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역사 - History of Writing History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시민 작가님의 책은 정말 꼭 한 번 읽어보고 싶었다. 수 많은 TV프로그램에서 유시민 작가님이 하는 말에 공감이 되었고, 깊이를 할 수 없는 그 지식이 감탄을 금치 못했었다. 하지만 묘하게 유시민 작가님의 책과는 연이 닿지 않....기에..ㅠㅠㅠㅠㅠㅠㅠㅠ 하지만 드디어 읽었다! 발매된지 1년만에..

그것도 회사챤스 난 우리 회사가 이렇게 좋은 회사인지 몰랐는데, 생각보다 더 좋은 회사였다. 진짜 딱 이 부분만큼은 인정한다.

 

​『역사의 역사출간되자마자 모든 서점에서 베스트셀러 1위를 했던 책이다. 유시민 작가님 자체 만으로 흥행성이 있었겠지만, 그의 글빨과 지식은 자타가 공인하는 부분이니까, 베스트셀러가 되었다고 해도 이상한 점이 1도 없다고 생각했다. 근데 읽고나서 보니 이 책을 읽은 나같은 일반 독자들은 이 책을 온전히 다 이해했을까?’라는 의문이 생겼다.

 

내가 읽은 이 책의 느낌은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역사서를 쉽게 풀어준 해설서 였다. 목차에 나오는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 사마천의 사기등 의 수 많은 역사서를 그냥 읽으면 이해하기가 어려우니, 이 책으로 조금이나마 이해를 도와주겠다! 같은 느낌이랄까? 물론 어디까지나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위의 역사서에 대해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말이다.

 

나에게 이 책은 반은 어려웠고, 반은 쉬웠다.

 

위 목차에 나오는 역사서와 역사가들. 내 기준에서 반은 익숙한 이름들이고 반은 생짜 초면이었다. 그 결과 익숙한 이름이 있는 단락들은 정말 쉽게 읽혔다. 아주 술술술 읽혔다. 반면 생짜 초면인 이름이 있는 단락들은 두 번, 세 번 정독했으나 , 그렇구나하고 대충 넘어갈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이 책을 쉽게 읽으려면 위 목차에 있는 역사서들에 대한 배경지식이 좀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널리 읽힐 교양서라고 하기에는 그 문턱이 조금은 높은 듯한 느낌적인 느낌 ㅠㅠㅠ...

 

동양 역사서 혹은 역사해설서 인 사마천 사기, 박은식 한국통사, 신채호 조선상고사, 백남운 조선 역사 4단계 발전론은 정말 후루루룩 읽혔다. 모르는 단어 하나 없고, 모르는 시대 하나 없기에, 어려서부터 배워 온 한국사 혹은 동양사 연장선이었다. 일부는 읽어본 내용이기도 했다. 에드워드 H 역사란 무엇인가는 학창시절 국사시간 첫 머리에 배웠다. 카가 집필한 저 책을 배운다기 보다는, 카가 정의하는 역사에 대해 배웠다. 내가 기억하는 한 중학교, 고등학교 국사시간 첫머리는 에드워드 H 카 였다. 마르크스의 이론이나 다이아몬드 총균쇠의 경우 책을 읽어본 적은 없지만, 이 책을 인용한 여러 책을 읽어보았기에 역시나 익숙했다.

 

반면..........헤로도토스나 투키디데스, 이븐할둔........생짜 초면인 이름들이다. 심지어 그들이 쓴 역사서 역시 나는 잘 모르는 그들의 역사.......

그들이 살았던 나라에 대해서 잘 모르고, 그들의 문화에 대해서 잘 모르니, 그들의 책을 일부 인용한 구절을 봐도 솔직히 뭐가 뭔지 무슨말인지..!!! 배경지식의 중요성을 새삼 느꼈다. 내가 얼마나 서양사 혹은 유럽사에 얼마나 관심이 없었는 지를 뼈저리게 깨달았다. 그래도 읽으면서, 위대한 역사가들에 대한 느낌은 이렇다.

헤로도토스와 쿠티디데스는 공정하게 역사를 다루었다.

사마천은 역사의 특정한 사건이 아니라, 천하를 다뤘다. 인간 본성과 삶의 의미, 군주의 덕성, 권력을 다뤘다.

이븐 할둔은 세계를 일곱 기후대로 나눈 인류사를 썼지만, 그 안에는 주기적으로 알라신 찬양을 끼워넣었다.

랑케는 공평한 관점으로 역사를 서술한다고 했지만, 그의 글 속에서 로마-게르만 민족을 제외한 다른 민족은 미개인 혹은 오랑케였다.

마르크스는 기계가 노동의 차이를 없애고 임금을 모두 같은 수준으로 떨어뜨린다고 예언했지만 그 예언은 빗나갔다.

박은식, 신채호, 백남운은 당시 시대를 반영하듯 항일을 위해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역사를 썼다.

에드워드 H 카는 크로체의 말을 인용하여 모든 역사는 현대사라고 했다.

슈펭글러, 토인비, 헌팅턴은...그냥 나에게 어렵다...ㅠㅠㅠㅠㅠㅠ..... 계속 읽어도 모르겠다......

다이아몬드는 각 대륙 문명의 발전 속도가 다른 이유는 그저 운이 좋아서!” 라고 말한다.

하라리는 농업형멱을 인류 최대의 사기극으로 보았다.

 

이 책은 내가 생각하는 역사는 무엇이었는지, 책을 다 읽은 뒤에도 내가 생각하는 역사의 의미는 변하지 않았는지, 변했다면 어떤식으로 변했는지 끈임없이 생각하게 한다. 내가 생각했던 역사는 지금까지 내가 생각한 역사는 '과거이 일어났던 일' 그 중에서도 인류에게 전환점이 되었던, 혹은 큰 사건들을 기록한 것이라 생각했다. 근데 그렇게 단정짓기에는 역사란 너무 복잡한 시간, 공간, 인류의 결정체였다.

 

나는 들은 것을 전할 의무는 있지만, 들은 것을 다 믿을 의무는 없으며, 이 말은 책 전체에 적용된다._P41 ‘헤로도토스

 

역사가의 임무는 기록이 아니라 평가하는 것이다. 만약 아무것도 평가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기록할 가치가 있는 사실인지 역사가는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_P 232 (에드워드 H.)

 

각 대륙의 역사가 서로 크게 달라진 것은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타고난 차이가 아닌 환경의 차이 때문이었다. (중략) 이 네 가지 환경 차이는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논쟁의 여지가 없다. P_296 (다이아몬드)

 

대체 역사란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이 책에 거론된 수 많은 역사가들은 본인이 생각하는 역사가 무엇인지를 이야기 했다. 다 맞는 말 같기도, 아닌 것 같기도 했다. 나는 아직 역사의 짜도 모르기에, 그나마 내가 생각하는 역사가 무엇인가 한다면 에드워드 H.카가 정의한 역사가 제일 맞는 말이 아닐까 싶다.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 에드워드 H.

 

말 그대로 역사는 과거가 아니라 현재. 역사는 보다 나은 '현재'를 살기 위해서 꼭 필요한 그 무언가다. 역사는 우리의 과거이자 현재고 미래이다.

 

여담이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유독 신기했던 점이 바로 주석이다. 요새 읽은 책들은 이렇게 까지 주석을 활용한 책이 없었는데, 유시민 작가는 주석활용이 대단했다. 어떻게 보면 사소한 논란이라도 방지하기 위한, 철두철미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난 이렇게 주석 활용하는 걸 좋아하니까. 저자가 어디서 이 문장을 인용했는지, 혹은 본문에 넣기에는 튀는 내용이지만 꼭 알아야 하는 부분을 따로 알려준다던지, 이런 식으로 주석활용하는거 너무 좋다 ㅠㅠ

​나는 들은 것을 전할 의무는 있지만, 들은 것을 다 믿을 의무는 없으며, 이 말은 책 전체에 적용된다. - P41

​역사가의 임무는 기록이 아니라 평가하는 것이다. 만약 아무것도 평가하지 않는다면 무엇이 기록할 가치가 있는 사실인지 역사가는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 P232

각 대륙의 역사가 서로 크게 달라진 것은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타고난 차이가 아닌 환경의 차이 때문이었다. (중략) 이 네 가지 환경 차이는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논쟁의 여지가 없다. - P2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