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코프 문학 강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김승욱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개인적인 겨울 프로젝트의 하나인 <나보코프 문학강의> 읽기 시작했다. 다루고 있는 7편의 작품 중 아직 안 읽은 디킨스, 프루스트 작품까지 읽고 읽으려면 시간이 꽤 걸릴 테지만 우선 천천히 시작해보려한다. 무엇보다 ‘문학을 학파와 운동중심으로 파악하거나 사회 정치적 메시지로 파악하려는 평론가들을 경멸’(편집자 서문 중) 했던 나보코프의 입장에 매우 동조하기 때문에 더욱 기대되는 독서이다.
첫 장 ‘좋은 독자와 좋은 작가’에 역시 맘에 드는 구절이 있어 밑줄친다. 글쓰는 이는 아무렴 이런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데이아>
남편에 대한 복수로 자식을 살해한 비정한 어머니의 표상이지만, 현대적으로 읽는다면 인간으로 취급받지 못했던 고대그리스 시대에 온갖 마술과 주술에 능했던 유능한 마녀다.(딱히 여성직업이 없을때니 최고의 직업 아닌가?)
극중에 그녀의 주도면밀함, 목표한 바를 꼭 이루는 집념, 남편에게 순종만 하지 않는 주체적인 면들이 다 나온다. 이걸 모성 관점에서, 일부종사하는 가부장제의 순종적 프레임으로 읽으면 패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버의 정부에 대한 정의가 꽤 마음에 들어 기록해 둔다.
“합법적인 폭력사용을 독점”

오늘 경제학도에게 이 영향력있는 논문원전과 저자 대런 애쓰모글루 에 대해 들었다.

각국의 데이터 사례를 가지고 논문을 썼고, 방법론이 쉽고 학부생도 접근 가능한 거지만, 그 데이터를 꿰어내고 설명하는 아이디어와 방향성은 매우 참신하고 타당성이 있어서 학계에서 인정받는단다.

경제적 포용력과 정치적 포용력을 어떻게 갖고 이를 현실정치에서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고 이 학자는 그저 존재하는 객관적 데이터를 가지고 제도와 역사를
설명할 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서구 열강들이 식민수탈을 했기에 잉여 생산력을 가지고 경제적 포용력과 정치적 포용력을 견인할수 있었고, 반면 식민 수탈을 겪었던 남미와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의 수많은 국가들은 해방되고 독립되었어도 경제적 포용력과 정치적 포용력을 제도로 안착화 시킬수 있는 능력, 힘, 단일한 가치체계, 지도 세력 등을 가질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착취적 제도를 유지할 뿐이라는 내 생각은 변함이 없다.

더욱이 북한은 미국의 봉쇄정책 속에 70년을 홀로 버텼기 때문에 그런 폭압적 폐쇄적 정치제도가 아니면 이미 붕괴되었을 거라는 특수성을 잊지 말아야 한다. 반면 남한은 북한의 대적체이자 미국식 자본주의, 민주주의의 상징체이므로 경제와 정치발전을 용인했다는 점을 절대 잊으면 안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자들의 기본입장은 정치체제는 억압적이고 경제체제는 포용적이라는 것이다. 즉 생산을 발생시키는 경제는 민주주의를 통해 부의 분배가 이루어지면 번영하는 거고, 독재, 군주제 등의 억압적 정치구조라면 부의 독점을 하기 때문에 어렵단다. 예를 든 곳이 이집트와 영국/프랑스이다.

일견 그럴듯한 말이지만 일단 경제가 그 자체로 원래 꼭 포용적인지 동의하기 어렵다. 자본주의 경제구조는 자본가가 부를 축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혁신과 4차 산업혁명 등은 엄청난 자본 투자와 기술집약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집중된 자본가의 부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자본가가 선의를 베풀어 공공적 역할을 하는 선에서만 부의 분배든 기술의 대중화가 가능하지 현재 정치체제로 그것을 강제하기도 어렵다.

비교를 한 이집트와 영국의 정치체제에 대해 보자면, 이집트 같은 나라들이 오랜 독재를 해 온 것은 그들이 산업혁명과 근대경제체제 확장기에 식민통치를 받았기 때문이다. 반면 영국 등 서구 강대국이 오랜 투쟁끝에 민주주의를 이룰수 있었던건 그걸 받쳐주는 경제생산구조와 부를 쌓았기 때문인데 그건 이집트 등을 식민지로 착취했기 때문에 가능했던거 아닌가? 이집트가 나중에 외세를 몰아냈지만, 지금껏 수탈당했으므로 민주제를 뒷받침할 경제적, 정치적 힘이 부족했고 결국 군주 독재가 들어설수 밖에 없는거 아닌가?
서남아시아와 중동지역의 수많은 분쟁과 전쟁들이 민주제로 경제의 부를 잘 번영시켰다고 칭찬받는 서구열강들의 식민수탈과 내정간섭, 전후 국가 획정 등에서 비롯된거 아닌가?
미국과 영국에서 공부했다는 이 유명 학자들이 세상을 너무 단순하게 본다고 생각된다.

한국어판 서문은 더 이들의 관점이 옳은가에 갸웃 거리게 한다. 저자들이 한국에 참 무지하다는 생각만 든다. 북한은 말도 안되는 세습 독재에 폐쇄적 억압적 정치체제인건 맞지만 그 이유는 소련의 몰락과 미국의 봉쇄정책 때문이다. 자본주의의 승리를, 미국식 자유민주주의 승리를 전세계에 광고하기 위해 북한을 고립시킨게 미국 아닌가?
한국의 경제구조가 포용적인가? 한국은 독재와 매판 자본의 폭압을 민중이 스스로 떨쳐 일어난 결과이고, 미국 등의 강대국의 용인하에 가능했던 것 뿐이다. 남한과 북한은 일면적으로 분석할수 없는 지형인데, 한국어판 서문은 참 수준이하다.
소모임 세미나 때문에 읽기 시작했는데 시작부터 실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년에 올려질 뮤지컬 <펀홈>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벡델의 그래픽노블을 첨으로 손에 잡아 보았다.
비극적 관계이자 억압하는 존재로서 아버지를 그리면서도 작가는 그에 대한 애정과 깊은 존중을 끊임없이 표현한다. 수면 아래로 말이다. 밑줄친 장면이 대표적이다. 아빠와 스킨쉽을 하고 싶어 혼자 어색하게 입술을 내미는 자식이라니.. 얼마나 애처롭고 사랑스러운지..
요즘 나의 경우를 포함하여 부모-자녀가 가진 이중적, 모순적이며 치명적인 관계에 대해 생각하는 일이 많다. 한국의 가부장제-정상가족 강요문화 때문에 한동안 가족의 지배력을 무시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 외면하기 보다 깊이 들여다 봐야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깨닫고 있다.
펀홈 너무 생각할거리와 재밌는 장면이 많아 아껴서 읽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