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의 역사
최경식 지음 / 갈라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암살의 역사

 

사건은 일어났고, 사람이 죽었다. 아무도 모르게 그야말로 쥐도새도, 물론 어떤 때는 모든 사람이 보는 가운데에서, 사람이 죽었다.

암살이다.

그런 암살, 과연 어떻게 누가, , 무엇 때문에 사람을 죽인 것일까?

 

그런 암살 사건들을 파헤치고 싶은 저자의 열망이 이 책에 담겨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10 , 세계사 차원의 다른 나라에서 10 , 해서 모두 20 건의 암살 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 중 그 동안에 궁금했던, 그래서 무척 알고 싶었던 건이 여러 건 보인다.

그래서 이 책 가치가 있다, 궁금한 것들이 많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먼저 어떤 사건들이 있을까, 우선 암살의 대상 인물부터 소개한다.

 

(한국사)

고려 시대 혜종, 공민왕

조선 시대 문종, 소현세자, 경종, 정조, 고종

현대 김구, 장준하, 박정희

 

(세계사)

미국 : 링컨, 케네디. 마틴 루터 킹, 레이건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 페르디난트

러시아 (소련) : 라스푸틴, 트로츠키,

독일 : 히틀러,

인도 : 간디

이집트 : 사다트

 

면면을 훑어보니 벌써 그들의 암살을 통해 어떻게 역사가 바뀌어 갔는지 짐작할 수 있다.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도 하고, 한 나라의 역사가 바뀌기도 한 굵직한 사건들이다.

그런만큼 그런 사건의 발단과 경과, 그리고 그 후 사건의 진행이 궁금해지는 것이다.

 

가장 궁금한 것을 꼽으라면 우리나라 역사에서 박정의 유신 치하에서 일어난 <장준하 암살설>이다. 이것을 암살설이라 표현한 것이 벌써 무언가 말해주고 있다. 사건의 진상이 속시원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장준하 암살설 : 그날 약사봉에선 무슨 일이 있었나

 

1975817, 약사봉에서 사람 한 명이 죽었다.

일단 실족사로 추정되는 죽음이었다. 시체로 발견된 사람은 당시 유신 치하에서 박정희 정권에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던 장준하였다.

 

장준하가 약사봉을 등산하다가 실족하여 추락사한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그 사건의 진상을 밝혀줄 단서는 오직 유일한 동행자였던 김용환의 진술이 전부였다.

 

그런 일이 있고나서 한참 후인 2002,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의 조사에서 몇 가지 특기할만한 사항이 나오긴 했지만, 결론은 역시 확실하게 밝혀진 게 없다.

추락사는 아닌 게 분명하고 사실상 암살로 보임에도 진상 규명 불능이라는 애매한 결론을 내렸을 뿐이다. (149)

 

그리고 그로부터 다시 몇 년 세월이 지난 2012년 폭우로 인해 장준하 묘소를 이장하게 되었는데, 이장시 유골을 검사하게 되었다. 그 결과 장준하의 사망원인에 대한 논란이 다시 일게 되었다. 그래서 장준하 선생 사인 진상 조사 공동위원회에서 재조사에 들어갔는데, 위원회는 장준하 사망원인을 타살 후 추락으로 결론지었다. (150)

 

그래도 누가, 어떻게, 왜 등등은 밝혀내지 못했다. 해서 저자는 이에 대하여 이렇게 마무리말을 적었다.

 

의문점들이 완전히 해소되기까진 앞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150)

 

대부분의 암살 사건, 진상 규명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장준하 암살 사건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암살 사건은 진상규명이 어렵다.

암살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야 선후가 분명하게 밝혀지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

우리 역사에 확실하게 누가, 언제그랬는지가 확실하게 알려진 사건조차도 , 무엇 때문에등등의 실체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는 사건이 있으니 말이다. 바로 박정희 암살 사건이 그것이다.

 

그래도 역사는 기록한다, 암살의 역사를

 

그렇게 속시원하게 암살의 실체가 밝혀진 것은 적을지라도 그런 사건의 기록은 역사에 분명 남아있으니,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역사는 미진하나마 그 실체를 그려놓고 있는 것이다.

 

고려 시대 혜종, 공민왕

조선 시대 문종, 소현세자, 경종, 정조, 고종

 

이런 암살()의 기록은 어떤 형태로든 남아서 후세에 교훈을 주고 있다.

 

다시 이 책은?

 

그런 암살()의 기록이 남아있기에 이 책도 있게 된 것이다.

이 책의 의미는 그래서 크다.

 

암살의 실체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더라도 이런 책을 통하여 역사에 그런 사건이 있었음을 상키시켜주는 것이다. 죽어간 사람들이 자신들의 죽음의 진상을 밝혀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오죽하겠는가?

 

이 책은 그들의 죽음 너머에 있는 역사적 진실을 파헤치려는 마음 가지고 읽어야 한다.

그래서 암살의 역사를 다시는 되풀이 하지 않도록, 역사를 만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