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 한국의 땅과 사람에 관한 이야기 대한민국 도슨트 5
강제윤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사의 섬, 신안. 각종 다큐와 뉴스로만 본 지역이다. 솔직히 말하면 나에게 신안은 전라남도 지역에 있는 하나의 도시라는 생각이 강했다. 근데 왠걸! 신안은 하나의 도시라고 하기에는 조금 어폐가 있었다. 신안은 1,025개의 섬을 하나로 모아, ‘신안’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었다. 손암 정약전의 유배지이자 『자산어보』의 산실인 흑산도를 비롯하여, 보물섬 증도, 김대중 대통령의 고향 하의도, 암태도 소작쟁의로 알려진 암태도 등. 정말 각각 개성있는 많은 섬들을 한데모아서 ‘신안’이라 통칭하는 거였다. 즉, 우리나라 대부분의 섬은 진도군의 진도, 완도군의 완도, 거제시의 거제도 같은 지자체의 메인인 모섬이 있는데, 신안은 아니다. 그냥 서로 다른 섬을 한데 모아서 ‘신안’이라고 통칭한다는 것! 와, 나는 정말 신안에 대해 1도 모르고 있었다.




신안의 모태인 압해도는 그 이름처럼 바다를 재패한 섬이었다. 압해도 해상 세력의 수장은 후삼국시대에 고려 왕건과 끝까지 맞섰던 능창 장군이다. 후삼국시대 서남해 해상을 재패했던 능창은 수전에 능해 수달장군으로 불렸다. 신라시대 말 동아시아의 해상황 장보고의 암살 후 해상세력은 소멸된 듯 보였다. 하지만 50여 년 뒤 능창의 존재가 드러나면서 장보고 암살 후에도 해상 세력이 존재했음이 밝혀졌다. P 026



조선시대에는 동서남대 배부분의 섬에서 거주를 금하는 공도정책을 시행했다. 섬에 들어가 사는 이들은 반역의 죄로 다스렸으니, 섬에 사는 사람이 죄인인 시대였다. 이 무렵 신안의 섬들도 사람의 거주가 금지됐다. 신안 섬에 거주가 다시 허락된 것은 임진왜란 무렵이다. (중략) 공도정책이 섬의 역사마저 단절시켰다. P 030



나에게 섬 하면 떠오르는 사람은 그저 남해안을 재패한 해상왕 장보고가 유일했다. 근데 왠걸? 장보고 이후로도 해상 세력이 남아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거기다 조선시대 공도정책으로 인해, 섬에 사람이 산다는 것 자체가 반역죄였다는 사실도. 그 공도정책 때문에 섬의 역사가 단절되었다는 것 조차도. 



그럼에도 신안에는 많은 이야기가 있다. 신안의 여러 섬에서 신석기 시대 유적인 패총이 나왔다거나, 삼국시대의 유적지가 나왔다거나 이런 건 그리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내가 놀란 점은 이런 유적지들이 아니었다. 신안에 속한 여러 섬에서 많은 독립운동가가 나왔다는 점이다. 대표적인건 역시 암태도 소작쟁의가 아닐까? 암태도 소작쟁의는 대표적인 항일 농민항쟁이다. 소작쟁의에 참가했던 소작농들은 이후에도 항일운동에 앞장섰다. 신안의 또다른 섬인 장산도에서도 독립운동가 집안인 장씨 일가가 살았다. 장병준, 장병상, 장흥재, 장홍염 4형제는 항일독립운동, 광주학생운동, 제헌국회의원 등의 활동을 하였다. 옥도는 또 어떤가. 옥도는 일본 해군에게 점령당했던 섬이었기에, 일본 해군의 군사기지가 설치되었다. 이런 옥도에서 구한말 항일의병들이 들고 일어났다. 지금의 옥도에는 당시 일본인의 군사시설이 일부 남아있다.



나는 왜 신안의 이러한 역사를 알지 못했을까? 내가 신안을 하루 빨리 가봐야할 이유가 이렇게 늘어났다.





특혜커녕 오히려 하의도 사람들 중에는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섭섭함을 토로하는 분들이 적지 않다. 대통령 재직 시절 하의도를 위해 해준 것이 없기 때문이다. 나는 하의도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새삼 김대중 대통령이 훌륭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태어난 고향이라고 특혜를 주지도 않고 또 고향이 아니라 해서 차별하지도 않은 공명정대함. 대통령은 결코 어느 특정 지역만의 대통령이 아니라 모두의 대통령이기에 당연한 이야기다. P 104



김대중 대통령의 고향 하의도. 솔직히 몰랐다. 이전 정권의 대통령들은 하나같이 자기가 살았던 지역에 특혜를 주었기에, 모를래야 모를수가 없었달까? 그런데 이상하게도 김대중 대통령 고향은 들은바가 없었다. 근데 왠걸, 다 이유가 있었네? 새삼 김대중 대통령이 정말 대단한 사람이었구나 싶었다. 아니, 오히려 대통령이라면 이랬어야 하는게 맞다. 그동안 비정상적인 대통령을 보았기에, 이런 정상적인 모습조차도 대단하게 보이는건가보다. 지금 하의도에 남아있는 김대중 대통령 생가는 오롯이 김씨 문중이 복원하였고, 되려 이를 신안군에 기증했다고 하니 더욱 놀라울 따름이다. 현재 재판을 받고 있는 비정상적인 대통령들은 본인들을 포함해서, 그 가족들까지도 서로 못해먹어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는 데 말이다.






유명세를 가장 크게 탄 곳은 드라마 ‘봄의 왈츠’촬영지였던 하누넘 해변이다. 하트 모양을 하고 있어 하트해변으로도 불리는데 연인이나 부부가 하누넘에 가면 헤어지지 않고 ‘영원히 심장에 남는 사람이 된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도 있다. P 147



가끔 TV에서 보았던 하트해변. ‘와! 저긴 한번 가서 보고 싶다’ 했는데, 그 해변이 신안 비금도에 있는 해변이었다. 예전이라면 신안의 섬은 교통편 때문에 여행하기 어려웠겠지만, 천사대교가 개통된 지금은 신안이 섬이 아니라 육지가 되었다. 물론 비금도까지 도로가 이어진 건 아니나, 아주 잠깐동안만 배를 타면 되는 것 같으니, 그 정도면 꽤 나쁘지 않다. 무엇보다 연인이 가면 헤어지지 않는다니, 꽤 로맨틱한 전설이 아닌가?



아, 또 하나. 비금도는 천재 바둑기사 이세돌의 고향이라는 것!



흑산도는 홍어의 섬으로 각인되어 있다. 하지만 삭힌 홍어는 흑산도 고유의 음식이 아니다. 그래서 손님들에게는 삭힌 홍어를 팔지만 흑산도 사람들은 정작 삭힌 홍어를 즐기지 않는다. 오히려 싱싱하고 찰진 생홍어를 주로 먹는다. 『자산어보』에도 기록되어 있듯이 나주 영산포가 삭힌홍어의 원류다. P 190



하지만 역시 신안! 하면 흑산도가 아닐까! 내가 참말로 좋아하는 홍어의 본고장★ 근데 조금 놀랐던 것은 흑산도가 홍어의 본 고장이 맞기는 하지만, 삭힌 홍어의 고향은 흑산도가 아니라 나주였다는 사실이랄까. 하하하. 그러니까 삭힌 홍어의 시작은 이렇다.



어부들이 흑산도 인근 바다에서 잡힌 홍어와 생선을 배에 싣고 영산강을 따라 올라가, 나주의 영산포까지 도착한다. 그 사이 다른 생선들은 썩어서 못먹게 되었지만, 홍어만큼은 썩지않고 자연발효가 되었다고!



지금 흑산도에서 삭힌 홍어 요리가 번성한 것은 오롯이 관광객들의 요구로 내륙 문화가 역수입 되었다는 것! 이야, 신안 섬을 따라 여행하다가 삭힌 홍어의 유래까지 알게 되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흑산도는 잠깐 들렀다 가기는 아까운 섬이다. 적어도 『자산어보』의 산실인 사리마을 사촌성당에서 하루쯤 소요하거나 걸어서 여행해야 흑산도의 깊은 맛을 알 수 있다. 사촌성당은 흑산도 유배살이 중이던 손암 정약전이 아이들을 훈육하기 위해 설립한 성당이자 조선시대 최고의 어류 도감인 『자산어보』의 산실이다. P 192



나는 어보를 만들려는 생각으로 섬사람들을 널리 만나보았다. 그러나 사람마다 말이 다르므로 어느 말을 믿어야 할 지 알 수 없었다. 그러다가 어느 날 창대라는 소년을 만났다. 차대는 즐 집안에 틀어박혀 손님들을 거절하면서 고서를 탐독했다. 나는 마침내 이 소년을 맞아들여 함꼐 묵으며 물고기 연구를 시작했다. - 정약전 『자산어보』 서문에서, P 245



신안 대둔도에는 창대의 묘지도 남아있고 그의 후손들도 살고 있다. P 247



흑산도는 홍어 말고도 유명한 것이 있으니, 바로 손암 정약전의 『자산어보』다. 자산어보는 조선 최고의 어류 백과사전이다. 자산어보가 저술된 장소가 바로 ‘흑산도’라는 사실! 자 여기서 정약전이 누구인가? 그는 바로 다산 정약용의 형이다. 정약전과 정약용은 정조 사후, 신유박해 당시 천주교를 믿은 죄로 유배형을 받았다. 형인 정약전은 흑산도로, 동생인 정약용은 강진으로. 동생인 정약용은 나중에 해배되었지만, 형인 정약전은 우이도에서 눈을 감았다.



여기서 조금 더 이야기 하자면, 정약전이 자산어보를 흑산도에서 집필했기에 흑산도가 유명하긴 하지만, 실상 손암은 흑산도보다 신안의 또 다른 섬, 우이도에서 더 오랜기간 유배생활을 했다고 한다. 마지막 생을 우이도에서 눈 감은 것도 포함해서.



두사춘으로도 불리는 두사충은 실존인물이다. 물론 자은도에 전해지는 이야기 속 두사충과 동일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임진왜란 시기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건너왔다는 점에서는 같은 인물일 가능성이 크다. (중략) 우연히 박종인의 『땅의 역사』를 읽다가 그 실마리를 찾았다. 경기도 양평에 있는 한음 이덕형의 묏자리를 두사충이 점지했다는 대목이었다. P 052



아니 그나저나, 책을 읽다가 발견한 한 문구. 나도 모르게 반가워서 체크했다ㅋㅋㅋㅋ 이 책의 저자도 박종인 기자님의 땅의 역사를 읽는가보다. 역시 우리나라 어느 땅이든, 그 땅의 역사를 알고 가야 재밌는 법! 그런 의미에서 대한민국 도슨트 시리즈, 앞으로 나올 지역도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