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아이유, 어린이 애순이 누구야, 어렸던 애순이 누군데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하냐. 엄마라는 게 그런 거지. 애순이를 위해서는 쉬헐크로 변하던 전광례 여사. 그런데 그런 헐크 같은 전광례 여사도 학교 선생님 앞에서는 몸을 굽히고 잘 봐달라 촌지를 건네준다.

이 모습 보니까 울 엄마도 생각나데. 고등학교 입학하고 성적이 전교 17등이었는데 그다음부터 공부를 포기해서 성적이 바닥을 쳤을 때 초중고 한 번도 학교에 오지 않던 울 엄마 담임을 찾아가 촌지를 건네고 그 날밤 많이 싸웠다.

울 엄마 요즘은 나이가 많아져서 음식을 해도 간을 맞추지 못하는데 극우에 가까워서 윤석열 편들고 그놈의 박근혜는 왜 맨날 불쌍하다는지, 궁궐에서 잘 사는데. 그래서 극우보수에 가까운 모친과 이것 때문에 내내 싸운다.

근데 얼마 전에 울 엄마 생일이라 외할머니 사진을 편집해서 곱게 만들어서 드렸더니 사진을 문지르며 엄마는 엄마가 너무 보고 싶다고 하데. 1화의 애순이와 전광례 여사를 보는데 그 생각이 너무 많이 났다.

동백꽃 필 무렵의 작가, 나의 아저씨 감독이 만났다. 아직은 [1막] 봄비 같은 이야기다. 봄비는 땅에 닿아서 시가 된다. 시는 온 세상에 내려와 사람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드러낸다. 하지만 시를 읽어주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하지만 그 아름다움을 찾은 사람은 초본의 슬픔도 행복으로 바꿀 수 있다.

폭싹 속았수다가 왜 재미있나 봤더니 단순해서 그럴지도 모른다. 복잡하고 특별한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라 단순하고 일반적인 우리 부모님의 이야기라 너도나도 맞아, 그랬지 하며 공감을 해서 재미있다.

세상 꼴 보기 싫던 부상길의 얼굴은 젊으나 늙으나 얼굴도 거의 변하지 않는다. 관식이나 애순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늙어가는데 상길의 얼굴이나 꼬장 한 태도는 거의 변화가 없다. 그런 아버지들이 있었다. 생각 없이 자기 하고픈 대로 하고, 하고 싶은 말은 전부 내뱉고 사는 사람들, 비록 타인에게 미움을 받을지라도 지 꼴리는 대로 하고 사는 사람은 얼굴의 변화가 없고 늙음이 더디게 온다.

내 가족을 위해 하고 싶은 말 마음으로 숨기고, 가고 싶은 곳도 미루고, 먹고 싶은 음식도 자식을 위해 아끼는 사람은 얼굴에 빨리 금이 간다. 시간에 이기는 장사 없다고 시간이 지나면 옆에 영원히 있어 줄 것만 같던 사람도 빈자리만 남아 부재가 아프기만 하다.

참고 사는 사람들, 부모들은 그랬기에 몸집도 작고 키도 작고 빨리 늙고 빨리 죽었을지도 모른다. 하고 싶은 말을 깔때기 없이 하는 사람들, 자식세대는 그래서 정크푸드를 그렇게 먹어도 키도 크고 덩치도 좋다.

영원한 악역도 없고 마냥 착한 사람도 없는, 그저 단순하고 일반적인 이야기. 별거 아닌데 그 별거 아닌 게 나의 이야기, 우리 이야기라 이 드라마가 재미있구나 하게 된다. 상길이의 젊은 아내는 언뜻 임청하를 닮은 것 같았는데 또 사람들은 아닌 모양이네.

이제 남은 이야기에서 충섭이 엄니가 애순이 시집을 재단해서 한 권 내주려나. 그나저나 김성령은 누굴까. 관식이 짝사랑인가. 사람들은 일희일비하지 말라고 하는데 그냥 화나면 화내고, 조금만 기쁘면 기뻐하고 하고 싶은 말 있으면 꿍하지 않고 내뱉으며 사는 게, 설령 그로 인해 미친 연놈 소리 듣더라도, 그런 소리 하루만 지나면 싹 없어지는데, 그렇게 하루 일희일비하면서 사는 게 낫다.

삶은 우리에게 음미할 시간을 주지 않는다는데 참 맞는 말인 것 같다. 그러나 이 힘든 시간도 과거 속 추억이 되면 아름답게 채색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