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미안을 다시 읽는다.  

청소년기에 읽었던 책. 선생님들로부터 무수한 찬사와 경외에 가득찬 평가로 권유 받았던 책.그리고 마침내 처음 데이안을 읽었을때의 충격. 알 듯 모를 듯 모호한 상징과 짧지만 쉽지않은 문장들로 즐겁게 심오했던 내 청년의 모습이 다시금 되살아난다. 내게 이 책을 권하셨던 선생님이 그러했듯 나 역시 이 작품이 그리고 있는 고통스러운 성장의 과정을 거치고 있거나 방금 그 시기를 지나온 세대에게 반드시 읽기를, 천천히  여러 번, 느긋하게 읽기를 추천한다.

헤세는 이 책을 1차 세계대전 중에 썼으며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에 발표했다고 한다. 가명으로 독일의 권위있는 문학상에 공모했으며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나 수상을 사양했고 눈밝은 독문학자가 문체분석을 통해 이 작품이 헤세의 작품임을 밝혀내었다고 적혀있다. 

'자아의 삶을 추구하는 통과의례 기록'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은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 이며 누구나 나름대로 소중한 존재임. 

<나를 찾아가는 길>의 인식의 첫 단계는 기존 규범으로 부터의 떠남이다. 

제1장 <두 세계> 는 나쁜 친구에게 시달림을 당하는 흔한 경험을 통해 유년의 행복에 그어지는 첫 균열을 경험- 최초의 어두운 세계의 고통스러운 체험과 인식. 

제2장 <카인> 크로머로부터 싱클레어을 구출 해 준 뛰어난 소년 데미안이 열어주는 또 다른 시각을 다룸.카인을 남달리 뛰어난 사람으로 보는 데미안의 해석은 주입된 모든 규범에 대한 다른 시각을 열어 줌. '또 하나의 악하고 나쁜세계와 나를 묶어주는 유혹자'인 데미안을 기피. 자기 자신에게로 인도하는 어려운 길을 가고 싶지 않은 갈등이 부각됨. 

제3장 <예수 옆에 매달린 도둑> 마지막 순간에 회개한 도둑보다 끝까지 자신의 길을 간 도둑 쪽이 '강한 개성을 가진 도둑'  이고 뛰어난 카인의 후예일 수도 있다는 것. 기독교의 일면적 교리에 대한 대안이 되는 포괄적인 신앙에 대한 의식을 심어 줌. 각성에 대한 기쁨을 느낌. 

제4장 <베아트리체> 비애와 절망에 좀먹히고 작은 타락을 경험하는 도시 생활을 그림. 유년시절과의 결별의 시기. 

제5장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모두가, 가장 진부한 대화도, 나직하고 꾸준한 망치질로 내 마음속의 한 점을 계속 두드렸다. 모든 대화가 나의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모든 대화가 내 허물을 벗는 일에, 알 껍데기를 부수는 일에 도움이 되었던 것이다. 

제6장 <야곱의 싸움> 나에게 축복을 내리지 않으면 보내지 않겠다며 천사와 씨름한 야곱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우리가 어떤 사람을 미워한다면, 우리는 그의 모습 속에, 바로 우리들 자신 속에 들어 앉아 있는 그 무엇인가를 보고 미워하는 것이지. 우리들 자신 속에 있지 않은 것, 그건 우리를 자극하지 않아. 

제7장 <에바 부인> 만남과 공동체에 대한 성찰이다. 허약한 사람들은 어디서나 '두려움에서, 무서움에서, 당황에서 만든 공동체'를 만드는데 그런 공동체는 패거리짓기일 뿐이며 내부가 상해 있고, 곧 무너질 것 같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서로에게로 도피하고 있을 뿐이다. 

제8장 <종말의 시작> 내 친구이자 나의 인도자인 그와 닮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 이제 자신 속에 있는 뛰어난 존재와 하난가 됨. 

예전 책에서는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고 되어 있었는데, 이번 책에서는 <새는 알에서 나오기 위해 투쟁한다>로 되어있다. 번역가 전영애는 '기존 번역의 매끄러움과 유연성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원어에 담긴 치열함을 살려내고 싶었다'고 전한다. 고통스러운 투쟁의 기록이 바로 이 작품 전체이기 때문이다라고. 

누구도 근본에서 피해 갈 수 없는 한 시절의 아픈 방황과 그 끝을 이 책은 그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여러가지 신화적인 상징들과 철학적인 문제들도 제시하고 있으며 역자의 말을 빌면 어설프게 현실과 결합하려는 의도(2차 세계대전) 도 엿보인다. 명료하지 못한 언어와 지나친 상징성으로 비판되기도 했다고 하지만 그럼에도 헤세가 던진 대 주제 <자신에게 이르는 길>은 여전히 독일 뿐만 아니라 범세계적으로 가장 관심받고 많이 읽히는 뛰어난 작품인 것 만은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