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여자와 홍대앞 인형가게에 들렀다. 점심을 같이 먹고나서 인형옷을 사야 한다기에, 집근처고 해서 잠깐 따라갔다. 거기서 난 내가 몰랐던 세계를 경험했다. 술을 마시러, 혹은 떡볶이를 먹으러 늘 다니는 곳이건만, 근처에 그런 곳이 있었다니!

그 인형가게는 보통 인형가게가 아니었다. 인형의 가격은 한개당 80만원이 넘었다. 수제품으로 한눈에 보기에도 보통 인형이 아니라고는 생각했지만, 그 정도일 줄이야. 그네는 인형에게 입힐 옷가지들을 몇개 샀고, 17만원에 가까운 돈을 거리낌없이 지불했다. 그 인형이 신고있는 조그만 운동화만 해도 3만원이라니, 정말 이게 뭐하는 짓일까 하는 생각이 안들 수가 없었다. 걔만 그런 게 아닌지라, 거기에는 열명도 넘는 여자애들이 인형 하나씩을 끼고앉아 인형 옷을 고르고 있다. 말도 못하는 인형에게 그런 돈을 쓰다니, 다른 사람 같으면 필경 이렇게 비분강개했을게다.
"실업자가 몇명이고 굶어죽는 애들이 얼만데 이런 데 돈을 써???"
신문기자가 그걸 봤다면 "과소비" 어쩌고 하면서 대서특필했을테고, 인형을 가진 애들은 갑자기 죄인 취급을 받았을지 모른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 그건 내 기준으로 다른 사람의 취향을 깔아뭉개는 거였다. 예컨대 내가 일년에 마시는 술값만 해도, 굶어죽는 애들 몇십명은 충분히 구제한다. 술마시는 취미가 인형에 투자하는 것보다 우월한 건 아니잖는가. 인형 값이 비싸다지만, 서넛씩 짝을 지어 단란주점에 가면 하룻밤, 두시간도 못되는 시간에 그보다 더 많은 돈이 증발하고 만다. 우리는 흔히 과소비를 비난하지만, 건전한 소비와 과소비를 가르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어떤 이에게는 턱없어 보이는 소비일지언정, 그것이 그에게는 꼭 필요한 것일 수도 있는 법이니까.

게다가, 인형에게 돈을 쓰는 것과 백만이 넘는 실업자, 그리고 굶어죽는 애들은 사실 별 상관이 없다. 그가 그러지 않는다고 해서 실업자가 일자리를 찾고, 애들이 호의호식을 하는 건 결코 아니다. "내 돈 가지고 내맘대로 쓰는데 어떠냐"는 식으로 보지 말고, 그가 인형놀이를 하면서 기쁨을 느끼는 것도 하나의 취향이려니 하고 봐주면 안될까. 자신과 다른 방식으로 즐거움을 얻는 게 왜 나쁘단 말인가.

우표수집에 돈을 많이 쓰는 친구가 있다고 하자. 그를 비난할 사람은 별로 없을게다. 오히려 좋은 취미라고 칭찬할지도 모른다. 비싼 스포츠카에 취미가 있는 사람도 그런 이유로 비난받지 않을 거다. 우리나라의 한 재벌이 고흐가 그린 "별이 빛나는 밤에"를 1천억을 주고 사왔다고 하자. 그 재벌이 방안에다 그 그림을 걸고 혼자 즐길지라도, 그를 비난할 사람은 별로 없다. 우표나 카레이싱, 그림 등은 다들 인정하는 좋은 취미가 되니까. 그렇게 남의 취향에 관대한 우리가 왜 고급옷과 보석을 사는 사람들에게는 거품을 무는 걸까. "강남의 한 백화점에서 뭐가 얼마에 팔리고" 하는 식의 기사가 과녁으로 삼는 것은 대개 강남에 사는 부유한 여인네들이 아닌가.

자기들은 일순간의 쾌락을 위해 훨씬 더 많은 돈을 써대면서, 역시 쾌락을 위해 소비를 하는 여인네들을 폄하하는 못된 습성은 아직도 우리 사회에 견고히 뿌리내린 채, 여성들을 괴롭힌다. 남성이 하는 일들이 자신에게 중요하듯이, 여성에겐 인형을 가지고 노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취향의 차이를 인정하고 상대의 취향을 인정하는 태도, 남성들이 가져야 할 자세가 아닐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222 2011-05-21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 구관인형이군요.ㅋㅋ 그거 한때 유행이었음.. 생각난다.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