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물과 사상 29 - 4.15 총선을 보는 세 개의 시선
강준만 외 지음 / 개마고원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석달마다 나오는 <인물과 사상>이 벌써 29권째다. 그 꾸준함도 놀랍지만, 나로 하여금 전혀 다른 삶을 살도록 만들어 준 고마운 책인지라 이 책을 볼 때마다 애정이 샘솟는다.
이번 책의 부제는 '4.15 총선을 보는 세개의 시선'으로, 총선에 대한 강준만, 고종석, 김진석의 글이 실려있다. 민주당 분당에 지속적으로 저주를 보냈던 강준만의 다른 글들에는 거부감이 들었지만, 다소 냉정하게 쓰여진 이번 글은 그래도 공감이 갔다. 열린우리당의 창당은 '정치도박'이고 그나마도 폭력적 방법에 의해 달성되었다. 그걸 인정한다 해도, 난 고종석의 다음과 같은 말에 훨씬 더 동의한다.
[나는 노무현과 열린우리당의 행태에 실망햇다고 해서 그것 때문에 참여정부의 파산을 팔짱 끼고 보 수는 없다는 쪽이다. 그것은 재작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의 우리의 선택을 무화하는 방향으로 치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노무현과 열린우리당의 행태가 지금 아무리 실망스럽다 할지라도, 지난 대선에서 노무현이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최악의 노무현도 최선의 이회창보다 나았다(64, 72쪽)] 고뇌와 자기성찰을 담고있는 고종석의 이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난 책값이 아깝지 않다고 주장하련다.
언제나 내게 큰 깨달음을 주는 홍윤기, 그는 이번에도 날 즐겁게 해줬다. 원자력발전의 위험성을 이처럼 명쾌한 논리로 드러내주는 글이 또 있을까 싶다. 그는 복잡한 통계수치를 인용하지도 않으면서, 원전센터 측의 주장 속에 담겨진 허구를 찾아냄으로써 손쉽게 그 주장을 반박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홍윤기가 당대를 떠나 <인물과 사상>에 합류한 것은 참으로 고마운 일이다. 당대와 결별한 것이 본인에게는 아픈 상처일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이 밖에도 이정향 감독의 '집으로...'와 김기덕의 '나쁜남자'를 비교해 페미니스트들의 편향된 시각을 고발하는 강성률의 주장에 어느 정도 공감했고, 정재은 감독의 '그 남자의 사정'에 관한 정승화의 비판에는 전적으로 동감한다. 강준만의 글을 많이 못보게 된 게 아쉽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지만, 다양한 필진에 의해 씌여진 주옥같은 글들을 읽을 수 있게 된 기쁨이 조금 더 크다. <인물과 사상>은 분명 업그레이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