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를 쓰다보면 파일을 pdf로 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자연의 배신>도 그랬다.

추천사를 쓰려면 일단 읽어야 하기에 컴퓨터로 마구 화면을 넘기는데,

읽고 난 느낌은 "그런대로 재미있다"는 것이었다.

그 느낌을 살려 추천사를 작성했다 (사실은 부끄럽다.

다른 추천사를 보니 내 추천사가 너무 한심하다

이번 기회에 추천사 쓰는 요령을 확실히 터득한 걸 소득이라고 생각하자.)















나중에 출판사에서 책을 보내 줬는데

안그래도 읽은 책도 없고 해서 그 책으로 <인물과 사상>에 독후감을 쓰려는

기특한 마음을 가졌다.

그래서 그 책을 읽는데, 와~ 책이 정말 재미있는 거다.

처음 읽는 것도 아니고, 전자책으로 한번 읽었던 걸 다시 읽는데

대략 3배쯤 재미있는 거다.

범고래가 사람을 죽이는 얘기는 전자책으로 볼 땐 "범고래가 사람을 죽였구나"라며

담담하게 넘어갔는데

책으로 보니까 손이 부르르 떨릴 만큼 전율이 왔다.

"이런 나쁜 범고래 같으니!"















비슷한 경험을 <아무 날도 아닌 날>에서도 한번 더 경험했다.

이 책 역시 추천사를 쓰려고 pdf 파일로 읽었고,

5월 30일에 있는 북콘서트를 위해 저자가 보내준 책으로 정독을 했다.

당연한 얘기지만 후자가 대략 다섯배쯤 더 재미있었다.

전자책으로 읽을 때는 안그랬지만

책을 정독하다가 저자한테 "책 정말 잘쓰셨네요!"라는 문자를 보내기까지 했다.

역시 난 전자책에 특화된 세대가 아니라는 걸 새삼 느꼈고,

앞으로 3박4일 여행을 가더라도 책 여러 권을 낑낑대며 들고갈지언정

가벼운 전자책을 다운받아 가는 일은 하지 않겠다고 마음먹었다.

책을 재미있게 읽어주는 것이야말로 지불한 책값이 아깝지 않는 길이니까.


전자책이 필요할 때가 없는 건 아니다.

외국에 책을 보내려면 배송비가 무지하게 비싸던데,

외국에 있는 사람이 우리나라 책을 읽고 싶을 땐

전자책을 주문하는 게 훨씬 합리적일 듯하다. 

배송시간도 짧은데다 가격도 엄청 싸니까.

하지만 내 인생의 스케줄상 외국에 거주하고,

또 거기서 주문을 할 일은 없을 것 같으니

난 남은 여생을 종이책과 더불어 살아갈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다가 한줄기 불안이 엄습하는데,

언젠가 종이책이 더 이상 나오지 않으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점.

특히 태어나면서부터 인터넷을 쓴 세대-대략 2000년 이후 출생자들-가

사회의 주도권을 잡는다면

종이책 읽는 사람들을 구닥다리 취급하면서

종이책을 없애는 제2의 문화혁명을 벌이지 않을까?














그럴 땐 문화혁명 때 위화라는 중국의 소설가가 그랬던 것처럼

노트에 필사를 해서 나같은 사람들끼리 돌려보는 수밖에.

문화혁명 때와 달리 노트에 필사해서 돌려본다고 잡아가진 않을 테니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5-20 11: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moonnight 2015-05-20 1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종이책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없어요ㅠㅠ 그 재미있다는 <나를 찾아줘>를 전자책으로 (시험삼아) 사 봤는데 아직도 덜 읽었어요. 종이책으로 다시 살까 생각한다는-_-;;

마태우스 2015-05-21 00:37   좋아요 0 | URL
카...나를 찾아줘도 전자책은 재미가 덜한가봐요. 그거 진짜 재밌는데... 하기야, 전 내 심장을 쏴라, 인가를 전자책으로 읽었는데 완전 꽝. 이해도 잘 안되고...ㅠㅠ 필사라도 해서 종이책 읽으려고요 저는

2015-05-20 14: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태우스 2015-05-21 00:37   좋아요 0 | URL
세심한 배려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저도 산전수전 다 겪어서 웬만한 일에는 동요하지 않는답니다. 우리 모두 힘 내고요, 우리끼리 잘 지내요!

2015-05-21 1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