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시간 동안의 남미 - 열정에 중독된 427일 동안의 남미 방랑기 시즌 one
박민우 지음 / 플럼북스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제목을 처음 보고서 남미에서의 1만 시간을 보냈다는 것인가 여행에서 무엇을 보고 들었을까

하고 궁금해졌다. 일종의 프리랜서에 가까운 그는 자유로운 여행자였다. 모은 돈을 가지고

자유롭게 여행을 하는 그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없는 것 같아 매우 부러웠다.

 

 물론 가끔은 벌레에 뜯기기도 하고 사람한테 돈을 뜯고 물건도 잃어버리고 또, 사기도

당하였지만 이 책 속에서 그는 여행중에 잘 모르는데도 혹은 국적이 다른데도 선뜻 도와

주는 이들을 만났고 친구도 사귀었다. 또, 사진 속에 깊은 추억도 담은 채 말이다.

 

 요즘에는 저자처럼 여행을 하고 여행책을 많이 내는 사람들을 본다. 한편으로는 책을 내서

돈을 벌어 여행을 한다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고 한편으로는 돈이라는 구속에 얽매이지

않고 마음 내키는대로 보고 싶은 세상을 보는- 저가의 또는 고가의 혹은 패키지가 아닌

진정 보고 싶은 세상을- 그들이 부럽다.

 

 이들은 이처럼 자유로이 혹은 위험을 감수하고까지 여행을 떠나는데 왜 나는 떠나지 못할까.

비단 이 책 뿐만 아니라 여행책들을 보며 늘 떠오르는 생각이다. 그래서 가까운 일본이라도

다녀오고 싶다는 생각도 해봤다. 뜨거운 취업난의 열기에서 벗어나 잠시 외국에서의 배움 여행을

다녀오는 것 멋진 일이 될 것 같다.

 

<1만 시간 동안의 남미> 책 저자는 어쩌면 뜨거운 취업난을 피해 외국에서 배우고 동사에 책을

내 그 돈으로 여행을 계속하는 것이 아닐까. 남의 일에 이러쿵 저러쿵 할 일은 아니지만 괜시리

그가 부러워서 하는 말이다. 개인적인 것을 넘어 여행이란 그 목적도 다양하고 그 결과물도 참

다양하다. 이 책에서의 여행도 의도하지 않았던 일들이 여행이라는 이름 하에 일어난다.

 

 1만 시간 동안의 남미에서는 그가 여행한 것을 느끼게 하지만 독자로서 다른 의미도 해석 가능

하게 한다. 그가 남미에서 당한 위험을 보며 그가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을 때며 여행에서 친구는

빠질 수 없는 것 가다. 이 때 친구란 나이와 국적에 상관이 없다. 여행은 친구도 생기게 해 주고

국내에서 배우지 못했던 것들을 알게 하며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를 가능케 한다.

1만 시간 동안의 남미를 통해 무언가를 함께 배우기 위한 준비를 해보는게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