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 울프, 문장의 기억 (양장본) - 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기 위하여
박예진 엮음, 버지니아 울프 원작 / 센텐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색하며 대학교의 잔디밭을 거닐던 ‘나’를 한 관리원이 막아섰습니다. ‘나’에게 허락된 것은 자갈길뿐이었기 때문입니다. 오로지 여자라는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결국 ‘나’는 거친 자갈길을 걸어 대학교 도서관을 향해 갔습니다. 그러나 도서관은 ‘나’를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대학 측은 여자가 도서관에 출입하려면 연구원과 동행하거나 소개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나는 불합리한 사회적 제재에 씁쓸한 감정을 느끼며, 왜 여성은 남성이 당연히 누리는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지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고민은 여성에게만 경제적 풍요와 안정을 누릴 수 없게 하는 사회적 구조에 대한 고민으로 뻗어 나갑니다.


원한다면 도서관은 잠궈도 됩니다, 하지만 당신에게는 자유로운 나의 사유를 가로막을 문도, 잠금쇠도, 나사도 없습니다.


유명한 도서관이 여성에 의해 저주받았다는 사실은 도서관에 대한 무관심이자 무지입니다.


순결이라는 것은 여성의 삶에 있어 여전히 종교적으로 중요하기에, 그것을 자유롭게 벗겨내어 세상의 빛으로 가져오려거든 특별한 용기가 필요합니다.


이제 배경은 대영박물관으로 전환됩니다. ‘나’는 지식인이라 불리는 몇몇 남자가 여성에 관해 저술한 책들을 살펴보기 시작합니다. 그들은 하나같이 여성을 형편없는 존재로 규정하며 무시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무엇이 남성들을 그토록 당당할 수 있게 해주었는지 알아내고자 했습니다. 결국 ‘나’가 도달한 답은 ‘고정된 수입’이었습니다.


‘나’에게는 숙모의 유산이 있었습니다. 유산은 ‘나’의 앞으로 매년 500파운드(약 4,700만 원)가 지급되었고, 이 수입은 키 큰 남자의 고압적인 형상 대신 드넓은 하늘의 경관을 볼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여성에게는 삶을 유지할 수입이 없었습니다.


남성은 정복과 지배를 사명으로 삼습니다. 이때 인류의 나머지 절반인 여성이 자신보다 열등하다는 생각은, 그들이 권력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원천이 되죠. 남성이 여성을 열등하게 바라보는 원인을 ‘나’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성이 글을 쓰려면 돈과 자기만의 방이 필요합니다.


여성들이 수백만 년 동안 방 안에만 앉아 있었기 때문에, 이제 벽에 여성들의 창조력이 모두 스며들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방 안의 벽돌과 시멘트가 여성들의 창조력을 받아들이는 것이 한계에 다다를 정도이므로, 이제 여성들은 펜과 붓을 사업과 정치에 써야 할 것입니다.




자기 자신이 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최근 페미니즘에 대해 많은 목소리들이 울려 퍼지고 있다. 버지니아 울프가 1920년대 말에 이런 선각先覺적인 시선으로 글을 썼다는 것이 얼마나 놀라운 혜안인가. 여성들이여, 말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이젠 행동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현 시점과 비교할 때 약 1세기에 가까운 세월이 지나려 한다. 처마 밑에 떨어지던 낙숫물 한방울 한방울이 꿈쩍도 않던 거대한 바윗돌에 큰 구멍을 내고 마침내 이를 부서지게 만들 듯 말이다. 특히, 젊은 세대들에게 이 책의 필독을 권하고 싶다.


#고전문학 #버지니아울프문장의기억 #자기만의방 #박예진엮음 #센텐스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