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시아드 - 황제의 딸이 남긴 위대하고 매혹적인 중세의 일대기
안나 콤니니 지음, 장인식 외 옮김 / 히스토리퀸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렉시아드

 

먼저 이런 아쉬움 적어둔다.

 

작가의 말, 5, 12, 15권에 수록된 옮긴이의 말은 나눔스퀘어 네오체로 표기하여 마루부리체 표기한 본문과 구분지었다. (<일러두기중 세 번째 항목)

 

그런데 이런 글에서 말하고 있는 나눔스퀘어 네오체’ 와 마루부리체라는 글씨체는 무척 낯설다글씨체도 낯설뿐더러 그 이름 자체가 낯설다그래서 다음 판에서는 차라리 박스에 넣거나 아니면 그 부분이 번역자의 말이라고 별도로 표기해주는 것이 좋을 듯하다.

 

작가의 말, 5, 12, 15권에 수록된 옮긴이의 말은 각각 다음 쪽에 있다.

 

작가의 말 : 7-8

5권 : 177

12권 : 405 - 407,

15권 : 532-533

 

이 부분을 발견한 데에는 약간의 시행착오가 있었다.

맨처음 <작가의 말말미에 작가의 말과는 동떨어진 말역자의 발언으로 여겨지는 말이 있긴 했지만그냥 넘어갔다책의 편집자가 하는 말이거니 싶었는데다시 5권의 177쪽에도 글씨체가 약간 다르게 여겨지는 부분에 본문과는 다른 내용이 나오고 또 12권의 405쪽에도 그런 부분이 나오길래 이상하다 싶었다.

 

그래서 다시 앞으로 돌아와 <일러두기>를 자세히 살펴보니 세 번째 항목에 그런 내용이 적혀있었던 것이다그런데 <작가의 말>은 <일러두기>보다 앞서 나오는 것이니 <작가의 말>을 읽을 때는 그런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하고 읽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만 그런지 모르겠으나 <일러두기>에는 대개 외국 인명과 지명 등의 표기에 대하여 의례적인 사항을 적어두는 곳이라서나는 그것을 그리 자세하게  읽지 않고 지나치곤 하는데, 다른 독자들은 그것조차 유심히 읽고 있는지?

 

이 책의 제목인 알렉시아드는 누구무엇?

 

사람 이름이다무려 동로마제국의 황제다.

서로마 제국은 아는데 동로마제국의 황제라니정말 낯설다낯설게 느껴진다.

 

알렉시아드는 영어 이름으로는 알렉시오스다.

이 책은 동로마 제국 콤니노스 왕조의 제2대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장녀 안나 콤니니가 쓴 역사책이다그러니까 딸이 아버지의 행적을 글로 써 남긴 것이다.

 

알렉시아드는 동로마 제국 콤니노스 왕조의 제2대 황제로활약한 시대는 십자군 전쟁 시대다. 1차 십자군이 그로부터 시작되었다그가 서방에 원군을 요청한 것이다.

그 요청을 받아들인 서방의 우루바노 2세 교황이 십자군 전쟁을 역설하자유럽에서 십자군이 결성되어 예루살렘을 수복하고자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책의 의의는?

 

지금까지 십자군 전쟁과 관련하여 몇 가지 다른 측면으로 서술된 책을 읽어왔다.

하나는 서방세계의 시각이며또 하나는 살라딘으로 대표되는 아랍측의 시각이다.

그래서 정작 십자군의 발원지인 동로마 콘스탄티노플의 시각으로 쓰여진 책은 접하지 못했다.

아마 그것은 동로마의 역사가 한국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탓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이 책은 아마 최초로 우리나라에 소개된 동로마의 시각으로 쓰여진 십자군 역사서라 할 수 있다그래서 이런 기록이 돋보인다.

 

보에몽이 스스로 자신이 죽었다고 소문을 퍼트린 다음사람들이 그것을 믿자

그는 나무관 하나를 준비해비레메에 그 관을 실었다거기에 살아있는 자신도 들어가 안티오히아의 항구인 소디에서 출발하여 로마로 갔다그렇게 보에몽은 주검으로 바다를 건넜다관이며동행인들의 태도 때문에 모든 이들은 그가 죽었다고 판단하였다. (375)

 

이 부분은 진위가 의심되는 부분인데다른 기록과 대조가 필요하다그리고 저자는 보에몽을 악당 보에몽’(376)이라 지칭하는데이런 기록이 당시 동로마 사람들이 보에몽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가치가 있다.

 

또 다른 의의는?

 

역사서라는 차원에서 이 책을 보면저자인 안나 콤니니가 새롭게 보인다.

 

이제나는 다음의 사실을 밝힌다안나는

알렉시오스 황제와 이리니 황후의 딸로 포르피로옌니티다. <저자의 서문>에서 (2)

 

그렇다면 프로피로옌니티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대황궁 옆 부콜레온 궁정에 '포르피라'라는 황후 전용의 산실이 있는데,

이를 영어로 직역해 '자줏빛 혈통', '자줏빛 산실'이라고 부른다

황제와 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적통 황녀라는 뜻이다.

 

즉 황녀가 역사서를 쓴 것이다그래서 어떤 부분은 지나치게 아버지인 알렉시오스 황제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도 없지 않지만전반적인 역사 흐름에서는 벗어나지 않고 있으니 역사서를 쓴 최초 (또는 유일?)의 황녀가 아닐까?

 

그녀의 인생사

 

황녀로 태어난 그녀가 결혼을 했는데, 남편은 대단히 현명하고 언변이 능숙한 케사르 니키포로스였다그런데 아버지가 안나의 남편 대신남동생 요안니스 2세에게 황위를 물려주자이에 불만을 품은 안나는 쿠데타를 일으켰지만바로 그 남편의 반대로 인해 실패하게 된다.

기에서 이 책이 쓰여지는 계기가 만들어진다.

 

그후 그녀는 수도원에 은거했지만남편과 아버지의 죽음을 슬퍼하며 수도원에서 아버지 알렉시오스 1세의 일대기를 집필하게 된다그러니 만약에 그녀가 일으킨 쿠테타가 성공했더라면이 책은 없었을 것이다.

 

다시이 책은?

 

이 책에서 편집자가 공을 들인 부분이 많다.

바로 저자인 안나가 기록한 내용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 애쓴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중간 중간에 번역자의 발언도움말이 돋보인다.

'역자주'로 이 책을 잘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참고가 되는 발언을 아끼지 않는다.

그런 역자의 수고로 독자들은 그간 읽지 못했던 동로마의 시각역사를 접해보게 된다.

반가운 책이다의미있고 가치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