 알 길이 없어 막연했던 사람들이라면 이 책이 도움이 될 듯 하다.  특히 스테인드 글라스 같은 경우에는 몰랐는데 해외에서 스테인드 글라스 학과가 설치된 곳도 있다고 하니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만드는 것을 직업으로 삼은 사람들은 회사에 소속되지 않는 이상은 프리랜서이기 때문에 고정수입이 쉽지 않고 생각보다 고되고 힘들다.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직업으로 돈을 벌고 그 시간을 쓴다는 것은 매력적이다. 원치는 않지만 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다니면서 후회하는 사람보다는 처음부터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은 진실로 행복할 것이다. 이 책에 나온 직업이 궁금한 사람, 만드는 것을 일로 삼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요즘 여성들은 대학을 나와도 취업하기가 쉽지 않은데 만드는 것을 아이템으로 선정해서 창업한다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막연한 마음보다는 시자갛는 것이 반이라고 일단 시작하고 보는 자세가 참 좋은 것 같다. 이 책에 나오는 15명의 여성들도 좋아하는 것을 열심히 하다보니 기회가 생겨 직업으로 삼게된 케이스가 많다. 진실로 노력하면 못 이룰 꿈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내 꿈을 찾아 열심히 노력해야 겠다고 불끈 다짐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