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로 떠나는 힐링여행 인문여행 시리즈 11
이향우 글.그림, 황은열 사진 / 인문산책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묘는 조선시대에 조상신께 제례를 올리고 나라의 안위를 부탁했던 조선왕조의 국가 사당입니다. 교사회였던 조선시대에 조상에 대한 효는 곧 국가의 사상적 이념을 대표햇던 근간이 되었습니다. 종묘는 바로 이 효를 실천하고 백성에서 본을 보였던 국가 사당입니다. 제가 처음 종묘를 보았을 때의 낌은 한 마디로 신선한 충격 그 자체였습니다.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장엄함이 오래 전 보았던 종묘의 강렬한 인상이었습니다. 자, 여러분을 신들의 향연이 펼쳐지는 종묘로 초대합니다. - '저자의 말' 중에서

 

 

신들의 향연이 펼쳐지는 종묘宗廟

 

저자 이향우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했으며, 세 번의 개인전과 수차례의 단체전에 참여하면서 조각가로 활동하고 있다. 23년 동안 교직에 재직했고, 2000년부터 시민 NGO 단체 사단법인 <한국의 재발견> 소속 우리궁궐지킴이로 활동하면서 문화재청장 표창을 수상했다. 사단법인 <한국의 재발견> 부대표를 역임했으며, 현재 우리궁궐지킴이로 활동 중이다.

 

한국의 전통 궁궐문화에 대한 강의와 원고를 집필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궁궐로 떠나는 힐링여

 

 

 

 

 

 

 

 

 

조선왕조의 종묘는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 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신 국가 사당으로, 그 제례적 신성성과 함께 종묘 건축이 갖는 단아하면서도 장엄한 분위기를 보여주는 세계에서 유일한 건축물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가 광해군 원년(1608년)에 이전의 규모로 중건되었고, 그 후 다시 몇 번의 증축 및 보수補修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종묘는 처음 지어졌던 구조에서 점점 더 길어졌고, 사당으로서의 기능을 위한 공간으로 특별한 위계를 지니게 되었다. 

조선의 왕이 가장 중요하게 떠받든 것은 바로 종묘사직이다. 임진왜란으로 조정이 모든 것을 버리고 황급히 피난길에 올랐으나, 그 황망 중에도 종묘와 사직의 신주만은 안전하게 피신시켰다. 이는 종묘사직이 보존되어야 나라를 지킬 수 있다는 믿음이었으며, 그런 의미에서 종묘사직은 국가의 존립 그 자체였다.

 

 

 

 

국상國喪

 

종묘 제도를 이해하려면 먼저 왕의 죽음으로부터 접근해야 한다. 왕의 죽음을 국상國喪이라고 말한다. 조선에선 유교식으로 상장례喪葬禮가 엄격하게 치러졌다. 이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수록되어 있다. 상례는 3년의 복상 기간 중 행하는 모든 의례를, 장례는 시신을 땅에 묻어 무덤을 조성하는 일체의 의례를 일컫는다.

 

유교의 사생관死生觀에서 사람의 죽음을 '돌아가셨다'고 표현한다. 혼魂은 하늘로 가고 백魄은 땅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이다. 부모가 돌아가신 후 사람들은 제례를 통해 효孝를 표현했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삼년상을 지나 종묘에 부묘되기까지를 흉례凶禮로 보고, 그 이후 제사의식은 조상을 다시 만난다는 의미의 길례吉禮로 여겼다.

 

 

 

예를 소중하게 여기다

<국조오례의>에 규정하기를 조선시대 예제禮制의 대상에는 오례(五禮 - 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가 있었고, 제사 의례인 길례吉禮는 대사大祀, 중사中祀, 소사小祀로 나뉜다. 종묘대제는 사직대제와 함께 대사大祀에 속하여 임금이 친히 받들었던 가장 격식이 높은 의례였다. 종묘제례는 종묘에서 왕실의 조상들에게 지내는 제사로, 종묘대제宗廟大祭 또는 대향大享이라 부르기도 한다.

 

조선왕실의 후손으로서 왕이 친히 제향을 봉행하여 조상에 대한 효를 행하고 국가의 평안과 번영을 기원하는 조선왕조의 가장 큰 국가 의례로 임금을 비롯한 왕세자, 제관祭官, 문무백관, 악공, 일무원 등 700여 명이 참가하였다. 조선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나라에 공이 있는 공신의 신위가 봉안되어 있는 종묘에서 제향을 올리는 종묘제례는 예禮를 소중히 여긴 조상들이 유교 사회의 도덕적 가치를 의례 형식으로 보여준 귀중한 의식으로 웅장함과 엄숙함이 돋보인다.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종묘제례를 진행하는 동안 제사를 장엄하게 꾸미기 위해 기악과 노래 그리고 춤이 펼쳐지는데, 이를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이라고 한다. 종묘제례악은 세종 때 완성되었으며, 그 후 약간의 추가가 이루어졌을 뿐 큰 변화가 없다. 거의 500년 전의 기악과 노래와 춤이 전해져 오는 것이다. 이렇듯 오래된 제례와 음악이 함께 전해오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드문 일로, 종묘제례악은 2001년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에 선정되었다.

 

공자가 일찌기 예의 완성은 악樂이라고 말했듯이, 종묘제례는 종묘제례악으로 완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제사 지낼 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 그리고 일무원들이 추는 무용 등 이 세 가지가 종묘제례악을 구성하고 있다. 엄숙한 제례 절차에 따라 연주되는 경건하고 장엄한 곳이므로 그 음악성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세종대에 정비, 세조 때 다시 다듬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어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는 자랑스런 문화유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