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은 코스타브라바✻의 언덕에 위치한 작은 도시였다. 그는 늦은 오후에 도착해 혼잡한 바르셀로나발 열차에서 내렸고, 택시 정류장 표지판들을 따라갔다. 출근할 때 입는 옷을 입고 있었는데, 그게 그가 가진 가장 좋은 옷이었다. 그는 혼자였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44

스페인에는 처음 와본 것이며, 지금 자신은 북한에서 태어나 바르셀로나에 거주 중인 54세 이주연 씨와 함께 있다고. 그리고 전단지 왼쪽에 있는 권투 선수는 소련 출신이고 30세인 미들급 복서 니콜라이 코마로프라고.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47

주연이 스페인에 온 지도 이제 오 년째였다. 그 전에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호텔방을 청소하는 일을 했고, 그 전에는 서울에서 같은 일을 했다. 바르셀로나에서 주연은 중국, 북아프리카, 우크라이나에서 온 다른 여자들과 함께 하숙집에서 살았다. 그들은 모두 집과 호텔, 사무실 건물과 박물관을 청소하는 일을 했다. 여자들은 왔다가 떠났다. 다른 사람들이 쓰라고 공용 화장실에 목욕 용품을 두고 가기도 했고, 가끔은 책을, 혹은 아래층 텔레비전으로 볼 수 있는 비디오테이프를 두고 가기도 했다. 그 하숙집에 가장 오래 머무르고 있는 사람이 주연이었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49

그들이 이야기를 시작했을 때 주연이 처음으로 했던 생각은 누군가가 마침내 자신을 다시 데려가려고, 혹은 떠난 것에 대해 처벌을 하려고 찾아왔다는 것이었다. 주연은 전쟁 중에도, 그 뒤에도 그 비슷한 이야기를 들으며 지냈다. 남한 측에서 부르는 자리에 나가 질문에 대답한 일이 한 번도 없다 해도—주연은 한 번도 없었다—그건 중요하지 않았다. 반동분자였으니까. 도망쳐서 한번 사라진 사람은 그들에게 자신을 한 번 더 지워버려도 된다고 허락해준 셈이었다. 완전히, 모조리.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49

주연은 맞다고 대답하고는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던져 넣기 위해 돌아섰다. 두 눈을 감았다. 그 순간, 이번에 쉬는 숨이 마지막 숨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허공으로 뻗은 한쪽 팔에는 쓰레기와 회사에서 나온 뭔지 모를 파쇄된 종잇조각이 들려 있고, 두 손은 장갑 속으로 스며든 표백제 때문에 갈라지고, 후각은 그 표백제 냄새 때문에 둔해진 채로, 사방에서 희미하게 나는 쓰레기 냄새를 맡으며, 끝없이 이어지는 바르셀로나의 밤에.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50

"아드님은 만나고 싶어합니다." 계가 말했다. "이주연 씨에 관해서도 이미 알고 있고요. 한국어도 할 줄 압니다. 아드님을 입양한 가족의 어머니 쪽이 카자흐스탄에 살던 고려인입니다. 그 사람이 아드님에게 고려인 말을 가르쳤어요."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51

삼십 년 전, 1950년. 그때 주연은 아이에게 이름을 지어줄 시간이 없었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52

주연이 머무르게 된 정착지 근처에 야전병원이 있었다. 주연은 그 병원의 각 층을 대걸레로 닦고 침대 시트를 삶는 일을 배정받았다. 혹시 남편일지 몰라서 환자들의 얼굴을 하나하나 억지로 들여다보았다. 그런 다음 근무가 끝나면, 주연은 남자를 찾으러 가곤 했다. 살아 있는, 숨 쉬는 남자를. 그게 누구든 무슨 상관이겠는가. 주연은 그 세월 동안 그런 식으로 자신의 흔적을 지워나갔다. 언제나 남자들로. 몇 명인지 헤아리는 것도 그만두었다. 그리고 주연의 배 속에서 아이가 다시 자라나는 일은 단 한 번도 없었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55

주연은 그들 쪽으로 몇 걸음을 떼었다. 그런 다음 한 손으로 가슴을 눌러 전선을 가리고 말했다. "그 마을에요. 내가 말한 그 노래하던 여자요. 그 여자한테 아이가 있었어요. 또 다른 여자한테도 아이가 있었고요. 바구니 짜는 여자였어요. 두 아이 모두 제 아이랑 같은 해에 태어났어요. 여섯 달 간격으로, 어쩌면 그보다 더 짧은 간격으로요. 세 아이 모두 남자아이였어요. 세 아이 모두요."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65

주연이 비명을 질렀다.

주연은 두 귀를 막고 절벽 가장자리로 걸어갔다. 그러고는 비명을 질렀다. 비명 소리가 아래쪽 만까지 메아리쳐 내려갔다. 한 젊은 남자가 한 여자를 부축해 벤치로 되돌아가고 있었고, 사람들이 손그늘을 하고 지켜보고 있었다. 다른 일이 더 일어나지 않자, 사람들은 일몰을, 배들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아 수영하는 사람들을 지켜보는 일로 돌아갔다. 바위 위에 올라가 하나둘씩 석양이 비치는 바다로 뛰어드는 사람들을.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상 교육의 심각한 문제도 드러났다. 어떤 문제일까? 체화된 학습에서 화면 기반 학습으로의 전환은 교육적·심리적으로 유익한(특히 어린이들에게 유익한) 비구조화된 신체 놀이를 차단했다. 템플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아이슈타인 육아법》의 저자인 캐시 허쉬-파섹은 놀이의 부족을 지구온난화에 못지않은 위기라고 말한다.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10

《놀이의 모호성The Ambiguity of Play》의 저자인 브라이언 서턴-스미스는 놀이를 종교나 성관계와 같이 "현재의 우주 안에서 우리의 존재와 화해하는 중요한 방법"이라고까지 말한다.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11

교육 전문가이자 《어린 시절의 중요성The Importance of Being Little》의 저자인 에리카 크리스타키스는 "어린아이들의 놀이를 허락하지 않는 것은 그들이 세상을 이해할 권리를 허락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경고한다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11

"몸과 마음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모르는 사람은 신의 일을 알 수 없다." 몽테뉴는 몸의 감탄할 만한 면과 당혹스러운 면을 받아들였고(그의 수필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겪는 복부 팽만 증세에 대한 유쾌한 묘사를 담고 있다) 자신의 몸을 부정하는 사람들의 위선을 비판했다. 몽테뉴는 몸이 자신을 이해하는 데 중심이 되는 방법 중 하나라고 믿었다. 몸은 우리의 연약함을 상기시키고 자아의 우월감을 제한한다. 그는 말했다. "세상에서 가장 높은 왕좌에 앉아 있는 사람도 결국 제 엉덩이 위에 앉아 있을 뿐이다."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12

연구진은 "대면 토론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고립 같은 사회적 질책이 무례한 행동을 억제하는 반면, 오프라인 대면 만남에서와 같은 결과가 없는 인터넷 환경은 무례한 행동을 조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12 그들은 온라인상의 이런 나쁜 매너(연구진은 "불쾌한 영향nasty effect"이라고 부른다)가 공적 논의가 가진 "민주적 목표"를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69

새로운 ‘디질란테digilante*’식의 정의는 과거라면 가까운 사람들에게 창피를 당하는 것에서 끝났을 실수에 대해 전 세계적인 범위의 즉각적인 보복을 가한다.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69

시인 에밀리 디킨슨은 익명 앱이 부상하기 훨씬 전에 "우리를 가장 놀라게 하는 것은/우리 내부의, 숨겨진, 우리 자신"이라는 시를 남겼다.15 우리는 숨겨진 우리 자신에게 남을 비하할 수 있는 거대한 힘을 부여했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70

페이스북과 같은 플랫폼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과 연락을 유지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지만(좋은 점) 그 과정에서 우리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과 기꺼이 감정적 위험을 감수하려는 마음 등을 약화시킨다.

-알라딘 eBook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지음, 이영래 옮김) 중에서 - P1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시겠지만 선생님은 운이 좋은 분입니다. 추방당했지만 안전하시잖아요. 서로로부터, 그리고 그 하찮은 탐욕이며 시시한 드라마들로부터는 안전하지 않을지 몰라도, 더 큰 광기로부터는 안전하시죠. 그 광기로부터 안전해질 수만 있다면 전 일평생 기꺼이 추방당해 사는 삶을 택할 겁니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196

"달은 뜨고," 남자는 말했다. "기울고, 부서지죠. 그러고는 스스로를 다시 만들어내고요."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197

방 건너편에 있는 그에게서 밀려오는 낯선 열기는 마치 아주 늙어서 둔해진 곰에게서 나오는 것 같았다. 여러 생을 살아온 끝에 이제는 지치고 성마른 눈빛을 하고 동굴 속에서 지켜보고 있는 곰 한 마리.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199

은혜는 하나의 결정이 어떻게 삶에 존재하는 그 모든 다양한 겹들을 드러낼 수 있었는지 생각했다. 그런 겹겹의 삶은 은혜에게는 꽃의 내부와 마찬가지로 닿을 수 없는 것으로 느껴졌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210

국내에는 장편소설 『스노우 헌터스』로 먼저 소개된 폴 윤은 한국계 미국인 작가로, 미국 문학계에는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정체성에 대한 탐구라는 주제 의식, 그리고 미니멀리즘을 연상시키는 특유의 시적인 문체로 널리 알려져 있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213

폴 윤의 인물들은 길 잃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대체로 자신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의 장소에 도달하게 되었는지, 무엇을 잃어버리거나 무엇으로부터 도망쳐 왔는지, 혹은 눈앞의 복잡한 풍경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는 상태로 낯선 곳에 던져져 있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2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빛 속에서 운식의 몸이 뻣뻣해졌다. 아이는 처음에는 골짜기를 내려다보았고, 그다음에는 은혜를 바라보았다. 은혜는 양 무릎을 세워 가슴께로 끌어 올리고 있었다. 순간, 은혜의 그런 모습을 본 동수가 손아귀 힘을 풀었다. 그는 목소리를 가다듬고, 운식의 머리칼을 헝클어뜨렸다. 그러고는 은혜의 무릎을 가볍게 두드렸고, 몸을 앞으로 기울인 다음 두 아이 모두에게 자신의 아내가 거기 묻혀 있다고 했다.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밤 여기서 달이 뜨고, 기울고, 부서졌단다. 그러고는 스스로를 다시 만들어냈지. - <벌집과 꿀>, 폴 윤 지음 / 서제인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a33d594ec2c34d6a - P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