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대를 위한 롤모델 유일한 이야기 - 누구도 가지 않은 길을 걸은 유일한의 도전하는 삶과 아름다운 나눔 꿈결 롤모델 시리즈 3
정혁준 지음 / 꿈결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무엇보다 유일한에게는 기업가 정신이 있었습니다. 기업가 정신으로 불리는 '앙트레프레너십'은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말은 '시도하다' 또는 '모험하다'는 뜻입니다. 기업가 정신은 무에서 유를 만들어 나가는 것입니다. 창업정신의 다른 말이기도 합니다. - 정혁준

 

 

아름다운 나눔을 실천한 기업가

 

저자 정혁준은 <한겨레>기자로 디지털콘텐츠 팀장을 맡고 있다. <한겨레21>경제팀장,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수석연구원, 미국 조지아대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미국에서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신생 기업이었을 당시의 시장 진입 전략과 포지셔닝 전략을 분석했다. 이들이 찾은 셀링 포인트와 잠재 수요를 폭발시킨 마케팅 전략 역시 탐구했다.

 

 

 

그는 소설처럼 재미있고 술술 읽히는 경제경영 관련 책을

 

 

 

 

 

 

 

 

 

 

 

 

 

 

 

 

 

 

 

 

 

 

 

 


1925년, 유일한은 21년 만에 가족을 찾았다. 아버지가 환갑을 맞는 해였다. 그의 가족은 여전히 북간도에 살고 있었다. 현재 교제 중인 호미리와의 결혼을 승락받고 싶었다. 일본 나카사키에서 경성으로 오는 배를 탈 때부터 주위를 맴돌던 조선총독부 경무국 고등계 형사에게 반강제로 이끌려 취조까지 당하기도 했다.

 

20여 년 동안 영어를 사용해 온 유일한 더듬거리며 아버지에게 인사를 했다. 아버지는 콩나물 장사를 한다는 아들이 못마땅했다. 숙주나물 통조림 사업이라고 설명을 해도 그게 그것 아니냐는 반응이었다. 멀리 떨어져 있던 긴 시간이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와 생각의 차이까지 크게 만들었다. 나이 서른의 아들에게 어머니가 결혼 얘기를 떠나자 이때다 싶어 호미리의 사진을 부모님 앞에 내밀었다.

 

"호미리라는 여자입니다. 미국에서 동양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소아과 의사가 될 거예요"

 

다행스럽게도 동양인 여성이라는 말에 크게 반대하지 않고 결혼을 허락해 주었다. 미국으로 돌아오자마자 그는 결혼식을 올렸다. 그는 서른, 호미리는 스물아홉이었다. 유일한은 사업을 정리해 조극에서 일하고 싶다는 뜻을 아내에게 전했고 처음엔 충격을 받은 듯했으나 며칠 동안 고민한 끝에 그녀도 남편의 뜻에 따르기로 했다. 그는 교육보다 국민 건강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건강한 민족만이 나라를 되찾고 번영시킬 수 있다.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되찾고 나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국민이 건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좋은 의약품을 공급해야 한다'

 

 

 

'기업은 사회의 것'이다

 

"진통 효과를 내려면 어느 정도 마약 성분이 들어가야 하는데, 다른 회사에 비해 우리 제품은 너무 약한 편입니다. 우리 회사도 진통 효과를 높일 마약 성분을 넣는 게......."

 

"마약 장사를 하자고? 고작 한다는 말이 마약 장사라니 실망스럽네! 우리가 무엇 때문에 이 회사를 시작했나? 병으로 고생하는 동포를 돕고 사회에 기여하기 위해 사업을 시작한 게 아닌가. 창업 정신을 저버리는 직원이라면 더는 같이 일할 수 없네. 사표를 쓰게"

 

그는 유한양행을 설립한 지 10여 년 만에 77 명의 사원을 거느린 회사로 성장시켜 만주, 중국, 일본 지역으로 판매망을 넓히고 대만과 베트남까지 시장을 확대해 나갔다. 그런데, 만주 출장에서 돌아온 전항섭 전무가 이렇게 만주 상황을 보고하자 그는 불같이 화를 냈다. 여기서 그의 철저한 기업관을 엿볼 수 있다. 즉 '기업은 사회의 것' 이라는 가치관을 가진 것이다.

 

 

대한상의 초대 회장을 맡다

 

맹호군은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임시정부대일 선전포고를 함으로써 미국에 살고 있던 한인들이 전선에 참여하기 위해 설립한 비정규 군사 조직이었다. 1942년 8월 2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이들은 힘차게 군가를 부르며 시내 한복판을 가로질러 시청으로 행진햇다. 유일한은 열병식에서 임정 요인이 보내온 축사를 낭독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해방 후 한국 정치 상황이 좌익과 우익으로 갈라져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기에 그는 홀로 귀국길에 올랐다. 1946년 7월이었다. 사장직에 복귀하며 유한양행을 재건하기 시작했다. 주변에선 미국 유학파라서 미군정 간부들과도 가까워 곧 정치에 나설 것이라고 수군거렸다. 하지만 그는 결코흔들림 없이 기업 경영에만 몰두할 생각이었다.

 

한창 사업에 박차를 가할 무렵, 그는 뜻밖의 제안을 받았다. 대한상의에서 회장을 맡아달라는 것이었다. 이 단체는 상공업 발전에 기여하고 상공인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일제강점기부터 경영을 해 론 인물은 대부분 친일 이력이 있어서 국민들 앞에 떳떳하게 나설 수가 없으므로 그에게 부탁한 것이다. 거절했지만  끈질긴 부탁에 그는 결국 이를 수락했다.

 

그러자 누가 유한양행의 새로운 사장이 되는지에 관심이 쏠렸다. 그가 미국에 나가 있는 동안 동생 유명한이 회사를 이끌었으므로 가장 유력하다는 전망이었다. 하지만 예상 밖의 결과가 나왔다. 유일한과 헤이스팅스 한인소년병학교 동기인 구영숙이 사장으로 취임한 것이다. 그는 한국 최초의 소아과 의사였다. 

 

당시로서는 창업자와 친인척 관계가 아닌 사람에게 사장직을 맡긴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 게다가 구영숙은 미국 에모리대학을 졸업한 의학박사로 경영 이력이 없었다. 유일한이 구영숙을 선택한 것은 그의 역량과 민족정신을 높이 샀기 때문이다. 이미 유일한은 오래전부터 구영숙을 지켜본 결과 성품이 곧고 강직하며 패기와 능력을 갖춘 인물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하다 

유일한의 유품은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물건 몇 가지와 구두 두 켤레, 양복 세 벌이 전부였다. 유일한이 세상을 떠나고 한 달 뒤인 1971년 4월 8일, 그의 유언장이 세상에 공개됐다.

 

"내가 가진 모든 재산은 교육과 사회를 위해 써 달라. 딸 유재라에게는 묘지 주변 땅 5천 평을 주어 유한동산을 꾸미되 학생들이 마음대로 드나드도록 울타리를 치지 마라. 우리 학생들의 티 없이 맑은 정신에 깃든 젊은 의지를 죽어서도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