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에는 페루 사람들이 산다 - 문학과지성 산문선 5
김병익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1월
평점 :
절판


책을 읽다가 책의 발행년도를 찾아보았다. 펼쳐지는 곳을 먼저 읽는 습성이 있는 내게 우연히 처음 잡힌 부분이 '우공의 호수를 보며'라는 제목의 중국편이었는데 얼만전에 중국을 다녀왔던 나는 내가 받은 설명하기 어려운 느낌들이 구체적이고도 어떤 근거를 갖고 정확하게 지적된 것이 정말 반갑고도 신기할 지경이었다. 몇년의 시간차를 두었는데도 불구하고 내가 느끼고도 표현하지 못해 답답해하던 부분을 속시원히 풀어주니 가슴이 다 환하게 뚫리는 기분이었다.

작가는 이 책 서문에서 이글을 쓰는 목적이 여행안내서가 아니라고 했지만 특히 페루편을 읽고 있노라니 작가가 직접 목도한 상황과 장면들의 묘사가 너무나 생생해 그동안 동경해마지 않던 잉카문명의 신비속으로 계속 걸어들어가 그가본 쿠스코의 달을 보고, 외계인이 그린것이 아니면 설명이 되지 않는다는 나즈카의 상형도형을 내려다보며, 숨을 깊이 들이쉬면 파랗게 허파가 변색할 정도라고 표현한 때묻지않은 페루의 하늘을 올려다보고 싶은 생각에 책을 던져버리고 당장이라도 떠나고픈 욕구가 일었다.

여행이 늘 꿈이고 갈증인 나는 분주한 일상 중에도 문득 어디로, 어디로, 하고 묻곤한다. 그리고 그꿈의 실현을 위해 매달 새로운곳을 계획하고 있다. 가까운 곳, 먼 곳, 일정이 짧은 곳,오래 걸리는곳 등등.. 가고싶은 곳도 많고 가야할 곳도 많지만 여행을 하면 할수록 느끼는 것은 여행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부를 바탕으로 한 열린 가슴만이 짧은 시간으로 제한되는 여행을 알차고 튼실하게 할수있는 최선의 비결이라는 것이다. 내가 걷고, 내가 호흡하며 나와 짧게나마 얘길 나누었던 낯선 곳에서 만난 사람들은 더이상 내게 낯선 사람이 아니며 낯선 땅이 아니게된다. 우연한 기회에 여행했던 곳의 소식을 듣게되면 마치 잘 알던 오래된 친구의 소식을 듣는 것처럼 반갑다. 그곳이 우리나라 땅이어도 그렇게 아니어도 그렇다.

저자에대해 잘 알고 선택한 책은 아니고 제목이 주는 느낌을 믿고 고른 책이었지만 여행이란 과연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주는건지에 관한 것이며 우리와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이해하는 성찰의 눈을 갖게해주는 여행을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을 다시 고르게 해주는 책이었다. 무엇보다 섬세하고도 내면적인 표현이 돋보인 유려한 문장은 기본이 튼튼히 다져진 대가에게서나 느낄수있는 깊이를 짐작하기에 충분했다.

평소에 찾아내지 못하다가 우연한 기회에 훌륭한 책이나 음반을 찾아냈을 때에 받는 기쁨과 감동은 겪어본 사람이면 누구나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책을 읽는동안 나는 잠시 행복했다. 책읽는 즐거움을 충분히 느끼게 해 준 이 책에 나는 기꺼이 별 다섯을 주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