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하고싶은책 #훈민정은 #한글 #세종대왕 #박해진 #나녹 #훈민정의길 #혜각존자 #신미 #나랏말싸미 #영화 #송강호 #박해진

이 책은 2019년 영화 나랏말싸미측과 분쟁이 있었던 원작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혜각존자 신미대사가 깊이 간여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힌 책입니다
책이 출간되자 불교계와 달리 기독교계에서는 역사왜곡 논쟁을 불러일으켜 결과적으로 영화 나랏말싸미도 흥행에 참패를 하였습니다
이 책은 박해진 작가가 우연히 법주사에서 법당의 노보살로부터 복천암에 살던 스님이 한글 창제에 깊이 관여했다는 얘기를 듣고
12년동안 신미대사의 흔적을 쫓아서 만든 귀한 책입니다
15세기 중반 세종대왕이 창제했다고 알려진 우리의 자랑스런 훈민정음(한글)의 역사와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혜각존자
신미에 대하여 최초로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몇 가지 핵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훈민정음의 중요성입니다
훈민정음은 조선의 언어 혁명으로, 백성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글을 쓸 수 있게 한 혁신입니다
둘째, 혜각존자 신미의 역할입니다
흔히 알려진 훈민정음의 역사는 집현전 학자들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신미는 이 중 핵심적인 편집인이었으며 그의 역할은 역사에서 사라져 잘 기억되지 않고 있습니다
셋째, 세종의 비전입니다
세종은 백성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훈민정음을 창제했으며,이를 위해 불교계의 신미와 깊은 협력을 하였습니다
넷째, 훈민정음의 확산입니다
세종은 훈민정음을 확산시키기 위해 불교계와 협력하여 다양한 불교 텍스트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고 간행하였습니다
다섯째, 역사적 재조명입니다
이 책은 훈민정음의 창제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들을 재조명하고,
혜각존자 신미의 중요한 역할을 부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와 같이 훈민정음의 창제와 그 과정에서의 중요한 인물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시각을 제공하고 있으며, 조선 초기의 언어와 불교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귀한 책입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책이야기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