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중용 쉽고 바르게 읽는 고전
증자.자사 지음, 박삼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선한 본성을 되살려 평화로운 세상을 열어가기 위한’ 공자 사상이 후세에 널리 퍼져 영향을 미친 중심에는 <논어>가 있지만, <대학大學>과 <중용中庸> 역시 지대한 공헌을 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 ‘머리말’ 중에서




<대학>과 <중용>은 유가 경전인 <예기禮記>에 각각 제42편과 31편에 수록된 글이었다. <예기>엔 총 49편의 글이 수록되었음을 감안할 경우 불과 2편 정도인 <대학>과 <중용>이 처음엔 사람들에게 크게 주목받지 못했음은 당연하다.


이후 당나라 때 문장가이자 사상가인 한유가 유가의 정신을 수호한다는 기치 아래 이 두 편의 글을 중시하면서 비로소 훌륭한 경서로 추앙받기 시작하더니 송나라 때의 유학자 주자朱子가 두 편을 성인聖人의 저서로 여기며 <예기>에서 분리해 단행본으로 엮어냈다. 우리들이 알고있는 사서四書(논어, 맹자, 대학, 중용)에 포함된다.


대학大學


<대학>의 저자는 공자의 제자 증자로 알려진다. 이 책에는 태평성세를 이룰 수 있는 풍부한 지혜와 심오한 철학을 담고 있다. 즉, 수신修身을 바탕으로 한 제가· 치국· 평천하를 이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대학’은 유가儒家 사상의 실천 방법과 이상理想 목표라는 두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대학>은 주자가 말한 것처럼 ‘대인지학大人之學’일 뿐만 아니라, 세상 모든 사람이 관심갖고 공부해야 할 ‘범인지학凡人之學’이다. 사람은 누구나 <대학>의 가르침을 성실히 배우고 깊이 체화함으로써 뛰어난 지성과 고상한 덕성을 갖춘 ‘대인’으로 거듭날 수 있다.


<대학>은 도덕 수양의 방법을 비교적 체계적으로 논하고 있다. 유자가 추구해야 할 근본 목표로 ‘삼강령(三綱領)’이, 구체적인 도덕 수양의 내용으로 ‘팔조목(八條目)’이 제시되어 있는데, 삼강령 중에서도 ‘지극한 선에 머무름(止於至善)’이 가장 궁극적 목표이고, 팔조목의 중심은 ‘수신修身’에 있다는 점을 기억하면서 읽으면 전체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삼강령: 명명덕(明明德)·신민(新民)·지어지선(止於至善)

★팔조목: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


대인지학大人之學의 근본이념은 첫째, 사람의 밝고 선한 천부적 덕성을 밝혀 드러나게 함에 있고, 둘째, 사람들로 하여금 낡은 악습을 버리고 본연의 선성善性을 새롭게 발휘하게 함에 있으며, 셋째, 사람이 궁극적으로 더할 나위 없이 선한 경지에 이르러 머무르게 함에 있다.


<상서> ‘강고편康誥篇’에서 말했다. “크게 드러나 빛나신 아버지 문왕께서는 천부의 덕성을 한껏 밝혀 만백성에게 널리 은덕을 베푸셨도다.”


‘태갑편太甲篇’에서 말했다. “탕왕湯王께서는 항시 이 하늘이 내린 밝고 빛나는 사명使命을 생각하셨소이다.”


‘요전편堯典篇’에서 말했다. “요임금께서는 능히 그 위대하고 숭고한 덕성을 밝혀 널리 은덕을 베푸셨도다.” 이는 모두 각기 스스로 자신의 ‘명덕明德’을 밝혀 널리 베풀어야 함을 일깨운 것이다.




중용中庸


<중용>의 저자는 공자의 손자인 자사라는 게 통설인데, ‘사서四書’ 중에서 가장 철학적인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최고의 덕으로 규정되는 ‘중용(中庸)’, 하늘의 도이자 사람이 추구해야 할 도로 규정되는 ‘성(誠)’, 그리고 사람은 자신의 본성인 이 ‘성(誠)’을 추구함으로써 천지와 나란히 설 수 있다는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이 주된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천天·도道·인人’ 삼자三者의 관계에 착안하고 근거해 아름다운 삶의 향유를 가능하게 할 ‘중용의 도’의 고귀한 가치를 부각 역설했다. <중용>이 전적으로 개인의 도덕 수양에 근본 의의를 두면서 실천 윤리의 철리哲理를 설파했다.


‘중용’은 바로 누구나 충분히 운용·적용할 수 있는 불편부당하고 무과불급無過不及하며 적중適中·적정한 원칙이다. 이러한 원칙은 언제 어디서나 변함이 없으며 우리의 일상생활에 두루 적용되고 통용된다.


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한 본질이 ‘성性’, 즉 사람의 본성이요, 그 본성을 따르는 것이 ‘도道’, 즉 만사만물의 보편 법칙이며, 그 법칙을 닦아 널리 밝힘으로써 사람들이 따르게 하는 것이 ‘교敎’, 즉 교화敎化이다.


사람의 본성, 본질적 성품은 천부의 것으로, 만인이 모두 동일하다. 공자가 “사람의 본성은 본디 비슷하지만, 후천적인 습성으로 인해 격차가 벌어지게 된다.” 라고 한 것은 바로 그 같은 견지의 설명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언행은 중용의 도에 들어맞고, 소인의 언행은 중용의 도에 어긋난다. 군자의 언행이 중용의 도에 들어맞는 것은 군자는 언제 어디서나 그에 맞게 적중과 조화를 추구하기 때문이요, 소인의 언행이 중용의 도에 어긋나는 것은 소인은 언제 어디서나 기탄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공자는 중용의 도를 얼마나 잘 지키고 실행하느냐의 여부를 기준으로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을 구분했다. ‘중용’은 비록 처신·처사의 보편적 원칙이긴 하지만 결코 누구나 능히 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위 군자는 도덕 수양이 높고 품성이 선량한 만큼, 중용의 도를 깊이 체득하고 마음에 새겨 항시 스스로 경계하고 삼가며 자신을 성찰하고 단속한다. 그러므로 중용의 도를 배우고 익히고 실행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자신의 품성을 수양해야 한다. 이는 <대학>에서 말한 ‘수신修身’이 바로 그것이다.



#인문 #동양철학 #대학중용 #고전읽기 #문예출판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