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심, 마음 다스리기 - 조선 선비들의 마음 경영법
문효.이소영 지음 / 왕의서재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란 말이 있다. 이 말의 엑센트는 역시 "수신" 에 있다. 즉, 자신을 닦는 것이 기본이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자신을 닦는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마음을 다스린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선조님들은 마음 다스리기가 학문의 기본이자, 자기 수양의 최대 과제였던 것이다.

 

어릴 적 부모님도 나에게 학업에 정진할 것을 촉구할 때, 항상 하시던 말씀이 "사람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는 것이었다. 학업 성취에 대한 것도 네가 마음먹기에 따라 그것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안되기도 한다는 지극히 당연한 가르침이셨다.

 

불가에서도 "일체유심조"란 경귀가 있다.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만들어 낸다는 가르침이다. 즉, 인간의 번뇌에서 해탈에 이르는 과정이 바로 마음 다스리기에 있다는 뜻이다.

 

얼마전 동아건설의 박모 부장이 관리가 허술한 회사의 공적 자금 1800억원을 마움대로 빼돌려 도박판으로 주식판으로 물쓰듯 하며 강원랜드에서는 VIP 대접을, 강남에서는 박회장으로 행세하며 "한여름 밤의 꿈" 같은 방만한 인생을 즐기다 구속되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이 또한 박부장의 마음먹기에 따라 자신이 범죄인으로 추락하는 꼴이 되고만 것이다.

 

우리들의 선조들은 고조선 시대부터 치심을 중요시했으며 신라 시대엔 화랑도로 불리며 국가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았다. 이런 흐름은 계속 이어져 조선조에 이르러 퇴계 이황은 [수양론]에서 치심을 강조하며 [활인심방]을 통해 몸과 마음을 함께 다스렸던 것이다.

 

이 책은 모두 15 편에 걸쳐 퇴계의 [활인심방], 윤선도의 자연과 벗하기, 먹고 마시는 것에 주의하기등 어느 하나 우리에게 교훈이 되지 않는 것이 없다.

 

가장 먼저 마음을 다스려라 - 이황의 [활인심방]

책, 또 다른 세상을 열다 - 이덕무의 "독서"

차, 혜안의 길을 제시하다 - 초의선사와 추사 김정희의 "다도"

명예, 권력을 훌훌 벗어 던지다 - 효령대군의 "불심"

산, 나를 되돌아보게 하는 힘 - 조식의 "지리산"

마음 맞는 친구들과 어울리기 - 홍대용의 "한여름밤의 음악회"

가장 잘 할 수 있고 즐거운 일하기 - 이익의 "학습삼매경"

자기 자신을 다스리기 - 강희안의 "화초 가꾸기"

자연과 벗하기 - 윤선도의 "자연"

떠나라, 삶의 경이로움을 체험하라 - 권섭, 정란의 "여행"

나가고 물러섬을 제때 파악하기 - 노사신의 "장기와 바둑"

도전하라, 몰입하라, 목숨을 걸어라 - 신재효의 "판소리"

마음을 실을 수 있는 악기 배우기 - 맹사성의 "피리"

나만의 기호 갖기 - 정조의 "담배"

먹고 마시는 것에 주의하기 - 영조와 세종의 "식습관"

 

한편, 치심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살아 있는 동안 내내 한 눈을 팔지 않고 지속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즉, 자신의 일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듯 마음 다스리기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긍정적인 마인드를 배양하는 일인 것이다.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내면의 자신을 이기는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며 나아가 타인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며 남을 사랑하는 것이 되기도 한다.

 

초콜릿 복근이니, S라인이니 하며 몸 만드는 것이 요사이 시류이다. 그러나, 겉모습이 아무리 보기 좋다한 들 마음이 병들면 수수깡에 진배없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우울증과 자살선호 등도 마음을 다스리는 것으로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방법이 산을 벗삼아 산행을 즐기던, 바둑을 즐기던, 독서삼매경에 빠지던, 또는 음악을 즐기던 나에게 알맞고 내가 진정으로 좋아하는 것을 일상으로 실천해보자. 거울을 마주보듯 때로는 위로하고, 때로는 꾸짖고, 때로는 감싸고. 때로는 경계하며 내 마음을 다스리자. 마음의 평화는 내 안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