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소래섭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 192~30년대의 이야기는 꽤 매력적입니다. 일제강점기하의 어두운 분위기도 있었지만 문학과 예술이 살아 숨쉬고 수많은 예술가들이 활동하던 그 시대가 어쩌면 지금보다는 더 낭만적이었던 느낌이 듭니다. <경성리포트>라는 책을 한참 전에 꽤 재미나게 읽었는데, 이 책도 그 당시의 내용을 다루고 있고 또 '명랑'이라는 감정 역시 일종의 주입된 것이라고 보는 관점이 흥미롭습니다.
마인하르트 미겔 <성장의 광기> : 확실히 100년 전, 아니 30년 전과 비교해 보면 이 세계는 경제적으로 많은 성장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성장한 만큼 우리는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것일까요? 오히려 그때보다 더 지독한 무한경쟁에 내몰리며 열심히 일해도 입에 풀칠하기 힘든 워킹푸어 현상까지 심해지고 있지요. 언제쯤 이 세상은 미망에서 벗어나, 맹목적인 성장보다 진정한 '삶의 질'을 중시하게 될까요.
데이비드 하비 <데이비드 하비의 맑스 '자본'강의> : 실은 신간추천리스트에 올리면서 꽤나 고민한 책입니다. 자본론, 한때는 금기시되었던 책이니까요...하지만 우리는 마르크스의 사상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노동운동이나 학생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사회주의 이론을 알고 있어야 착취에 저항할 수 있지 않을까요.
김수행 <세계대공황> : 서울대의 마지막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김수행 교수님의 책입니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돌베개에서 너무 좋은 책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서경식 선생님 책부터 시작해서...꽤 어려워보이는 책이지만 읽어낸 후의 보람도 분명 있을것 같습니다. ^^
![](http://image.aladin.co.kr/product/1163/68/cover150/8974185741_1.jpg)
제이슨 포웰 <데리다 평전> : <해체>로 유명한, 바로 그 데리다입니다. 저는 국문과 재학 시절 어떤 과목에서였는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처음으로 데리다의 <해체>를 읽고 열광했습니다. ^^(근데 지금은 어떤 내용이었는지가 가물가물합니다) 데리다에 대해 더 잘 알기 위하여, 그리고 덤으로 <해체>도 복습하기 위하여, 이 책을 읽어보고 싶어집니다.
-추천하고 싶으나 출간일이 4월 30일이라 고민한 책
최정태 <지상의 아름다운 도서관> : 2006년에 나왔던 책인데 이번에 개정판으로 새로 출간되었네요. ^^그러고보니 같은 저자의 책인 <지상의 위대한 도서관>을, 신간평가단 8기 활동할때 추천했었지만 반응이 저조해서 탈락했었어요. 아, 저는 책이 많은 장소에 일종의 로망을 갖고 있습니다. 책이 쭉~ 꽂혀 있는 모습은 가히 아름답지요. 보고만 있어도 배가 부른 느낌이랄까요. ^^
5월 출간도서중 제가 이미 갖고 있는 책 : 미타니 히로시 외 <다시보는 동아시아 근대사>, 장 미셸 지앙 <문화는 정치다> (그러므로 이녀석들은 제발 뽑히지 말았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