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징비록 1 ㅣ 징비록 1
김호경 지음, 정형수.정지연 극본 / 21세기북스 / 2015년 5월
평점 :
백성들의 분노가 활활
타오르니,
내
마음에도 불이 난다
징비록,
이 시대에 새겨야
한다.
이 소설의 제목은
<징비록>이다.
원래
<징비록>이라는
이름은 조선 선조 때에 명신 류성룡이 지은 책의 제목으로,
그가
왜란이 끝난 후에 지은 참회서이다.
'징비'란
‘지난
잘못을 경계하여 삼가다’라는
뜻으로,
<시경(詩經)>에
나오는 말이다.
"여기징
이비후환 (予其懲
而毖後患)“
“내가
그 일을 겪은지라 뒤에 올 환란을 삼가노라."
류성룡은
<징비록>
서문에서
“지난날을
생각할 때마다 황송하고 부끄러워 몸 둘 곳을 모르겠다”
하면서,
다시는
임진왜란 같은 일을 우리 민족이 당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징비록을 기록했다.
저자는 그 이름을 그대로 가져와
소설 제목으로 정한 것이니,
역시
류성룡과 같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이
소설을 그저 재미로만 읽을 것이 아니라,
독자들에게
나라를 한번 생각해 보라는,
그래서
역사에 다시는 같은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도록 하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썼을 것이다.
그러니,
읽는
독자인 나,
또한
같은 마음으로 읽었다.
지도자?
고난의 자리에서 도망치는
게?
그런 저자의 마음을
헤아리면서,
임진왜란의
경과들을 저자를 따라가며 새겨보았다.
어쩌면 나라 전체를 보는 눈을 가진
신하가 한 명도 없었을까?
임금은
말할 필요조차 없고,
모두
자기 앞만 보면서,
어찌하면
입신양명을 할까,
어찌하면
돈 많이 벌어서 남들보다 풍족하게 살며,
어찌하면
남들보다 위에 서서 떵떵거리며 살까,
그것만
생각했지,
나라
전체를 생각하는 신하 한명도 없었다는 말인가?
지도자의 현실 인식이 얼마나
중요한가?
여기 이 책에서, 지도자의
현실인식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임진왜란으로 나라 전체를 토탄으로
몰아넣은 총 책임자,
선조의
말을 들어보자.
<일본은
섬나라이니 수전에 익숙할 것이오.
우리는
수전에 별로 경험이 없어요.
어차피
수전에서 승산이 없다면 .......수군을
폐지하고 모든 힘과 재정을 육상군에 쏟아부어 만에 하나 일어날지도 모르는 왜변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이 옳지 않겠소?>(139쪽)
한나라를 통치하는 임금
-
더군다나
전제 왕조 시대에 말이다 -의
어처구니없는 현실 인식이 만약,
그대로
현실로 시행되었다면?
지금 우리는 일본의 한국현(縣)
쯤으로 살아가고 있겠지?
그러니 지도자가 어떤 사람인가가
그만큼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 지도자의 생각은 또
어떠한가?
조선과 일본의 지도자의 생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이 등장한다.
<목숨이
경각에 달렸다고 생각한 선조는 조급증에 가슴이 탔고,
풍신수길은
그런 조선 왕을 언제 사로잡을 수 있을지 조바심이 일었다.>(245쪽)
선조는 신하들이 말리는 가운데에도
어떻게 하면 자기 목숨을 부지할 수 있을까 개성에서 평양으로 다시 도망가려고 하는 마음에 조급증이 나서 신하들을 질책하고 있는
동안에,
일본의
지도자 풍신수길은 어떻게 하면 조선의 선조를 생포할 수 있을까,
조바심을
내고 있었다.
이게
바로 그 당시 이 땅의 지도자의 모습이었다니...
무릇 왕이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풍신수길은
말한다.
<왕은
싸우다 죽거나 할복하는 거야!
도망가면
그건 왕이라고 할 수 없지>(246쪽)
이
말,
비단
당시의 선조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 것이다.
이
땅의 모든 지도자-
과거는
물론이고 지금의 -
에게
마찬가지이니,
잘
새겨두자.
그래도 올바른 지도자도 있기는
하다.
.
<백성들이
궁궐을 불태우는 것인가.
나라를
불태우는 것인가.
백성들이
기어코 왕과 무능한 신하,
양반들을
활활 불태우는 것인가.>(216쪽)
선조가 한성을 떠나려
하자,
그것을
본 백성들이 궁궐에 불을 지른다.
그것을
본 류성룡의 탄식소리이다.
무능한
왕,
무능한
신하들,
그들을
향한 백성들의 분노가 불이 되어 활활 타오르는 것이다.
탄식,
또
탄식!
명분,
또
명분,
그
하찮은 명분 때문에 수많은 백성들이 고초를 당했다,
<백성의
참담한 현실만큼 큰 명분이 어딨겠습니까?
통촉하여
주시옵소서.>(43쪽)
일본과의 국교 수립을 반대하는
선조에게 류성룡이 한 말이다.
그깟
명분이 뭐그리 중요하길래,
명분에
치우쳐서 백성들의 어려움을 외면하는지?
그
명분도 명나라에게 잘 보이려고 억지로 세운 군자의 나라니,
금수의
나라니 하는 것 아닌가?
허기야 선조만 탓할 것은
못된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그 명분이 더욱 극성을 부렸다.
재조지은(再造之恩)이라는 명분때문에 결국은
병자호란의 치욕을 당해 한 나라의 군주가 점령국의 임금에에 이마를 찧으며 절을 하기 까지 했으니,
그
명분,
중국-
대국- 을 향한!
지긋지긋하다.
어디 임금만
그런가?
신하들도
제대로 된 것들이 하나도 없다.
<
“이게
무엇이냐?”
“영의정
이산해가 파천을 주장하여 나라를 망쳐놓았으니 삭탈관직하라는 대사관과 대사헌의 상소이옵니다.”
선조는 기가
막혔다.
도성을
떠난 것도 비참한 일이고,
고려의
옛 궁궐에 행재소를 차린 것도 부끄러운 일인데,
사흘도
지나지 않아 권력다툼이 벌어진 것이다.>(224쪽)
선조가 기가
막혀!!
그런데 어디 선조만 기가
막힐까?
이런
글을 읽어가는 이 시점의 우리들도 기가 막힌다.
우리
선조들이 고작 그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니!
이러한 사실을 여과 없이 기록하고
있는 이 소설,
다시는
우리 역사에 임진왜란 같은 참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반성하는 차원에서도,
백성들의
비명소리가 다시는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
책 한 글자 한 글자 새겨 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