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he future is already here - it's just not very evenly distributed."
- 이임복, <메타버스, 이미 시작된 미래> 中
윌리엄 깁슨의 말이 인용되어 있다. 처음에는 evently라고 적혀있어서, 이게 대체 무슨 단어인가 싶어 구절을 검색했는데 나오지 않는다. 아, 이거 evenly가 오타났나보구나. 그런데 구절을 그대로 적어둔 감상들이 여럿 보인다. 어쩐지 이런 구절 하나에서도 윌리엄 깁슨의 말이 들어맞는 것 같은 느낌이다. 이 책 한 권에서도 작은 불균등이 퍼져있다니. 영알못인 나로선 아주 간당간당하게 틀린 것을 알아차린 셈이다. 어쩐지 기쁘다. 하지만 한편으론 이런 식으로 내가 모르는 것들이 얼마나 많을 지 조금 두렵다.
늘 모든 것에 늦는 편이다. 워낙에 세상살이나 남의 일에 관심이 적은 데다가 남들이 좋아하는 것에 관심이 없는 편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그러니 군중심리같은 것은 내게 잘 통하지 않는 말이다. 오히려 청개구리에 가깝다. 돈은 좋아하는데 그렇다고 남들이 돈 얘기할 때 같이 돈 얘기하고 싶지 않다.(진정한 속물인지도 모른다..) 남들이 주식 얘기할 땐 꿈쩍도 안 하다가 많은 친구들이 수익을 낼 대로 내고 빠져나올 때 뒤늦게 들어섰다. 대한민국이 기생충에 난리일 때 뜬금없이 해리포터를 다시 정주행하고 있었고, 곰곰이 생각해보면 심지어 국정농단 사태 때도 모두가 지쳐 분노조차 사그라질 즈음 뒤늦게 혼자 분노했다. 청소년기에는 모두가 '올인'을 볼 때 혼자 '눈사람'을 봤다.(내가 이 얘기를 하면 모두가 눈사람이 뭐냐고 묻는다....처제가 형부를 좋아하는 막장 드라마인데....확실히 B급 드라마이긴 했다.) 그런데 메타버스라니. 알 리가 없지. 그래도 그동안 모든 일에 늦어도 너무 늦던 것에 비하면 이 정도면 그리 느린 것은 아닌 것 같기도......?
사실 메타버스라는 말이 난 좀 웃기고, 그냥 유치하게 단어 하나 붙여놓곤 자기들끼리 새로운 경제를 창조한 양 떠드는 것이 아닐까 싶었는데, NFT 거래에 대한 내용을 읽으면서는 아무래도 조금 다른 미래가 오고 있긴 한 것 같다는, 작은 인정(?) 정도는 하게 됐다. 이러다가 몇 년 후, 그 책을 읽었을 때 메타버스 관련주를 사야했다며 눈물을 흘리고 있을 지도 모르지만, 어떤 행위가 미래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를 예측하는 일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니 뭐 그때도 '어쩔 수 없었지' 라고 가볍게 체념할 수도. 아니면 '내가 그렇지 뭐.' 정도의 짧은 자기 비하와 함께 허허 웃으며 메타버스 주를 관심 목록에서 삭제하는 정도로 그칠지도. 그때도 주식이 있긴 하려나. 그래도 조만간 많은 일들이 정리되고 내년 즈음에는 나도 어떤 세계인지 한 번 구경이나 해보려고 생각은 하고 있다.
2
환자를 가족처럼 대하는 의사는 현실에 존재할 수 없다. 이유는 간단하다. 환자는 실제로 의사의 가족이 아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그 사실을 깨달은 어떤 사람들은 의사 사위를 보든 며느리를 보든 의사를 진짜 가족으로 만들려고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 좋은 게 좋은 거라고 비싼 값에 그 가족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도처에 넘쳐나는 '가족 같은 의사'라는 말은 그저 판타지일 뿐 현실에선 그런 기대는 접는 게 낫다.
- 김범석,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 中
아, 그래서였다. 나는 이 구절을 읽다가 무릎을 세게 쳤다. 그래, 그래서 의사랑 결혼하려고 했지. 그 친구는 나와 친하지도 않은데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있는 자리에서 자기 남자친구를 흉보길 좋아했다. 작은 다툼 같은 귀여운 흉 정도가 아니라 그 사람이 얼마나 여자를 좋아하는지 어떤 여자 문제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거였는데, 그 말을 하면서 웃고 있기에 난 대체 왜 그런데도 만나고 있고 결혼하려 하는지 더군다나 그 슬픈 이야기를 하면서 어떻게 웃을 수가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더랬다. 지금은 '그런데 왜 만나'라고 물어볼 깡은 생겼는데 이제 굳이 물어볼 이유는 없게 되었다. 인간 관계란 게 그렇게 명쾌하게 결론 지을 수 있는 것은 아니란 것과 결혼의 이유에는 사랑이 부재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는 것을 많이 봤기 때문이다. 물론 그 친구의 속 마음도 다른 친구를 통해 전해듣기도 했다....
김범석님의 글과는 전혀 관계없는 이야기로 또 새버렸다. 꼭 이렇게 되고 만다.
작가가 하고 싶었던 말은 현재 우리나라 의사의 삶은 환자 한 명, 한 명을 가족처럼 보살필 수 없는 현실이기도 하고 또 애초에 정말 가족이 아닌데 어떻게 가족 같을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가족이 크게 아팠을 때 우리 가족은 친하지도 않은 큰 아버지의 존재를 떠올렸었다. 그 집에 의사가 있으니 병실 하나 정도는 급히 구해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아주 염치없는 생각이 든 거다. 이래서 집안에 의사 하나, 검사 하나, 변호사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거구나- 하고 피부로 깨달은 날이었다.
그래도 가끔 '가족 같이 편한 건 아니지만 어떻게 일로서 이렇게까지 챙겨줄 수 있지'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의사들을 만나기도 한다. 어떤 레지던트는 하루에 두 세시간을 자면서도 그렇게나 우리 가족에게 친근하게 굴었는데 그때 처음으로 의사와 결혼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기도. 따스한 성정이 얼마나 가치있고 희소한 매력인지를 그때 처음 느꼈던 것 같다. 물론 의사와 따스한 성정이 필요충분관계는 아닐 테지만.
3
매 발달 단계에서 아이가 전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때마다 가족은 매번 새롭게 절망을 경험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악을 가정하는 것은 흔히 최악의 결과로 이어진다. 낮은 기대는 자기충족적 예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피터 카타파노, 로즈마리 갈런드-톰슨 <우리에 관하여> 中
장애아를 자식으로 둔 수백 명의 부모들과 인터뷰하면서, 나는 자기 아이가 의사들이 예측했던 것보다 훨씬 많이 혹은 훨씬 적게 성취해내는 것을 보고 부모들이 분노를 터뜨리는 모습을 반복해서 보아왔다. 장애가 있든 없든 아기는 일종의 암호와 같다. 오직 시간만이 아기가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게 될지 말해줄 수 있을 것이다.
- 같은 책 中
요즘 나이를 먹었다고 느끼는 이유 중 하나가 시도때도 없이 눈물이 난다. 감정이 메마른 사람이어서 웬만해선 눈물을 잘 안 흘렸는데 요즘은 '우리'라는 단어만으로도 눈물이 날 정도다. 평소 내 가치관은 최대한 기대없이 살자는 주의인데, 그러다보면 실망하거나 상처받는 일이 없어서였다. 내 입장에서 다치지 않는 방법을 택한 것인데, 이 구절을 읽는 순간 기대를 품지 않는다는 것이 상대방에게 불행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를 지키기 위해 하는 행동이 상대방의 성장을 막을 수 있다. 사랑의 관점에서도 종종 자신의 불안을 상대방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애쓰면서 기대하지 않는 척하는 행동들이 이와 비슷하다는 생각도 했다. 가끔 사람들은 마치 어린아이가 부모에게 그러는 것처럼, 크게 관심쓰지 않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매우 기대하는 행태를 띤다. 이 또한 새롭게 절망할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4
그도 그럴 것이 가정폭력을 의심할 만한 상황이 생겨도 이웃들은 남의 집 가정사에는 함부로 끼어들지 않는 법이라고 생각해서 모른 체 하는 게 미덕이라 여겼고, 실제로 모른 척 지나갔거든. 게다가 설령 신고를 하더라도 경찰은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는 식의 한가로운 반응을 보이며 '아름다운 화해'를 종용했어. 그러다 보니 가정폭력은 어느 집에서나 벌어지는 일상이 돼버린 거지. 1992년에 형사정책연구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결혼 후 남편에게 구타당한 주부가 응답자(640명)의 45.8퍼센트에 달했어.
- SBS 제작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中
연도를 보고 우리네 어머니들의 삶에 대해 생각했다. 세상이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과거의 악습을 고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그렇다고 마냥 신고가 최고지, 라고 떠들기엔 개인의 삶에 어디까지 공권력이 개입할 수 있는지와 사건이 종결된 후 다시 그들의 삶으로 되돌아갔을 때 그 공권력이 어디까지 개인을 지켜줄 수 있는가의 문제도 포함되어 있어서 무엇이 '옳은지'는 판단하기는 쉬워도 무엇이 '잘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때로는 법을 준수하고 정직하게 판단하는 것이 오히려 누군가를 불행하게 만드는 어리석은 행동이란 걸 알게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문제가 발생하면 당연히 가장 지혜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그 지혜라는 것은 단순히 지식을 취득하고 책을 읽는다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어서 미로 속에 갇힌 기분이 들 때도 있다.
그나저나 TV 볼 때도 재밌었는데 책으로 읽어도 재밌긴 하네.....최대한 중립적인 위치에서 읽고 싶은데 잘 안 된다.
꼬꼬무를 읽다보니 다시금 떠오르는 오늘의 구절..
The future is already here - it's just not very evenly distribu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