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키모 왕자 - 詩說: 시적인 이야기
윤대녕 지음, 하정민 그림 / 열림원 / 2003년 2월
평점 :
절판


한국의 '무라카미 하루키'로 불리는 작가 '윤대녕'의 책을 읽었다. 그의 책을 제대로 읽은건 이번이 처음이다. 예전에 제법 글깨나 읽는다고 알고있던 知人이 몇번을 읽어도 좋다, 너무나 아끼는 책이라며 그의 책을 내게 건네주었던 적이있다. 그 책이 '그녀에게 얘기해 주고싶은 것들'이었는데 사실 몇 페이지 읽고 그리 특별함을 느끼지못해 중간에 접었었다.다소 시적이며 이미지즘 적인 여행서에 편지글정도로 치부하고 덮었던 기억이난다.아마도 읽고있던 다른 책들로 돌아갔던것 같다.'에스키모 왕자'를 읽으면서는 처음부터 느낌이 사뭇달랐다.

전반부에선 사실 고개를 갸웃거렸다.'에스키모 왕자'의 정체가 주는 묘연함..정신분열증적 증상을 표현하고 있는건가 싶기도하고..몽환적이며 나른한 글쓰기 방식을 갖고있는 작가의 문체와 심각한듯 하면서도 얽매이지 않는 사고방식을 갖고있는 주인공의 이미지가 맞아떨어지면서 이게 기획의도인지 아님 작가의 숨겨진 증상인지를 가늠하기가 쉽지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글에서는 '자유'의 냄새가 난다. 시간과 공간, 내면과 현실을 넘나드는 무한자유의 냄새. 어떤것에도 속박받고 얽매이지않는 초월의 힘. 그것은 온전한 글쓰기가 삶이 되어버린 작가에게서 받을수있는 겸손한 배움인듯싶다. 어느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하고있다.

'그래, 그것뿐이었다. 지금껏 아비에게도 단 한번 굽히지 않았던 내가 기어이 문학에 항복하고 말았다. 이제 남자 나이 마흔이 됐으니 이 일을 숙명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돼버렸다.굶어죽지 않고 버티는 게 삶에 있어서 가장 큰 미덕이라는 것도 알았다. 자진해서 세상 밖으로 나갈 생각이 아니면 어쨌든 턱걸이를 계속해야 한다. 세상과 매끈하게 어울리는 재주는 없으나 땀을 흘리고 뛰어와야 안으로 들여보내 준다는 건 안다. 그러나 입장권을 얻기 위해 고개를 숙이지는 않는다. 그것이 내가 문학을 하는 진짜 이유인지도 모르겠다'

그의 글의 특성중 하나는 '여행'을 통한 글쓰기 방식이다. 여기서 '여행'은 미지의 공간이자 이국적인 향취로 가득한 낯선곳이기도하고 자기 내면에 감춰진 수면속의 빙산 아랫부분이기도하다. 물위에 드러난 지극히 작은 일부분인 보여지는 부분들이 감춰진 물속의 거대한 이드에로 끊임없이 헤엄쳐 들어가서 치열하게 탐구하고 얻어내고 화해하는 과정이 글의 전반에서 엿보인다.

이제 나는 그의 책을 덮었고 몇장읽다 덮어두었던 그의 다른 책을 다시 볼 생각이다. 아마도 이번엔 전번과는 사뭇 다른 느낌일거라고 감히 짐작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