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복희씨
박완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님의 책이 출간되자마자  베스트 셀러에 올랐다. 고등학교 국어책에 실린 박완서님의 단편을 읽고 감동하여 그녀가 낸 책을 몇 권 읽었는데 매우 좋았다. 그 중에서 호미라는 책이 가장 좋다. 신세대들이 잘 쓰지 않는 단어도 등장하고 세월의 관록을 느낄 수 있는 말투와 그럼에도 공감이 가는 이야기들이 그녀의 책을 읽고 싶게 만든다. 친절한 복희씨라는 제목을 보고서 영화 <친절한 금자씨>가 생각났다. 내용은 다르지만 어떻게 친절한가 왜 그런것인가가 의미하는 바는 조금 비슷한 면이 있는 것 같다. 

   친절한 복희씨는 그리움을 위하여부터 그래도 해피엔드까지 9편의 소설로 이루어져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충격적이다. 어쩜 현실을 그렇게 잘 짚어냈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현대 노인들의 실상을 생생하게 되살려낸 듯 하다. 저자는 ' 나를 위로해준 것들이 독자들에게도 위로가 되었으면 한다' 고 작가의 말에 밝혔다. 중년층이나 노년층의 나이는 아니지만 마치 내가 이 소설들 속의 주인공이 된 것처럼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소설속으로 빨려 들어가 주인공이 된 느낌이 든다. 주인공이 수모를 느끼면 나도 같이 느끼고 추억을 그리워하면 내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곳일지라도 머릿속에 그 곳 풍경이 그려진다. 이런 것이 바로 글의 힘이요, 작가의 파워이지 싶다.

 '그리움을 위하여'와 '대범한 밥상'편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리움을 위하여는 부와 행복의 연관성, 그리고 남의 눈치 보며 사는 것보다 내가 행복하면 제일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 같다. 처음에는 동생의 재혼을 반대하던 언지도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알고서 동생의 재혼을 인정해 준다는 이야기인데 전화 통화 하는 장면이 매우인상적이다. 대범한 밥상 편은 현대 노인드르이 핍박받은 삶을 그대로 살린 것 같다. 뉴스에서 노인들의 유산을 받은 뒤에 나 몰라라 하는 자식들의 이야기를 많이 접하는데 그러한 노인들의 생각을 정리해놓은 듯 하다. 나몰라라 하는 자식들을 끝까지 챙기려는 마음, 무너가 모를 거리감과 씁쓸함.

  대범한 밥상 중에서---모닥불의 잔광 같은 희미한 별을 보았다기 보다는 별식 같은 걸 한 날도 아닌데 나는 슬쩍 산책 나가는 척 혼자 나가 맞은 편 아들네 아파트로 올라가 초인종을 눌렀다. 연거푸 두 번 세 번까지 눌러 보았다. 아무도 문을 열어주지 않았지만 나는 느낌으로 안에서 웅성대는 인기척과 현관문에 달린 동그란 렌즈가 비정한 외눈으로 변하는 걸 알았다. 확인된 바 없는 느낌은 마누라에게 함부로  말하는 게 아니다---

  비정한 외눈으로 아버지가 초인종을 누르는데도 무시하는 아들, 그러나 그 조차도 확인되지 않은 바니 조용히 넘어가려는 아버지. 생각 같아서 못된 아들을 혼내주고 싶었다.  그러나 비단 이런 일이 소설에만 그치는게 아니라 현실 속에서 많이 등장하는 문제라는 점이 더욱 안타까웠다. 가슴 아픈 사연들, 현실이 어떠한지 알게 해주는 책이 바로 친절한 복희씨이다. 제목을 살짝 바꾼다면 현 세태를 꼬집은 작가남의 이름을 붙여 <친절한 완서씨>라고 하고 싶다. 감동과 현실, 감정의 표현 등이 어우러진 9편의 단편 소설들이 마음을 적신다. 친절한 복희씨, 부모님과 부모님이 있는 자식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책을 읽고 부모님의 사랑을 깨닫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