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를 구한 12가지 약 이야기
정승규 지음 / 반니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병원에도 가고, 약도 많이 접한다.

의약의 발달에 따라 수명이 늘어나면서 약에 의존하는 비율도 더 늘어났다고 생각한다. 약은 분명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많이 구해줬지만, 꼭 좋은 면만 있지 않다. 약에는 언제나 부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인류를 구한 12가지 약이야기에서는 인류 역사상 많은 사람들을 구해낸 약에 대한 얘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역사상 중요한 약이 개발된 순서대로 목차를 구성했고, 각 장은 개괄적인 설명으로 시작해서 관련 에피소드와 사건을 넣고, 마지막에 최신 의약 동향을 추가했다고 한다. 저자도 아쉬워하는 점은 약이 개발된 사실에 중점을 두다 보니 약의 부작용에 관한 내용이 부족해 아쉽다고 한다. 약은 세상에 처음 나온 뒤 계속해서 개량되어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한다하지만 모든 약은 부작용을 갖고 있다고 한다.


신약개발의 역사적 흐름을 보면 '병이 있는 곳에 약이 있다'라고 할 수 있다. 질병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 인간은 약을 만들었다. 아주 우연히 발견한 약도 있고, 정밀 조사와 과학적 방법으로 만든 약도 있다. 질병이라는 도전에 인간은 약으로 응전했다.

P21-22


이 책에서는 12가지의 약이 소개되고 있다.

항생제, 말라리아 치료제, 환각제, 소염진통제, 마취제, 근이완제,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B, 스타틴, 혈압약, 비아그라, 표적 항암제


큰 제목에 소개된 위의 약들이지만 책을 읽다보면 다양한 약들이 소개된다. 우리 주변에 이렇게 많은 약들이 있고, 우리는 아플때마다 이런 약들을 복용하고 있다는 사실에 정말 놀라웠다.


인류가 발명한 약 중 20세기 인류의 생명을 가장 많이 구한 약을 꼽으라면 단연 페니실린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고 한다. 최초 발견은 플레밍이 했지만, 불순물을 제고한 플로리와 체인 세 과학자의 노력으로 탄생한 페니실린은 수많은 인류의 생명을 살렸다고 한다. 그 공로로 1945년 이 세명에서 노벨 생리의학상이 주어졌다.



최근 연예인들의 마약 문제로 한창 세상이 떠들썩했는데, 그 마약(환각제)도 인류가 만든 약이다. 아편도 마약의 일종인데 아편은 오래전부터 진통제, 설사제, 기침약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약들도 진통제나 마취제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중독성과 극심한 환각작용때문에 요즘은 그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설사나 배탈이 났을 때 먹는 정로환이라는 약이 우리나라 약인 줄 알았는데, 처음 만들어진 곳은 일본이었다. 러일전쟁 당시 일본 군인들이 배탈이 났는데, 그때 효과적인 정장, 지사제를 공모했고, 가장 효과를 보인 약이 다이코 신약에서 만든 약이었다. 그 이후 러시아를 정벌한 약이라 하여 정로환(征露丸)이라 불리며 판매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동성제약 창업주가 일본에 기술 제휴를 거절당한 후 다이코 신약의 전임 공장장으로부터 이 약의 제조법을 배워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이름은 동일하지만 정자의 한자(正)가 바뀌어 판매했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약을 주제로 한 하나의 역사책을 보는 느낌이었다. 인류의 발전과 함께 약도 개발 및 발전되었고, 지금도 새로운 신약들이 개발되고 있다. 약을 남용하면 그 부작용은 심각하지만, 필요한 양 만큼만 복용한다면 인류의 삶은 더 길어지고 더 윤택해질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류를구한12가지약이야기 #약이야기 #인류구원 #약의역사 #반니 #약전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