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빠요 바빠 - 가을 도토리 계절 그림책
윤구병 글, 이태수 그림 / 보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펌- 이가령 선생님 '해야해야'>

이 책은 도토리 계절 그림책 가운데 마지막으로 낸 책입니다.
책 네 권을 함께 좍 펼쳐 놓으면 우리 땅의 사계절이 거기에 아주 정겹게 살아납니다.
<우리 순이 어디 가니>에는 물 오르는 봄의 모습이
<심심해서 그랬어>에는 무성한 초록의 느낌과 생동감이 살아있는 여름의 모습이
<우리끼리 가자>에서는 겨울 산의 동물들 모습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려고 하는 <바빠요 바빠>는 가을 편으로 요즈음 읽기에 딱 안성맞춤인 책입니
다. 갈색톤의 부드러운 색채로 산골 마을의 가을 모습을 너무나 잘 표현하고 있답니다.

이 책의 주인공은 마루예요. 마루네 집은 굴피집이랍니다. 굴피집이 뭐냐구요? 참나무 껍데
기를 기와처럼 좍 펴서 지붕을 얹은 집을 말한답니다. 굴피집은 요즈음은 좀처럼 보기 힘들
지요. 이책의 표지에 그림으로 한번 확인해 보세요.

산골 마을에는 겨울이 유난히 빨리 찾아듭니다. 겨울 준비를 위해 사람이나 동물이나 모
두 바쁘게 움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보면 자연의 시간이 참으로 오묘하
구나 하는 것을 잘 알 수 있습니다.

고추를 따는 풍경에서 시작된 이야기는, 가을이 깊어감에 따라서 이런 저런 일들을 하는 모
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어서 고추를 마당 가득 널어 놓고 말리는 장면이 이어집니다.
그런데 고추를 말리는 그 때는 바로 메밀 꽃이 피는 시기라고 하구요.
또 미루나무 잎이 노랗게 물들면 콩을 터는 시기가 된 거랍니다.
서리가 내릴 무렵에는 밭에 있는 무와 배추를 거두어 들이고
오동나무 잎이 떨어지면 김장을 해야 하는 시기라고 합니다.

간단한 문장 속에서도 이런 내용을 알뜰히 담고 있고, 문장마다 '바빠요 바빠'라는 어구로
리듬감을 잘 살려내서 아주 재미있게 읽히고 있습니다.
그동안 그냥 무심히 넘어 가던 일들도 가만히 살펴보니 다 제 철에 따라서 그렇게 움직이
는 것이구나 하면서 이 그림책으로 다시 깨달았답니다. 철이 든다는 말이 자연
의 철을 안다는 것이라고 하는 말이 있어요. 이 책을 쓰신 윤구병 선생님은

"사람에게 철을 가르치는 것은 사람이 아닙니다. 아무리 슬기로운 사람도 제 힘으로 자식
들을 철들게 만들 수 없습니다. 자연이 가장 큰 스승이라는 말은 자연만이 바뀌는 생명의
시간 속에서 사람을 철들게 만들고 철나게 만들기 때문에 생겼습니다. 사람은 한 철, 또 한
철 자연과 교섭하는 가운데 밖에서 나는 봄철, 여름철, 가을철, 겨울철을 내면화합니다. 그리
고 그 과정에서 철이 나고 철이 듭니다. 교육의 큰 목표 중 하나가 아이들을 철들게 하는
것이라면 아이들이 생명의 시간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합니다. "
고 말씀하시네요.

초가을에서부터 늦가을까지 가을의 깊이에 따라 산골 마을의 풍경과 사람들의 모습이 달라
지는 것도 그림으로 느낄 수 있었고, 모두 사람과 동물 모두 바쁜 가운데에서도 가을이 풍
성하게 무르익어 가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그림이 아주 정겨웠습니다.
책을 읽고 나서는 아이들과 함께 이런 정경을 한번 직접 경험해 보는 것도 좋겠지요?
(4살 이상, 초등 저학년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