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라는 건 참 어렵고, 너무 어렵고 복잡하고 애매하다. 특히 나와 가장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는 특별함과 동시에 속박과도 같다.


사실 따지고 보면 인간관계라는 말이 성립하려면 그 사람과 싫든 좋든 가까이 있어야 한다. 학교, 교실, 군대, 회사, 동네, 사무실, 학원 그리고 가족.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는 인간관계라는 말이 성립되기 애매하다. 멀리 있는 사람과는 인간관계가 복잡할 필요가 없다. 복잡하고 난해한 인간관계는 늘 나와 밀접하게 붙어있는 사람들이다.


세 자매 중 첫째와 막내는 부산 영도 본가에서 엄마와 함께 살고 둘째는 서울에서 방송국 작가로 일하다가 아버지 제사로 인해 고향으로 온다.


회사에 간 첫째, 학교에 간 막내 대신 둘째가 엄마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데 엄마는 자주 깜빡깜빡한다. 그러다가 엄마가 일하는 도시락 공장에서 실수로 불을 내고 만다. 다행히 다친 사람은 없지만 그 기회로 엄마의 치매 초기라는 걸 알게 된다.


너무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언니에게 말하지만 언니는 퉁명스럽고 너무나 아무렇지 않게 옆에서 잘해드리고 요양원이라는 말을 꺼낸다. 둘째는 그런 언니가 이해되지 않아서 요양원에 엄마를 보내지 말고 간병인 같은 말을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들의 관계를 이어주지 못한다. 모두가 일을 하고 와서 간병인 가고 난 후 누가 엄마를 밤새도록 캐어할 것이며, 결혼이라도 하게 되면, 같은 현재에 닥친 문제들. 관계에 있어서 나 하나만 생각할 수 없고 가족이라고 해서 어설프게 아는 척해서도 안 된다. 힘들다, 이 놈의 관계라는 건 왜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을까.


엄마는 일본에서 태어났고 일본 이름 하나코는 어릴 때 부산으로 와서 60년 동안 한 번도 일본에 가보지 못했다. 외할머니에게서 온 편지는 일본의 한 정신병원에서 의사가 써준 편지.


엄마는 자기 때문에 싸우는 딸들에게 마지막으로 교토에 가고 싶다고 한다. 이 영화는 엄마가 치매에 걸렸다고 해서 떠들썩하지 않는다. 치매가 천천히 인간의 뇌를 파먹듯, 영화는 조용하고 천천히 하지만 깊게 현실의 문제, 가족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죽고 못 살았던 내 새끼는 나중에 사랑하는 이를 만나 나를 떠난다. 형제자매는 피로 이어져 모든 걸 나누며 이해하는 관계일 것 같지만, 피로 이어졌다는 이유로 서로가 서로에게 하지 않아도 될 말을 하기도 한다.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과의 관계는 편하면서 어렵고 이상한 관계. 인간은 참으로 알 수 없는 존재. 그런 존재가 모여 있다. 그러니 이상하고 또 이상할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